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653342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1-02-21
책 소개
목차
첫 번째 원칙
투자의 목적 : 대박이 아니라 수익을 내는 것이다
당신이 주식 투자를 하는 가장 분명한 이유는 돈을 버는 것이다. 그런데 정확하게 얼마의 돈을 벌고 싶은지 생각해 보았는가? 막연하게 돈을 벌고 싶다는 것과 정확히 얼마의 돈을 벌고 싶다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당신이 정한 목표 금액에 따라 투자금의 규모, 투자 기간, 투자 방식 등 모든 것이 달라진다.
두 번째 원칙
투자 기간 : 막연하게 생각하지 말고 숫자로 정해라
당신이 지금 투자하는 돈을 언제까지 주식 시장에 묻어둘 수 있는가? 막연하게 단기, 중기, 장기라고만 생각하지 말아라. 3개월이면 3개월, 1년이면 1년, 3년이면 3년이라고 확실하게 정하라. 주식 투자는 시간과의 싸움이다. 당신이 얼마 동안 투자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당신이 추구할 수 있는 수익률과 투자해야 할 종목이 달라진다.
세 번째 원칙
손절매 수준 : 종목과 투자 기간에 따라 설정하고, 반드시 지킨다
손절매가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안다. 하지만 대부분의 투자자가 실천하지 못하는 것이 또 손절매다. 손절매를 실천하지 못하는 것은 심리적인 이유도 있지만 확실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책에 제시한 방법을 따라 손절매 수준을 확실하게 정하라. 절대로 대충 정하지 마라. 확실하게 숫자로 정하라. 그리고 반드시 실천하라.
네 번째 원칙
목표 수익률 : 손실 감수 수준의 두 배로 잡는다
목표 수익률을 과도하지 잡지 말라. 세계 최고의 주식 전문가인 워렌 버핏의 평균 투자 수익률도 20%대 초반이었다. 목표 수익률을 잡는 가장 손 쉬운 방법은 손실 감수 수준의 두 배로 잡는 것이다. 하지만 당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목표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한 내용을 토대로 당신에게 맞는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라.
다섯 번째 원칙
시장 추세 : 하락세는 쉬고, 박스권은 기다리고, 상승장에 올라탄다
주식 시장은 침체와 활황을 반복한다. 시장이 침체기라면 돈이 있어도 쉬는 것이 투자다. 시장이 횡보를 하는 박스권이라면 주시를 하면서 기다리고, 활황기가 됐을 때 과감하게 투자하라. 침체기에도 끝이 있고 활황기에도 끝이 있다. 서두르지 마라. 조급함이 일을 그르친다. 지금이 아니라도 기회는 또 오게 돼 있다.
여섯 번째 원칙
업종 선별 : HTS 차트를 보면 주도 업종이 보인다
시장이 활황기라고 해서 모든 종목이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오르는 종목은 계속 오르지만 오르지 않는 종목은 쉽사리 올라가지 않는다.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는 주식 격언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 시장 활황기를 주도하는 업종은 따로 있다. HTS를 통해 주도 업종을 선별하고 그 상승세가 확실히 꺾일 때까지 주도 업종에 올라타라.
일곱 번째 원칙
종목 선택 : 업종을 선도하는 종목은 더 크게 오른다
같은 업종에 있다고 해서 그 업종에 속한 모든 기업이 잘 나가는 것은 아니다. 같은 업종이라도 선도하는 종목은 따로 있다. 또 시장을 주도하는 업종이 아니더라도 나 홀로 우뚝 서는 종목도 있다. 선도 종목이든 나 홀로 우뚝 선 종목이든 잘 나가는 종목에 투자하라. 싸다고 덮썩 달려들지 마라. 싼 게 비지떡이다.
여덟 번째 원칙
매매 타이밍 : 기준이 단순할수록 수익률도 올라간다
주식을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할지에 관한 이론들은 수없이 많다. 하지만 그 많은 이론들은 결국 추세, 이동평균선, 거래량, 캔들, 주가 위치라는 5가지 분석틀에 기반한 것이다. 이 책에서 제시한 5가지 분석틀에 관한 내용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그 가운데 당신만의 기준을 선택하라. 그리고 선택한 기준대로 주식을 사고팔아라.
아홉 번째 원칙
손실 방지 : 자금 관리만 잘해도 이익이 두 배로 늘어난다
누구나 주식 투자에서 가끔씩 손실이 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손실을 완전하게 피하려 하기보다는 손실 상황을 인정하고, 그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손실 방지를 위한 자금 관리 5원칙’을 실천한다면 당신의 손실은 최소화될 수 있고, 반대로 이익의 폭은 넓혀갈 수 있다.
[부록 1] 백전백승 투자 비법
[부록 2] 주가 2000 시대의 장기 투자 유망 종목 10선
[부록 3] 주가 2000 시대의 단기 투자 유망 테마 10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