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인응급처치학

노인응급처치학

이상곤, 기은영, 김광석 (지은이)
신원의학서적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인응급처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인응급처치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응급의학
· ISBN : 9788996931379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13-08-25

책 소개

저자가 그 동안 노인의료에 대한 강의를 수년간 담당해오면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노인의학의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려고 했을 뿐만 아니라, 노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응급질환들을 심도있게 다루고자 노력하였다.

목차

제1장│노화

01. 노화의 개념 _ 1
02. 노인의 특성 _ 2
(1) 노인의 신체적 특성 _ 2­
(2) 노인의 심리적 특성 _ 3
(3) 노인의 사회적 특성 _ 6
03. 인구학적 특성 _ 6
(1) 노인인구의 증가 _ 6
(2) 인구구조의 변화 _ 8
(3) 기대 수명의 연장 _ 9
(4) 노령화 지수와 노년부양비 _ 9
(5) 성비 구성 _ 10
(6) 지역별 노인 인구 분포 _ 10
04. 노인건강 및 의학적 특성 _ 11
(1) 노인의 건강상태 _ 11
(2) 노인의 유병률 _ 11
(3) 주요 사망 원인 _ 12
(4) 노인의 의료이용 행태 _ 13
(5) 노인의 기능장애 _ 13
05. 노화이론 _ 14
(1) 생물학적 노화이론 _ 14
(2) 사회·심리적 노화이론 _ 18
(3) 환경적 노화이론 _ 20

제2장│노화에 따른 기관변화

01. 피부계(Dermatologic System) _ 24
(1) 노화에 따른 피부계 변화 _ 24
(2) 노화와 관련된 피부계 질환 _ 25
1) 소양증(Pruritus) 25
2) 악성피부신생물 25
3) 욕창(Decubitus Ulcer) 26
4) 대상포진(Herpes Zoster) 27
5) 체온조절 장애 28
02.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_ 28
(1) 노화에 따른 심혈관계 변화 _ 28
1) 심장 28
2) 전도계 28
3) 심박출량 29
4) 혈압상승 29
5) 혈관계 29
(2) 노화와 관련된 심혈관계 질환 _ 30
1) 고혈압(Hypertension) 30
2)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31
3)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33
4) 부정맥(Arrhythmia) 34
5) 울혈성심장기능상실(Congestive Heart Failure) 36
6) 말초동맥질환(Peripheral Artery Disease) 37
7) 말초정맥질환((Peripheral Venous Disease) 38
03.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 _ 38
(1) 노화에 따른 호흡기계 변화 _ 38
(2) 노화와 관련된 호흡기계 질환 _ 40
1) 폐렴(Pneumonia) 40
2) 결핵(Tuberculosis) 41
3)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41
4) 인플루엔자(Influenza) 43
5) 후두암(Laryngeal Cancer) 44
6) 폐암(Lung Cancer) 44
04. 소화기계(Digestive System) _ 45
(1) 노화에 따른 소화기계 변화 _ 45
1) 구강 45
2) 식도 46
3) 위 46
4) 췌장·간·담도계 46
5) 소장·대장 47
(2) 노화와 관련된 소화기계 질환 _ 47
1) 위염(Gastritis) 47
2)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47
3) 게실(Diverticula) 48
4) 위암(Gastric Cancer) 49
5) 대장직장암(Colorectal Carcinoma) 49
6) 구강건조증(Xerostomia) 50
7) 간염(Hepatitis) 51
8) 간경화증(Liver Cirrhosis) 52
9) 췌장염(Pancreatitis) 52
10) 췌장암(Pancreatic Cancer) 52
05. 비뇨기계(Urologic System)_ 53
(1) 노화에 따른 비뇨기계 변화 _ 53
1) 신장 53
2) 방광 54
3) 요도 54
4) 전립선 54
(2) 노화와 관련된 비뇨기계 질환 _ 54
1)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54
2)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55
3)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trophy) 56
4) 콩팥기능상실(Renal Failure) 56
5) 전립선암(Prostate Cancer) 59
6) 방광암(Bladder Cancer) 59
06. 근골격계(Musculoskeletal System)_ 59
(1) 노화에 따른 근골격계 변화 _ 60
1) 외모와 골격의 변화 60
2) 근육 60
3) 관절변화 61
(2) 노화와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 _ 61
1) 골다공증(Osteoporosis) 61
2) 고관절골절(Hip Fracture) 63
3) 골관절염(Osteoarthritis) 64
4)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ic Arthritis) 64
5) 통풍(Gouty Arthritis) 66
07. 내분비계(Endocrine System)_ 66
(1) 노화에 따른 내분비계 변화 _ 67
(2) 노화와 관련된 내분비계 질환 _ 68
1) 당뇨병(Diabetes Mellitus) 68
2) 저혈당증(Hypoglycemia) 69
3) 갑상샘 질병 70
08. 신경계(Nervous System)_ 72
(1) 노화에 따른 신경계 변화 _ 72
1) 뉴런(Neuron) 수의 감소 73
2) 시냅스의 변화 73
3) 뇌와 신경세포 구성성분 변화 73
4) 뇌의 신경호르몬 변화 74
5) 각 기능의 변화 74
(2) 노화와 관련된 신경계 질환 _ 75
1) 뇌졸중(Cerebro Vascular Accident: CVA) 75
2) 파킨슨 질환(Parkinson’s Disease) 77
09. 감각기계(Sensory System)_ 79
(1) 노화에 따른 감각기계 변화 _ 79
1) 시각 79
2) 청각 및 평형감각 80
3) 미각과 후각 80
(2) 노화에 따른 감각기계 질환 _ 81
1) 녹내장(Glaucoma) 81
2) 백내장(Cataract) 82
3) 청각장애 82
10. 정신사회 심리적 변화(Psychosocial and Emotional change) _ 83
(1) 노화에 따른 정서적 변화 _ 83
(2) 노화와 관련된 정신·사회심리적 질환 _ 84
1) 우울증(Depression) 84
2) 자살(Suicide) 86
3) 치매(Dementia) 90


