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창작.문장작법
· ISBN : 9788996240051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0-12-25
책 소개
목차
서 문
본서 공부 안내
제1부 창작론
1. 현대문학의 창작론 개관 11
2. 창작문예수필 발생의 역사적 과정 29
2. 창작문예수필 이론의 요점 35
3. 창작개념의 다양한 양상 42
4. 문학창작의 본질적 방법 49
5. 형상화의 바른 뜻 52
6. 창작 작가가 되기 위한 필수 조건 56
7. 수필의 창작문학化의 이론적 근거 58
제2부 창작문예수필 작법
1. 가장 기본적인 창작형태 '눈 위의 글씨' 윤오영 61
2. 감성의 사물화 '그 집 앞' 김선화 87
3. 감성적 서사 창작 '귀여운 이웃들' 김국자 93
4. 감성적 상상력의 세계 '이 겨울의 백양나무는' 장영향 100
5. 계단식 구조 구성법 '어느 여름날의 스케치' 김학 108
6. 구성적 비유의 탄생 '똑딱 단추' 손정란 115
7. 구성적 비유의 정석적 구성법 '꽃 잎' 조영의 121
8. 구성적 비유의 형상화 '라플레시아의 덫' 유민자 129
9. 구성법 만들기 '양푼 예찬' 이은희 136
10. 구성에 실패한 작품 '별' 이관희 143
11. 다중적 화자 진술법 '손' 임만빈 150
12. 더하기빼기의 문학과 곱하기나누기의 문학 '글쓰기' 김영옥 157
13. 독백체 문장의 창작 세계 '눈 오는 날, 설요일' 권현옥 164
14. 동화체 형식의 창작 '눈 내리는 밤' 남홍숙 171
15. 반전 효과로 창작에 성공한 작품 '그날 저녁의 삽화' 최재남 177
16. 사건 현장 직접 중계 방식의 구성법 '옛날이야기' 허창옥 183
17. 사투리 언어의 문장 세계 '지 깜냥대로 쌩놈 고놈' 정경희 189
18. ‘산문의 시’ 문학이란 무엇인가? '뜰엔 햇살이' 남영숙 197
19. ‘산문의 시’ 문학의 전형적 형태 '산국을 태우며' 김애자 205
20. ‘산문의 시’ 작품이란 어떤 것인가? '달을 위한 연서' 유영희 213
21. ‘산문시’ 같은 ‘산문의 시’ '겨울 갈대밭에서' 손광성 220
22. 삽화 조합법의 창작 '날지 못하는 새' 최원현 227
23. 새로운 문장형식의 실험 '병풍사 큰 바위' 강숙련 235
24. 서정의 형상화 '탄천의 영가' 박종철 241
25. 수필문학적 상상력 '어머니의 그릇' 송복련 248
26. 수필어 창조 '내 이름은 ‘또’' 한인자 255
27. 수필 서사의 가능성 '여름이' 오경자 261
28. 수필 전문가 초창기 신인상 당선 작품 '간이역' 박양훈 269
29. 수필을 소설체 형식 속에 담아내기 '넋대' 정정자 275
30. 시와 산문의 경계 '악기' 정희승 282
31. 시적 발상의 산문적 형상화 '엑스레이 사진' 유병근 287
32. 시적 정서의 산문적 형상화 '바람 속에서' 노정숙 293
33. 시적 환상의 형상화 '그리움 하나 가슴에 달고' 오차숙 299
34. 시점(視點) 변화의 구성법 '반짝이던 작은 포구' 정태원 304
35. 소설체 문장 형식 '싸락눈' 정태헌 310
36. 액자구성법의 창작 '한 여름 낯의 꿈' 정해영 316
37. 여성적 소재의 창작 세계 '놋수저' 이부림 322
38. 연상(聯想)과 창작 아이디어 '무심천의 목화밭' 김진수 329
39. 연작 형식의 의인화 문장 '김칫돌' 이진영 336
40. 완전한 소설체 구성 '대추나무와 선생님' 반숙자 343
41. 의인화 3인칭 시점의 가능성 '스폰지 애덕송' 오정순 351
42. 2중적 서사 구조의 구성 '폐차장에서' 황광지 358
43. 작품의 내용을 형식화 '스쳐간 바람' 이효정 364
44. 전통적 서간체 형식 '살붙이 피붙이는 아니지만' 고희숙 371
45. 창작과 제목 정하기 '천신薦新' 이난호 377
46. 창작문예수필의 기본 창작 양식 '진달래꽃' 변해명 383
47. 창작은 창작작가적 안목에서 나온다 '도법' 김은주 389
48. 창작문학의 창작대상은 형상이다 '풍장' 심선경 395
49. 추상적 교감의 형상화 '일어서는 소리' 임병식 402
50. 추상적 주제의 형상화 '행방불명' 조재은 408
51. 한문 글자 뜻풀이를 작품의 형식으로 '호호好好 랩송' 김희수 415
52. 환상의 형상화 '흰나비' 최일순 421
53. ‘형상的 문장’과 ‘형상化 문장’ '섬진강' 김진자 427
54. 형식 창조의 실험 ' ㅁ ' 최이안 433
55. 희곡 형식의 변용 '달콤함이 숨긴 맛' 허표영 439
찾아보기 446
참고 문헌 4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