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95803523
· 쪽수 : 217쪽
· 출판일 : 2018-04-12
목차
서평
들어가는 글
고마움
1. 도시계획가란 누구인가?
1.1 히포크라테스의 선서 그리고 도시계획가의 탄생
1.2 박학다식가(Generalists) vs. 전문가(Specialists)
1.3 공적 책무(public stewardship)의 보루 vs. 사적 소유권(private ownership)의 대변인
1.4 도시계획가가 되는 길
1.4.1 과거와 현재를 자세히 돌아보고 접목하는 관찰자
1.4.2 미래를 탐험하는 미래설계사
1.4.3 다양한 학문 분야와 만나고,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복합형 연구자
1.4.4 근원을 살펴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가치판단자
1.4.5 털어낼 줄 아는 비움의 예술가
1.4.6 협의를 거쳐 합의를 찾아내는 중재자
1.4.7 눈높이를 맞추는 인권보호자
2. 계획가치, 도시계획이 실현하고자 하는 것은?
2.1 ‘지속가능성’, 도시계획가들이 이루려는 도시계획의 이론 중에서도.…..
2.1.1 지속가능성은 어떻게 탄생하였으며, 왜 도시계획가들에게 중요한 개념일까?
2.1.2 지속가능성이 여전히 놓치고 있는 마지막 담론은?
2.2 ‘가치중립성’, 도시계획가들이 추구해야 할 것 중에서도.....
2.2.1 수도권정비계획이라는 규제의 해제를 통한 성장우선주의 vs. 지역균형발전의 논쟁
2.2.2 개발제한구역(Green Belt)의 ‘자연환경보호’ vs. ‘사적 재산권 침해’에 대한 논쟁
2.2.3 부동산의 가치상승에 따른 불로소득 환수에 대한 논쟁
2.2.4 종상향, 용적률/건폐율완화, 건축규제특례와 같은 incentive 제도는 바람직한가?
2.3. ‘가치’에 대해 도시계획가들은 어떤 관점을 취해야 할 것인가?
3. 계획방식, 어떤 것이 도시계획가의 올바른 행위방식일까?
3.1 계획가는 권력을 쥔 자문관이다? (Top-Down System)
3.2 도시민은 깨어날 수 있을까? (Bottom-Up System)
3.3 시민과 시민활동가여, 당신들의 역할을 증대시켜라.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4. 도시계획위원회(Urban Planning Commission), 이는 무엇인가?
4.1 도시계획위원회란? 그런데 도시계획위원회 구성과 운영의 문제는?
4.2 도시계획위원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본질적 사항은?
4.2.1 도시계획위원의 구성
4.2.2 도시계획위원의 심의잣대
5. 도시계획가, ‘정체’성과 자’화상’ 사이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