제3장│노인응급

01. 노인환자_ 99
02. 노인인구의 증가와 응급의료에 미치는 영향 _ 99
03. 노인응급의료의 일반적 원칙 _ 100
04. 노인과 응급의료체계 _ 100
(1) 병원전처치체계 _ 101
(2) 이송체계 _ 101
(3) 병원진료체계 _ 102
(4) 통신체계 _ 102
05. 노인과 재난의료_ 102
(1) 중증도 분류 _ 102
1) 긴급환자(적색) 102
2) 응급환자(황색) 103
3) 비응급환자(녹색) 103
4) 지연환자(흑색) 103
(2) START(Simple Triage and Rapid Transport) 방법_ 103
06. 노인의 외상_ 103
07. 노인 응급질환 _ 105
(1) 발열과 감염(Fever and Infection) _ 105
(2) 복통(Abdominal Pain) _ 105
(3)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_ 105
(4) 환경관련 응급(Emergency related to environment) _ 106
(5) 중독(Intoxication) _ 106


제4장│노인환자 평가

01. 현장평가_ 107
(1) 사전평가 _ 107
(2) 현장의 안전성 조사 _ 109
(3) 신체분비물 격리 _ 109
(4) 질병의 특성과 손상기전 _ 109
1) 질병의 특성 109
2) 손상기전 109
(5) 환자 수의 파악과 추가적인 인원 및 장비 결정 _ 110
(6) 현장 통솔 및 관리 _ 110
02. 1차 평가 _ 110
(1) 순환평가 _ 110
(2) 기도평가 _ 111
(3) 호흡평가 _ 112
(4) 의식수준 평가 _ 112
(5) 노출된 의복을 통한 평가 _ 113
(6) 환자약물 _ 113
03. 2차 평가 _ 113
(1) 주요 신체징후 평가 _ 114
1) 맥박 114
2) 호흡 114
3) 혈압 115
4) 체온 116
5) 피부색 117
6) 모세혈관 재충혈 시간 117
7) 동공크기 및 동공반사 118
8) 의식상태 118
9) 운동기능 119
10) 감각기능 119
(2) 정밀 신체검사 _ 120
1) 외형 120
2) 머리, 안구, 귀, 코, 인후 121
3) 목 121
4) 흉부 121
5) 심혈관계 121
6) 복부 121
7) 근골격계 121
(3) 질병력과 손상력 조사 _ 121
1) 질병력 121
2) 손상력 122
04. 비침습적 평가기구_ 125
(1) 맥박산소측정기(Pulse Oximetry) _ 125
(2) 호기말이산화탄소측정기(Capnograph) _ 125
(3) 최대날숨유량검사(Peak Expiratory Flow Test) _ 126
05. 환자이송 중 평가_ 126


