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후변화의 이해

기후변화의 이해

(정책과 경제 그리고 과학의 관점에서)

정회성, 정회석 (지은이)
환경과문명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후변화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후변화의 이해 (정책과 경제 그리고 과학의 관점에서)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기상학/기후
· ISBN : 9788996737872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13-10-23

책 소개

저자들은 우리나라 기후변화 연구 및 정책 현장에서 가장 가깝게 접하면서 기후변화의 영향과 이에 따르는 정책과 경제 그리고 과학과 기술 부분을 종합적으로 꼼꼼하게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목차

서장: 기후변화와 인류문명

1. 개관 28
2. 기후변화와 인류의 진화 30
1) 빙하기에 진화한 인류 30
2) 불의 발명과 이용의 효과 30
3) 인류의 범지구적 확산 31
4) 대형 초식동물 멸종 32
3. 농업문명 시기와 지구 기후 33
1) 농업의 도입 33
2) 고대 기후 최적기 33
3) 고대 기후 요동기 35
4) 중세 온난기와 소빙기 36
4. 산업문명과 기후변화 38
1) 산업문명 등장기의 기후와 환경 38
2) 산업문명의 기후 체계 영향 38
5. 전환기에선 인류와 문명 41


제Ⅰ부 기후변화의 이해

제1장 지구의 기후조율 체계와 구조

1. 개요 44
2. 지구 기후변화의 자연적인 요인 45
1) 태양활동의 왕성도 45
2) 지구의 태양 순환 주기 46
3) 해양 해류 흐름의 변화 48
4) 몬순현상 48
3. 대기 및 지표조건의 변화 49
1) 대기 중 가스 상 물질의 농도 49
2) 지표조건의 변화 50
4. 자연적인 기후변화의 역사 51


제2장 지구온난화와 인위적 기후변화

1. 개요 54
2. 온실효과와 인위적 지구온난화 57
1) 인간 배출 온실가스와 기여도 57
2) 화석에너지 이용과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 58
3. 인위적인 온난화에 대한 논란 61
1) 인위적인 온난화를 긍정하는 입장 61
2) 인위적인 온난화를 부정하는 입장 62
4. 종합평가 67

제3장 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향후 전망

1. 지구 기후모델의 발달 70
1) 지구 기후예측 모델의 발달 70
2) 미래 기후변화 예측의 어려움 71
2. 기후변화 영향인자 72
1) 태양활동의 변화 72
2) 물 순환과 지표 빙설의 변화 72
3) 화학적 반응과 대기의 산화상태 72
4) 황산에어로졸과 먼지 73
5) 이산화탄소의 시비(施肥) 효과 73
6) 산림 탄소의 변화 74
7) 토양함유 유기물질의 변화 74
8) 대양에서의 환류 작용 75
3. IPCC의 기후변화 예측 시나리오 76
1) 기후변화 원인규명을 위한 실험 76
2) 미래 기후전망을 위한 시나리오 76
4. 지구 온난화의 향후전망 79

제Ⅱ부 기후변화의 생태-경제적 영향

제1장 기후변화의 영향

1. 지구환경 서비스와 기후변화 82
2. 기후변화의 생태-경제적 영향 85
1) 인류와 기후변화 영향 85
2) 기후변화의 환경-생태적 영향 85
3)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88
3. 기후변화 영향의 상호연계성 91
1) 대기오염문제 91
2) 개발도상국 빈곤문제 악화 91
4. 기후변화의 지역별 영향과 2100년 가상지도 93
1) 기후변화의 지역별 영향 93
2) 2100년 가상지도 93
제2장 기후변화의 환경-생태부문 영향

