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96819516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21-11-30
목차
서문 1
제1장 칼 맑스 : “천년의 사상가”, “인류 최고의 철학자” 19
제1절 인류사상사 광휘의 위업 : 위대한 혁명사상의 진수 21
1. 맑스 : 천년의 사상가, 인류 최고의 철학자로 선정 22
2. 『공산당선언』과 『자본』(Das Kapital) :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26
제2절 맑스의 철학혁명의 총체적인 창립과정 32
1. 제1ㆍ2단계 철학혁명의 개관 33
2. 제1ㆍ2단계 철학혁명의 구체적인 내용 분석 38
제3절 맑스의 철학사상의 혁명적 전환에 관한 6대 학설 61
1. 제1차 질적 전환 후 양적 변화설 (=완전전환설) 62
2.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의 최고봉설 (=정점설) 70
3. 인식론적 단절설 75
4. 제1ㆍ2차 연속 질적 전환설 82
5. 『파리수고』 중 「밀 평주」의 질적 전환설 91
6. 제1ㆍ2단계 철학혁명설 98
제4절 맑스의 철학사상의 실질과 양대 철학 논리 103
1. 철학교과서의 “원리”(原理) 출발기점의 해석 105
2. 고전대가의 “원전”(MEGA) 출발기점의 해석 109
제5절 맑스의 철학사상의 성격과 내용 분석 116
1. 신유물론과 구유물론의 근본적인 차이점 117
2. 맑스의 철학체계상의 다면성과 전체성
- 신유물론ㆍ실천유물론ㆍ역사유물론ㆍ변증유물론의 관계 125
3. 맑스의 철학혁명의 완성 및 시기 구분 134
제2장 세계사상사 위대한 변혁의 전주곡 143
제1절 맑스철학 성립의 전제성 : 사회-경제적, 역사-문화적 배경 145
1. 맑스철학 창립의 사회경제적 조건
- 자본주의 사회경제의 새로운 발전단계로의 진입 146
2. 맑스철학 창립의 계급적 기초
- 독립적인 프롤레타리아계급의 형성과 계급투쟁의 격화 153
3. 맑스철학 창립의 사상적 전제
- 역사발전을 추동하는 진보적인 선진사상 이론의 출현 159
제2절 맑스철학 창립의 기초성 : 헤겔철학의 해체와 청년헤겔운동 190
1. 헤겔철학의 시대적 제한성 190
(1) 해체원인 : 보수적 체계와 혁명적 방법 간의 모순 191
(2) 분열원인 : 종교비판과 정치비판의 필연적인 결과 195
2. 청년헤겔운동의 사상적 개관 197
3. 청년헤겔운동의 사상적 전개와 발전 199
4. 청년헤겔운동의 종말과 사상적 평가 211
제3장 혁명적 민주주의와 철학적 세계관의 전환과정 213
제1절 청년맑스의 철학사상의 형성과정 215
1. 《베를린대학》 시기 : 맑스의 철학사상의 성격 216
2. 칸트철학과 피히테철학에서 헤겔철학으로의 전환 220
3. 「에피쿠로스철학-스토아철학-회의론철학노트」 223
4. 청년맑스의 『박사논문』과 자기의식철학 226
제2절 청년맑스의 헤겔철학에 대한 위기와 유물론으로의 모색 230
1. 『라인신문』 시기 : 맑스의 철학사상의 성격 231
2. 자유이성의 원칙에 의한 언론검열제 비판 244
3. 노동대중의 정신적 자유 실현과 언론출판의 자유 246
4. 물질적 계급적 관계의 본질과 경제 문제로의 최초 이행 247
5. 전제주의 절대왕정국가의 반민중적 정책 비판 250
제3절 청년맑스의 헤겔법철학비판과 인본주의적 유물론으로의 변화 254
1. 《크로이츠나하》 시기 : 맑스의 철학사상의 성격 255
2. 청년맑스의 역사연구와 『크로이츠나하노트』 264
(1) 『크로이츠나하노트』 : 기본적인 구성형식 265
(2) 『크로이츠나하노트』 : 기본적인 연구내용 257
(3) 『크로이츠나하노트』 : 혁명적 신유물론의 발원지(?) 272
3. 헤겔법철학비판과 포이에르바하의 유물론적 방법론 275
(1) 맑스가 응용한 포이에르바하의 전도방법 276
(2) 헤겔의 법철학에 대한 비판의 필연성 281
(3) 시민사회의 정치국가에 대한 결정성 285
4. 헤겔법철학비판과 맑스의 시민사회이론 288
(1) 헤겔의 『법철학원리』 중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 289