제5장│심장혈관계 응급

01.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_ 127
(1) 협심증(Angina Pectoris) _ 127
(2)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_ 129
02. 실신(Syncope) _ 130
03. 울혈성심장기능상실(Congestive Heart Failure) _ 131
04. 부정맥(Arrhythmia) _ 133
(1) 혈역학적 안정성 _ 134
(2) 부정맥 발생 후 경과시간 _ 134
(3) 좌심실수축력 _ 134
(4) 주기흥분증후군과의 연관성 _ 135
05. 고혈압 응급(Hypertensive Emergency) _ 135
06. 급성심장사(Acute Cardiac Arrest) _ 136
(1) 심정지의 병태생리 _ 137
(2) 심폐소생술 종료 _ 138


제6장│호흡기계 응급

01.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_ 141
02.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_ 143
(1) 폐기종(Emphysema) _ 144
(2) 만성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_ 145
(3) 천식(Asthma) _ 145
03. 폐렴(Pneumonia) _ 148
04.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_ 149
05.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_ 151
06. 폐암(Lung Cancer) _ 153


제7장│위장관계 응급

01. 복통(Abdominal Pain) _ 155

02. 소화성궤양 및 위장관 출혈(Peptic Ulcer and Gastrointestinal Bleeding) _ 158
(1) 소화성궤양(Peptic Ulcer) _ 158
(2) 상부위장관출혈 _ 160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_ 160
(3) 하부위장관출혈 _ 162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_ 162
03. 식도응급(Esophagus Emergency) _ 163
04. 게실염(Diverticulitis) _ 166
05. 장폐쇄(Bowel Obstruction) _ 169
06. 변비(Constipation) _ 170
(1) 기능성변비 _ 173 (2) 기질성 변비 _ 173
07. 담도계 질환(Biliary Tract Disease) _ 173
08. 급성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_ 175


제8장│비뇨기계 응급

01. 급성콩팥기능상실(Acute Renal Failure) _ 179
(1) 전신성 급성콩팥기능상실(Prerenal ARF) _ 180
(2) 신성 급성콩팥기능상실(Renal ARF) _ 180
(3) 후신성 급성콩팥기능상실(Postrenal ARF) _ 180
02. 만성콩팥기능상실(Chronic Renal Failure) _ 183
03. 콩팥결석(Renal Stone) _ 184
04.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_ 186


제9장│신경학적 응급

01. 어지럼증 및 현훈(Dizziness and Vertigo) _ 191
(1) 심혈관 증상 _ 192
(2) 현훈 _ 192
02. 뇌졸중(Stroke) _ 195
(1) 일과성 허혈발작 _ 196
(2) 뇌경색 _ 197
(3) 뇌출혈 _ 197
03. 두통(Headache) _ 206
(1) 거미막밑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_ 206
(2) 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 _ 207
(3) 거대세포동맥염(Giant Cell Arteritis) _ 207
(4) 뇌졸중(Stroke) _ 208
(5) 뇌종양(Brain Tumor) _ 208
(6) 뇌수막염(Brain Meningitis) _ 208
(7) 녹내장(Glaucoma) _ 209
(8) 일산화탄소 중독(Carbon Monoxide Intoxication) _ 209
(9) 편두통(Migraine) _ 210
(10) 군집두통(Cluster Headache) _ 211
(11) 긴장성 두통(Tension-type Headache) _ 211
(12)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_ 212
04. 발작과 간질(Seizure and Epilepsy) _ 212
(1) 전신성 간질발작(Generalized Epileptic Seizures) _ 213
(2) 부분성 간질발작(Partial Epileptic Seizures) _ 213