1. 수자원 부문 영향 96
1) 지구 수자원 문제 96
2) 기후변화의 수자원 영향 구조 97
3) 수자원 문제와 국제사회 97
2. 토양 및 산림 생태영향 100
1) 토지와 숲의 다양한 기능 100
2) 기후변화의 토양 및 산림생태 영향과 전망 103
3. 생물종 다양성 영향 107
1) 생물종 다양성 감소 107
2) 지구온난화와 생물종 다양성 107
4. 해양생태계 영향 111
1) 바다의 환경-생태적 가치 111
2) 기후변화의 해양생태 영향과 전망 113

제3장 기후변화의 사회-경제부문 영향

1. 자연재해 영향 116
1) 급격한 기후변화와 대형 자연재해 116
2) 각종 기상이변의 강도 및 빈도 증가 117
2. 환경보건 영향 120
1)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120
2) 기후변화의 환경보건상 영향 123
3. 농업생산과 식량문제 126
1) 포화상태의 지구와 식량문제 영향 126
2) 지구온난화와 식량공급 영향 128
4. 사회기반시설과 산업부문 영향 132
1) 기후변화와 사회기반시설 132
2) 기후변화와 산업부문 134

제Ⅲ부 기후변화와 국제사회

제1장 기후변화 문제의 국제화

1. 기후변화의 국제 의제화 과정과 주요 쟁점 138
1) 기후변화의 국제 의제화 과정 138
2)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주요 쟁점 140
2. 지구 온난화 억제 목표에 대한 합의 문제 142
1) 온난화의 자기 증식 효과 142
2) 지구 온난화 억제 목표 142
3.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설정과 국별 배분문제 144
1) 감축 대상 가스와 흡수원 인정 여부 144
2) 온실가스 감축량의 국별 배분 문제 144
3) 감축 수단의 유연성 부여 문제 144
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개도국 지원 문제 146

제2장 기후변화협약과 당사국 총회의 전개과정

1. 유엔 기후변화협약 148
2.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의 전개과정 150
1) 당사국총회의 전개과정 150
2) 당사국총회 참가국별 입장 152
3. 교토의정서와 이행문제 154
1) 교토의정서의 채택 154
2) 교토 메카니즘의 구조 155
4. 후기 교토체제 논의의 전개 과정 156
1) 논의의 전개과정 156
2) 발리 로드맵 157
3) 코펜하겐 회의 159
4) 칸쿤 회의 159
5) 더반 회의 160
6) 카타르 회의 161

제3장 탄소시장의 등장과 발전

1.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의 의의와 배출권의 종류 164
1)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의 의의 164
2) 탄소배출권의 개념과 종류 165
2. 주요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166
1) 유럽연합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166
2) 미국 시카고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166
3)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 167
3. 청정개발체계의 의의와 활용방법 166
1) 청정개발체계 사업의 의의 168
2) 청정개발체계 사업의 참가 조건과 주관기관 168
3) 청정개발체계 사업의 수행절차 169
4. 탄소시장의 성장추이와 연관 산업의 발달 170
1) 탄소시장의 성장추이 170
2) 탄소펀드의 등장과 발전 170
3) 탄소시장과 신산업의 발달 171
4) 청정개발체계가능 사업 분야 172

제Ⅳ부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경제

제1장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1. 기후변화 문제 대응의 어려움 176
2. 기후변화 문제의 특성 178
1) 기후변화 문제의 불확실성 178
2) 기후변화 현상의 불가역성 178
3) 이해관계의 첨예함과 복잡성 179
4) 원인행위자와 피해자간의 불일치성 179
5) 기후변화 문제의 윤리성 180
3.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접근방향 182
1) 예방적인 접근 182
2) 융합적인 접근 182
3) 국내와 국제 정책의 조화 183
4)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183
5) 통합적 정책수단의 활용 184
4. 제안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 대응방안 185
1) 지구온난화 대응 방향 185
2) 지구 기후조율 체계에의 공학적 개입 186
3) 온실가스의 포집 제거와 저장 187
4) 이산화탄소 자연 흡수 능력의 제고 188