(2) 맑스의 『헤겔법철학비판』 중 국가와 시민사회의 철학적 원칙 292
5. 청년맑스의 세계관의 전환과정 중 포이에르바하의 영향 295
(1) 포이에르바하철학 : 사변신학+사변철학의 비판적 계승 297
(2) 포이에르바하철학의 기초 : 인본주의+직관유물론 300
(3) 포이에르바하철학의 출발점 : 감성적 자연계+추상적 인간 304
(4) 포이에르바하의 유물론+신학비판+인본주의=청년맑스에게 영향 306
(5) 청년맑스의 철학사상의 발전과정 중 포이에르바하의 단계 313
제4절 청년맑스의 혁명적 신유물론의 요소와 철학적 공산주의로의 전환 323
1. 『독불연보』 시기 : 맑스의 철학사상의 성격 324
2. 인본주의적 유물론의 프레임 중 철학적 공산주의로 발전 334
(1) 청년맑스의 인본주의의 형성 335
(2) 청년맑스의 철학적 공산주의의 단계 341
3. 종교해방-정치해방-인류해방과 프롤레타리아계급 347
(1) 유대인 문제는 종교문제의 세속문제로의 전화 348
(2) 프롤레타리아계급은 인류해방의 물질적 역량 350
(3) 프롤레타리아계급의 세계사적 임무 최초로 제출 353
4. 철학소멸과 철학실현 : 프롤레타리아계급과 철학의 지양 355
제4장 철학적 인본주의와 혁명적 신유물론의 형성단계 359
제1절 인본주의철학의 프레임 중 신유물론철학의 혁명전야 361
1. 『파리수고』 시기 : 맑스의 철학사상의 성격 362
2. 맑스의 「정치경제학비판」 연구로 전환하게 된 최초의 동인 366
3. 『파리수고』 : 혁명적 신유물론철학의 진정한 발원지(?) 370
4. 포이에르바하의 인본주의철학 프레임의 해체과정 377
5.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 : 포이에르바하의 영향과 초월 385
제2절 청년맑스의 세계관의 전환과정 중 최초의 철학사상의 정립 394
1. 「철학+정치경제학+공산주의」 : 제1차 초보적 융합
- 청년맑스의 사상발전의 중대한 비약 395
2. 청년맑스의 철학사상의 발전과정 중 소외노동이론의 역할 399
3. 소외노동학설과 자본주의적 소유제 비판 403
4.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존재의 4대 소외현상 406
(1) 제 1 소외형식 : 인간이 생산한 노동생산물로부터의 소외 408
(2) 제 2 소외형식 : 노동과정(생산과정) 그 자체로부터의 소외 411
(3) 제 3 소외형식 : 인간 자신의 유적 본질로부터의 소외 414
(4) 제 4 소외형식 : 인간과 인간 간의 소외 417
제3절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 중 청년맑스의 공산주의관 420
1. 청년맑스의 사회주의-공산주의 학설에 대한 입장 421
2. 공산주의는 사유재산의 적극적 지양이자 인간의 자기해방 428
3. 공산주의는 완성된 인본주의와 완성된 자연주의의 통일 429
4. 공산주의는 인간소외의 근본적인 지양을 통한
진정한 사회적 인간으로의 복귀 431
제4절 청년맑스의 사상발전과정 중 초보적 철학형태에 대한 논쟁 433
1. 서방(네오)맑스주의의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에 대한 해석 434
(1) 인본주의적 맑스주의의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에 대한 해석 434
(2) 과학주의적 맑스주의의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에 대한 해석 436
2. 정통맑스주의의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에 대한 해석 438
제5절 혁명적 신유물론철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 440
1. 『신성가족』 : 맑스의 철학사상의 성격 441
2. 청년헤겔학파의 〈주관적 관념론〉과 〈관념론적 역사관〉에 대한
비판 및 청산 443
3. 혁명적 신유물론철학의 기본원리에의 접근
-〈물질생산은 전체 인류역사의 발원지〉 사상의 철학적 원칙 450