제10장│외상

01. 노인외상(Elderly Trauma) _ 217
(1) 손상기전 _ 217
1) 낙상 217
2) 자동차 충돌 218
3) 보행자-자동차 사고 218
4) 화상 219
5) 폭력 219
(2) 병원 전 고려사항 _ 219
02. 두부손상(Cranial Injury) _ 225
03. 흉부손상 및 복부손상(Thoracic Injury and Abdominal Injury) _ 227
04. 척추손상(Spinal Injury) _ 231


제11장│대사 및 내분비계 응급

01. 탈수(Dehydration) 및 전해질 장애(Electrolyte disorder) _ 235
02. 저체온증(Hypothermia) _ 238
03. 고체온증(Hyperthermia) _ 240
(1) 열실신(Heat Syncope) _ 241
(2) 열경련(Heat Cramp) _ 241
(3) 열피로(Heat Exhaustion) _ 242
(4) 열사병(Heat Stroke) _ 242
04. 당뇨응급(Diabetes Emergency) _ 244
(1) 저혈당(Hypoglycemia) _ 245
(2) 당뇨병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 DKA) _ 247
(3) 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증후군(hyperglycemic hyperosmolar non-ketotic Syndrome: HHNKS) _ 249
05. 갑상샘 기능장애(Disorder of the Thyroid Gland) _ 250
(1) 갑상샘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 _ 250
(2) 갑상샘발작(Thyroid Storm) _ 252
(3) 갑상샘기능저하증(Hypothyroidism) _ 254
(4) 점액수종혼수(Myxedema Coma) _ 256
06. 영양장애(Nutrition Disorder) _ 258
(1) 노인의 영양문제 _ 258
(2) 단백질-칼로리 결핍 _ 260
(3) 비타민 결핍 _ 260


제12장│피부계 응급

01. 대상포진(Herpes Zoster) _ 267
(1) 파종성 대상포진 _ 268
(2) 눈 대상포진 _ 268
(3) 대상포진후신경통 _ 268
(4) 중추신경계 이환 _ 268
02. 욕창(Decubitus Ulcer) _ 269
03. 화상(Burn) _ 272
(1) 화상 면적 _ 273
(2) 화상의 깊이 _ 273
(3) 화상의 구분 _ 275
(4) 화상의 종류 _ 275

제 13장│근골격계 응급

01. 요통(Back Pain) _ 285
(1) 좌골신경통 _ 286
(2) 추간판탈출증 _ 286
(3) 척주관협착증 _ 286
(4) 강직척추염 _ 287
(5) 경막외압박증후군 _ 287
(6) 척수감염 _ 287
02. 급성관절염(Acute Arthritis) _ 291
(1) 세균성관절염(Bacterial Arthritis) _ 291
(2) 통풍(Gout) _ 292
(3) 골관절염(Osteoarthritis) _ 293
(4)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_ 294
03. 골절(Fracture) _ 294
(1) 골다공증 골절(Osteoporotic Fracture) _ 295
(2) 노인성 골절의 치료방향 _ 297
(3) 고관절 골절 _ 298
1) 대퇴경부골절 298
2) 대퇴전자부골절 298
(4) 척추골절 _ 300
(5) 골반골 골절 _ 301
(6) 슬관절 주위 골절 _ 301
1) 대퇴원위부골절 301
2) 경골근위부골절 302
(7) 요골원위부골절 _ 302


제14장│정신과적 응급

01. 정신행동장애의 요인 _ 307
(1) 생물학적 요인 _ 308
(2) 정신사회적 요인 _ 308
(3) 사회문화적 요인 _ 308
02. 정신병리학적 위험요인 _ 308
(1) 만성질환 _ 308
(2) 약물의 과다복용 _ 308
(3) 사별과 상실경험 _ 308
(4) 빈곤 _ 308
(5) 자살과 사회적지지 결핍 _ 309
03. 치매(Dementia) _ 309
04. 섬망(Delirium) _ 309
05. 중독 및 금단증상(Intoxication and Withdrawal) _ 310
06.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_ 310
07. 기분장애(Mood Disorder) _ 311
08.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_ 311
09.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_ 312
10. 공황장애(Panic Disorder) _ 312
11. 공포장애(Phobic Disorder) _ 313
12. 신체형장애(Somatic Disorder) _ 313
13.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 _ 314
14.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_ 314
15. 자살(Suicide) _ 314