제2장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수단

1. 기후변화 영향 모형과 대응비용 구조 190
1) 기후변화 영향 모형 190
2) 기후변화 대응 비용과 편익 190
2.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완화와 적응 192
1) 기후 변동량과 기후 민감도의 저감 192
2)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정책의 관계 192
3. 기후변화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수단 194
1) 기후변화가스 저감 수단 194
2) 탄소세(Carbon Tax) 195
3) 배출권 거래제도 196
4) 기술정책 198
4. 기후변화 대응정책에 대한 통합적 접근 200
1) 완화와 적응정책의 통합 200
2)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발전의 통합 200


제3장 기후변화의 비용-편익분석

1. 기후변화에 대한 경제적 분석의 의미 202
2. 환경가치의 경제적 평가 204
1) 환경가치의 경제적 의미 204
2) 환경가치의 종류 204
3) 환경가치의 측정방법 205
3. 환경문제와 비용-편익 분석 209
1) 비용-편익 분석의 의의 및 방법 209
2) 사회적 비용 및 편익 측정방법 210
3) 할인율 문제 211
4) 의사결정: 대안의 비교와 평가 211
4. 기후변화의 비용-편익 분석 213
1) 기후변화 비용-편익분석의 의의 213
2) 기후변화 비용-편익분석의 방법 214

제Ⅴ부 부문별 기후변화 대응 기술과 정책

제1장 기후변화 적응기술과 정책

1.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 220
2. 기후 안정을 위한 토지이용 방법 223
1) 토지이용 형태 변화 223
2) 토양내 탄소 보강 223
3) 고탄소 경작시스템 창출 224
4) 기후 친화적 목축 225
5) 식생에 의한 탄소 저장 확대 226
3. 생물종 다양성의 보전 227
1) 산림벌채 방지와 훼손 산림 복원 227
2) 생물 서식지의 보전과 연결 227
3) 동물보호프로그램의 실행 227
4) 자연보호지역제도의 활용 228

4. 자연재해 예방 및 수자원 확보 231
1) 기후변화 예측 및 영향 평가능력 제고 231
2) 자연재해 예방형 국토 및 도시 관리 231
3) 기후변화 대응 수자원 확보 232
5. 기후관련 환경보건문제 대비 234
1) 기후변화 건강영향평가 체계 확립 234
2) 환경위생 관리 강화로 신종바이러스 대비 235
3) 바른 식생활 문화 정착 236
4) 건강한 환경유지 노력의 중요성 237
6. 식량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 238
1) 식량 소비 관점에서의 대안 238
2) 식량 생산 관점에서의 대안 240
3) 지속 가능한 수산양식업의 발전 243

제2장 에너지 이용체계의 변환

1. 새로운 에너지원 발굴의 시급성 246
2. 재생 에너지의 개발과 보급 248
1) 태양에너지 248
2) 풍력 248
3) 수력 250
4) 생물자원과 쓰레기 250
5) 해양 에너지 252
6) 지열 253
7) 조류연료 253
3. 신에너지 기술의 개발과 보급 254
1) 수소연료와 연료전지 254
2) 석탄가스화 복합기술 255
3) 원자력 발전과 핵융합 기술 256
4. 신재생 에너지의 한계와 활용 방안 258
1) 신재생 에너지의 한계 258
2)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방안 259

제3장 자원 및 에너지의 절약 및 이용 효율 증진

1. 기후 및 환경 문제 해법으로서 절약 262
1) 낭비를 막아 환경보호와 기후변화 예방 262
2) 작은 것이 아름답다: 불교의 경제학 262
2. 전기 생산과 이용에서의 효율증진 264
1) 전기의 역사와 에너지 효율 264
2) 전기생산과 이용의 효율증진 264
3. 에너지와 물자 소비 절약 시민운동 266
1) 물자소비 10분의 1 줄이기 운동 266
2) 쿨비즈와 웜비즈 운동 268
3) 요람에서 요람까지 : 제품의 수명 연장 268
4. 친환경 교통의 활성화 270
1) 기후변화와 교통부문 270
2) 친환경 교통체계의 구축 271