4. 인민대중(=노동자-민중)은 역사의 진정한 창조자 452
제5장 혁명적 신유물론과 제1단계 철학혁명의 서막 455
제1절 혁명적 신유물론의 철학적 패러다임으로의 대전환 457
1. 혁명적 신유물론(=실천유물론) 철학사상의 테제 제출 457
2.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테제들』을 관통하는 철학사상
- 실천유물론사상 (=신유물론철학사상) 460
3. 구유물론의 주요 결함은 감성적 대상에 대한 직관적 이해 464
4. 인간의 주체적 능동성은 관념론에 의해 추상적으로 발전 469
제2절 혁명적 신유물론철학의 실천패러다임의 운용 471
1. 실천은 인식의 기준이자 진리검증의 표준 471
2. 실천은 환경과 인간 개조의 결정적 작용 474
3. 맑스의 실천관과 포이에르바하의 실천관 476
제3절 종교 출현의 사회적 조건과 종교의 소멸과정 479
1. 포이에르바하의 종교-신학비판 및 한계성 481
2. 종교 출현의 사회적 원인과 종교의 소멸과정 484
제4절 맑스와 포이에르바하의 인간관과 역사관 487
1. 포이에르바하의 인간관 : 추상적 인간 487
2. 포이에르바하의 관념론적 역사관의 인식론적 근원 490
3. 맑스의 인간관 : 사회적 관계의 총체 491
4. 사회생활은 본질상 실천적이라는 과학적 테제 제출 494
5. 직관성은 구유물론의 역사관의 근본적인 결함 499
6. 사회적 인류는 신유물론의 역사관의 출발점 502
제5절 혁명적 신유물론의 세계발전사적 지위와 역량 505
1. 혁명적 신유물론은 세계변혁의 철학적 토대 505
2. 혁명적 신유물론의 계급적 기초508
3. 혁명적 신유물론의 역사적 지위와 세계사적 역할 510
제6장 혁명적 신유물론과 제1단계 철학혁명의 완성 513
제1절 혁명적 신유물론철학의 진정한 창립과정 515
1. 혁명적 신유물론의 역사관과 혁명적 신세계관의 완성 516
2. 혁명적 신유물론의 창립 : 1845~1846년 맑스의 철학혁명 521
3. 혁명적 신유물론의 전체 내용과 논리구조 528
4. 혁명적 신유물론의 지위 및 역할 논쟁 536
제2절 『독일이데올로기』 : 세계사적 철학혁명의 지위 542
1. 혁명적 신유물론의 실질과 논리구조 543
2. 혁명적 신유물론의 핵심과 기본사상 546
제3절 혁명적 신유물론철학의 기본원리 창립 552
1. 혁명적 신유물론의 논리기점의 양대 전제 553
2. 사회적 존재의 결정성과 사회적 의식의 상대적 독립성 558
3. 분업과 소유제 형식의 발전-변화의 변증법 569
4. 생산력과 교류형태 간의 변증법적 기본원리 제출 572
5. 시민사회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상부구조의 기초 582
6. 계급-국가-사회혁명의 변증법 585
제4절 『독일이데올로기』 중 공산주의 사상에 대한 포괄적 창립 590
1. 공산주의는 현실운동이자 자본주의적 사적소유의 소멸운동 591
2. 공산주의 계급적 기초는 세계프롤레타리아트 594
3. 공산주의 존재는 세계사적인 발전 추세와 선진의식을 전제 598
4. 공산주의 실현은 고도로 발전된 물질적 생산력을 전제 600
5. 공산주의는 개인해방과 인류해방의 전면적인 발전의 추동력 603
제5절 막스 슈티르너 및 진정한 사회주의에 대한 철학비판 606
1. 『유일자와 그 소유』 및 막스 슈티르너의 관념사관의 비밀 607
2. 막스 슈티르너의 이기주의적 실질과 무정부주의적 국가관 610
3. 〈‘진정한’ 사회주의〉 : 철학적 토대 비판 613
4. 〈‘진정한’ 사회주의〉 : 핵심이론의 분석과 계급적 기초 폭로 616
제6절 국제 맑스주의 학술계의 『독일이데올로기』의 판본 상황 619
1. 독일맑스주의 학술계의 『독일이데올로기』 판본의 기본상황 620
2. 소련맑스주의 학술계의 『독일이데올로기』 판본의 기본상황 627
3. 일본맑스주의 학술계의 『독일이데올로기』 판본의 기본상황 632
4. 중국맑스주의 학술계의 『독일이데올로기』 판본의 기본상황 638
5. 한국맑스주의 학술계의 『독일이데올로기』 판본의 기본상황 641
6. MEGA와 『독일이데올로기』 제1권 제1장 판본의 기본상황 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