제15장│노인의 약물관리

01. 노인에서의 약물역학과 약물역동학 _ 319
(1) 약물역학의 변화 _ 319
1) 흡수 320
2) 분포 320
3) 대사 320
4) 배설 321
(2) 약물동력학의 변화 _ 321
02. 노인의 투약 문제 _ 321
(1) 약물 부작용 _ 321
1) 역학적 특징 321
2) 위험요소 321
3) 투약오류 322
4) 불이행 322
(2) 약물로 발생하는 건강문제 _ 322
1) 인지손상 322
2) 낙상 323
3) 실금 324
03. 노인의 고위험 약물 _ 324
(1) 중추신경계 약물 _ 324
(2) 순환계 약물 _ 324
(3)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_ 325
(4) 완화제 _ 325
(5) 소화성 궤양 약물 _ 325
04. 노인약물의 평가 _ 325

제16장│노인학대

01. 노인학대의 발생배경 _ 327
02. 노인학대의 개념 _ 328
03. 노인학대의 유형 _ 328
(1) 신체적 학대 _ 328
(2) 정서적 학대 _ 329
(3) 성적학대 _ 329
(4) 재정적 학대 _ 329
(5) 방임 _ 330
(6) 유기 _ 330
04. 노인학대의 현황 _ 330
(1) 노인학대 발생건수 _ 330
(2) 피학대노인 현황 _ 331
(3) 학대행위자 현황 _ 331
05. 노인학대 관련요인 _ 331
(1) 사회문화적 요인 _ 332
(2) 가족요인 _ 332
(3) 돌봄제공자 요인 _ 332
(4) 개인적 요인 _ 332
06. 노인학대의 예방과 법적근거 _ 333


제17장│임종관리

01. 죽음의 개념 _ 335
(1) 죽음 _ 335
(2) 뇌사 _ 335
(3) 식물인간 _ 336
(4) 안락사 _ 336
02. 임종의 적응단계 _ 336
(1) 부정(Denial) _ 336
(2) 분노(Anger) _ 337
(3) 협상(Bargaining) _ 337
(4) 우울(Depression) _ 337
(5) 수용(Acceptance) _ 337
03. 죽음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_ 337
(1) 신체적 측면 _ 338
(2) 사회심리적 측면 _ 338
(3) 영적 측면 _ 338
04. 임종단계 _ 338
(1) 임종 1주일∼임종전 _ 338
(2) 임종 임박 시 징후 _ 339
(3) 임종 _ 339
(4) 임종 직후 _ 339
05. 호스피스 _ 339
(1) 호스피스의 목적 _ 340
(2) 호스피스 대상자 선정기준 _ 340
(3) 호스피스의 역사적 배경 _ 340
(4) 호스피스의 철학 _ 341


제18장│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0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추진배경 _ 343
02.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기대효과 _ 344
03.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내용 _ 344
(1) 장기요양대상자 _ 344
(2) 등급판정기준 및 등급별 상태 _ 345
(3) 장기요양급여 이용절차 _ 345
(4) 판정결과 통보 _ 346
(5) 보험급여의 내용 _ 346
04. 노인장기요양보험 기관 및 인력 _ 346
(1) 노인장기요양기관 _ 346
(2) 노인장기요양 인력요원 _ 348


제19장│노인의 건강증진

01. 영양(Nutrition) _ 349
(1) 영양관련 건강문제 _ 349
(2) 노인의 영양상태 평가 _ 350
(3) 우리나라 노인의 영양상태 및 영양섭취 기준 _ 351
(4) 노인질환을 위한 식이요법 _ 353
02. 운동(Exercise) _ 354
(1) 운동과 활동 _ 354
(2) 운동요법 _ 355
(3) 운동전 평가 및 처방 _ 355
(4) 노인에게 적합한 운동 _ 356
03. 수면(Sleeping) _ 358
(1) 노화와 수면 _ 358
(2)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_ 358
(3) 노인수면문제 _ 360
(4) 노인수면관리 _ 360
04. 안전과 환경(Safety and Environment) _ 361
(1) 안전(Safety) _ 361
(2) 낙상(Fall) _ 363
(3) 환경(Environment) _ 371

참고문헌 _ 37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