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6707523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2-02-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사활을 걸고 뛰어든 투자시장
감사의 글
PART 1 백화점, 대형마트의 매출을 확인하라
01 보석 매출의 증가는 경기회복의 신호
02 금은 결코 안전자산이 아니다
03 아버지가 가져다준 대박종목
04 기업의 가계부, 재무제표
05 주가상승의 핵심은 영업이익
06 5배 수익으로 돌아온 국순당 투자
07 기업마다 PER, PBR을 상황에 맞게 적용하라
08 주가하락의 적신호를 알려주는 원자재 가격
09 자금은 나의 것
PART 2 당신은 어떤 브랜드를 쓰고 계십니까?
01 훌륭한 종목은 집 안에 숨어 있다
02 납품사의 재고자산 추이부터 확인하라
03 스포츠구단을 소유한 기업부터 관심을 가져라
04 스포츠구단 + 장수상품 = 금상첨화
05 스포츠마케팅 기사를 놓치지 마라
06 상품의 원가가 기업의 미래를 보여준다
07 성장 가능성보다 부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라
PART 3 사람들의 행동만 잘 살펴도 세상을 읽을 수 있다
01 신문 속에 답이 있다
02 가격 부담이 되는 제품을 만드는 기업은 매수하지 마라
03 미래에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04 주식도 적립식으로 할 수 있다
05 버티면 이긴다
06 하찮은 정보도 두들겨보라
PART 4 이슈가 되고 있는 제품을 놓치지 마라
01 가족과 친구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관찰하라
02 최고의 제품은 현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제품이다
03 뛰는 자가 아닌 나는 자가 되라
04 분석보고서는 참고만 하라
05 스스로를 믿어라
PART 5 배당파워를 기억하라
01 장기거래량이 감소하는 동시에 주가가 상승하는 기업
02 배당으로 기업의 고평가 혹은 저평가를 판단한다
03 이자는 받으려고 하면서 왜 배당은 받으려고 하지 않는가
PART 6 기업을 보면 전체가 보인다
01 코스피지수를 예측한다?
02 선물옵션은 투자용이 아니라 헤지용
03 주도주로 시장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04 거시경제보다 기업에 집중하라
05 초보자라면 보험의 업황을 파악하라
PART 7 미래예측은 실패할 때가 더 많다
01 기업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찾아라
02 현재와 미래 사이를 잇는 다리가 있어야 한다
PART 8 고정관념을 탈피하라
01 대형주는 거북이, 중소형주는 토끼?
02 과거의 실패에 얽매이지 마라
03 산업의 중심을 파악하라
PART 9 좋은 기업을 찾아내는 재무비율의 기준
01 재무비율 변동이 10% 이내인 기업에 투자하라
02 무조건 현금이 많은 기업을 찾아라
03 차트는 미래를 보여주지 않는다
PART 10 싸움의 기술
01 우량주도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
02 기관과 외국인이 많이 매수한 종목은 피하라
03 오늘 반드시 사야 하는 이유는 없다
04 매매할 때는 장사꾼이 되어라
PART 11 원망하지 말고 자신부터 되돌아보라
01 비밀정보가 당신의 돈을 갉아먹는다
02 최고의 낚시꾼은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다
에필로그 죽을 각오로 덤벼라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난 12년 동안 주식시장의 흐름을 지켜보았다. 12년간 쉬지 않고 시장조사를 하고 투자하는 동안 많은 위기들이 있었다. 이런 위기들을 겪으면서 대외 여건에 흔들리지 않았던 이유는 미래를 예측하고 그 과정을 확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소위 말하는 ‘믿는 구석’이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우직한 투자를 하고 일관된 주장을 할 수 있었다.
시장에 퍼진 이상한 착각 중 하나는 금이 위기 시에 안전자산으로 부각되어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는 헤지펀드들의 투자특성 중 하나로 널리 퍼진 것인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금을 비롯한 보석의 수요는 유동성 확대와 축소에 따른 포트폴리오 중 하나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금가격의 상승은 보석의 수요가 증가한다는 말, 즉 사람들의 자금에 여유가 생긴다는 말이 된다.
음식료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가에 대한 부담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제 소맥상품 가격동향 또한 반드시 파악해야 한다. 특히 상품가격이 원가로 작용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매출원가가 1분기 후에 잡힌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국순당을 예로 들면 6월을 기점으로 소맥 가격이 상승했기에 3개월 후인 9월에는 매출원가가 영업이익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예측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