제4장 저탄소형 인간 정주체계

1. 화석연료와 도시의 발달 274
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 녹색도시 276
1) 저탄소 녹색도시 개념의 등장 276
2) 저탄소 녹색도시의 계획요소 276
3)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의 개발 277
4) 교통-에너지-녹지-토지이용 통합 279
3.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건축 280
1) 건축물과 에너지 소비 280
2) 에너지 절약형 건축기술 280
4. 세계의 주요 저탄소 녹색도시 282
1)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282
2) 브라질 쿠리찌바시 282
3) 영국 런던 베드제드 단지 282
4) 일본 키타규슈시 283

제Ⅵ부 한국의 기후변화와 대응정책

제1장 한국의 기후변화 추이와 전망

1. 한국의 지형과 기후특성 286
1) 지형과 기후 286
2) 환경생태와 문화 287
2. 한반도의 기후변화와 전망 288
1) 한반도 온난화 추이와 전망 288
2) 해수면 상승 추이와 전망 293
3) 자연재해 발생 추이와 전망 295

제2장 한국 기후변화의 생태-경제적 영향

1. 산림생태계와 생물종 다양성 영향 298
1) 추이 298
2) 향후 전망 298
2. 농수산업 생산에 대한 영향 300
1) 추이 300
2) 향후 전망 301
3. 기후변화의 국민보건 영향 302
1) 추이 302
2) 향후 전망 302
4. 산업 및 경제부문 영향 305

제3장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발달과정과 주요내용

1.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와 전망 308
1)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여건 308
2)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와 구조 309
3) 2020 온실배출량 전망 310
2.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추진과정 312
1) 정부정책의 발달과정 312
2) 기후변화종합대책의 수립과 시행 314
3.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315
1)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315
2) 국가 녹색성장 전략 수립 315
3)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315
4. 현행 기후변화 대책의 주요 내용 317
1) 2020 국가감축 목표량 317
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부문별 주요 대책 317
3)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와 배출권 거래제 318
4) 국가 및 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318

종장: 기후 및 환경 친화적 녹색발전

1. 서언 322
2. 기후 및 환경 친화적 발전 전략 모색 324
1) 필요성 324
2) 기후 및 환경보전의 녹색발전 주류화 324
3. 기후 및 환경친화적 녹색발전의 지향점과 전략 326
1) 녹색발전의 지향점 326
2) 주요 전략과제 327
4. 건강한 환경이 우리 행복의 최소 안전장치 329
1) 모든 것이 연결된 지구환경 329
2) 건강한 환경이 우리 행복의 최소 안전장치 329
5. 지구환경에 대한 우리의 책무 332

참고문헌 336
팁목차 350
그림목차 352
표목차 354

저자소개

정회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졸업 미국 West Virginia University 정책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역임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역임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일본 지구환경전략연구소(IGES) 이사회 이사 역임 한국환경정책학회 회장 역임 새국토연구협의회 공동위원장 역임 한림대학교 초빙교수 역임 (사) 환경과 문명 대표 역임 <주요저서> ?전환기의 환경과 문명: 기후, 환경과 인류의 발자취? 지모, 2009 ?전통의 삶에서 찾는 환경의 지혜?(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녹색지구를 만들어요? 주니어김영사, 2010 외 다수
펼치기
정회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 영국 런던대학교(UCL)에서 환경 및 자원경제학 석사, 동국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 제30회 행정고시를 합격하여 경제기획원에서 사무관으로 근무하였으며, 1996년 환경부로 옮겨 환경정책실, 폐기물자원국, 자원보전국을 거쳐 대변인, 환경보건정책관, 영산강유역환경청장, 상하수도국장 등을 역임했다. 환경부 근무 중 OECD 사무국에 파견되어 「OECD 환경전망」(OECD Environmental Outlook 2020) 작업 등에도 참여했다. 현재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이사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