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ISBN : 9788995790175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07-03-21
책 소개
목차
1) 덕산탁발화(德山托鉢話)
2) 마조(馬祖)의 일할(一喝) - 임제정맥(臨濟正脈)의 가풍(家風)
3) 도화(桃花)
4) 조주(趙州)와 황벽·임제(黃檗·臨濟)의 대담(對談)
5) 백양사 2차 무차선대법회
6) 해운정사 국제무차선대법회
7) 동화사 담선대법회
8) 주장자(?杖子)
9) 운암(雲岩)의 대비수안(大悲手眼)
10) 위산(?山)의 수고우(水?牛)
11) 조주(趙州)의 진불주처(眞佛住處)
12) 임제(臨濟)의 사료간(四料揀)
13) 설봉(雪峰)의 삼처상견(三處相見)
14) 조주(趙州)의 바자감파(婆子勘破)
15) 조주(趙州)의 끽다거(喫茶去)
16) 현자(?子) 화상의 신전주대반(神前酒臺盤)
17) 석공(石鞏)의 살활전(殺活箭)
18) 보화(普化) 존자의 시성시범(是聖是凡)
19) 청원 행사(淸源行思)의 돌부자(돌斧子)
20) 암두(岩頭)의 말후구(末後句)
21) 기림(祇林)의 목검(木劒)
22) 파초(芭蕉)의 주장자(?杖子)
23) 제일구 법문(第一句 法門)
24) 만상지중독로신(萬像之中獨露身)
25) 풍혈(風穴)의 철우지기(鐵牛之機)
26) 일러도 삼십 방[道得也三十棒] 이르지 못해도 삼십 방[道不得也三十棒]
27) 불조(佛祖)의 행리(行履)
28) 임제(臨濟) 선사와 왕상시(王常侍)의 문답
29) 단하 천연(丹霞天然) 선사
30) 남원(南院)의 일방(一棒)
31) 무정설법(無情說法)
32) 황벽(黃檗)의 주조(酒糟)
33) 동산(洞山)의 과자공양차(菓子供養次)
34) 삼성(三聖)의 불위인(不爲人)
35) 조과(鳥?)의 포모(布毛)
36) 위산(?山)의 체(體)와 용(用)
37) 임제(臨濟)·보화(普化)의 공양청(供養請)
38) 위산(?山)의 노자우(老?牛)
39) 동산(洞山)의 한명(閑名)
40) 홀우금시조(忽遇金翅鳥)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 사람의 이 몸뚱이는 부모로부터 받아가지고 지금 이렇게 '나다' 하며 살고 있음이로다. 그러나 이 몸뚱이는 백년 이내에 썩어서 한 줌 흙으로 돌아가니, 이것은 '참 나'가 아님이로다. 그렇다면, "부모에게 이 몸을 받기 전에 어떤 것이 참 나던고?"
이 화두를 들고 일상생활하는 가운데 오매불망 간절히 의심하고 챙기고, 챙기고 의심하여 노력하고 노력할 것 같으면 문득 참의심이 발동이 걸리게 되는데, 참의심이 일어나면 그때는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보되 보는 것도 잊어버리고, 듣되 듣는 것도 잊어버리고, 몸뚱이도 다 잊어버리고 오로지 화두 한 생각으로 일념삼매에 푸욱 빠지게 됨이로다.-p56-5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