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96998808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4-06-20
책 소개
목차
PartⅠ. 기독교인 및 비기독교인 조사
제1부. 조사 개요
제2부. 조사 결과 분석
제1장 종교 현황
1. 종교 인구 분포
2. 가족별 종교
3. 종교 Switching
4. 향후 개종(신앙) 의향 및 희망 종교 유형
제2장 한국인의 신앙의식
1. 종교인의 신앙생활 이유
2. 비종교인의 비신앙 이유
3. 기독교인의 신앙 의식
4. 종교/종교 교리에 대한 인식
5. 신앙과 일상생활의 일치 정도
6. 비기독교인의 종교 의식
제3장 한국 기독교인의 교회생활
1. 교회 출석률 및 이전 경험
2. 최초 신앙 시기 및 동기
3. 교회 생활(1) - 예배
4. 교회 생활(2) - 예배 외 활동
5. 교회 생활(3) - 양육
6. 교회 생활(4) - 헌금
7. 전도 생활
8. 개인 신앙생활
9. 예배 형식에 대한 의견
제4장 현 출석 교회 평가
1. 현 교회 출석 시기
2. 현 교회 출석 이유
3. 현 교회 성장 상태
4. 현 교회 만족도 평가
5. 현 교회 목회자 평가
6. 교회에 바라는 사항
제5장 한국 교회 위상 및 평가
1. 종교별 이미지 평가
2. 한국 교회에 대한 이미지 평가
3. 한국 교회 목회자에 대한 측면별 평가(기독교인 대상)
4. 한국 교회 교인/목회자/교회 활동에 대한 평가(비기독교인 대상)
5. 역대 한국 교회 목사님 중 가장 존경하는 목사님(기독교인 대상)
6. 한국 교회의 활동에 대한 평가(비기독교인 대상)
7. 한국 교회의 과제
제6장 일반적 생활 의식 평가
1. 일상생활 만족도 평가
2. 사회봉사 활동 및 기부금
3. 현대 사회 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4. 이념적 성향
5. 기독교 관련 매체 접촉 실태(기독교인 대상)
6. 비기독교인의 생활 및 가치관
제7장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신앙 관련 특성
1. 기독교인 및 기타종교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기독교인의 신앙/교회 관련 특성
Part Ⅱ. 목회자 생활 의식 조사
제1부. 조사 개요
제2부. 조사 결과 분석
제1장 목회자의 신앙 의식 및 생활
1. 목회자의 최초 신앙 시기 및 목회 시작 계기
2. 목회자로서의 소명/자부심
3. 신앙과 일상생활의 일치 정도
4. 목회자의 신앙 멘토
5. 윤리 의식
6. 개인 신앙생활
7. 전도생활
제2장 한국 교회 목회자의 목회 활동 및 인식
1. 목회 활동(1) - 설교 관련
2. 목회 활동(2) - 시무 교회 관련
3. 목회 활동(3) - 연합 사역
4. 목회에 대한 인식
제3장 한국 교회 평가 및 과제
1. 한국 교회에 대한 이미지 평가
2. 한국 교회의 과제
제4장 목회자의 일상생활
1. 일상생활 만족도 평가
2. 고민 및 스트레스
3. 목회자의 여가생활
4. 사회봉사 활동 및 기부금
5. 교회 밖 사회 활동
6. 이념적 성향
제5장 목회자의 가정생활
1. 가족과의 대화(배우자/자녀)
2. 사모의 목회 관여도 및 기대하는 역할
3. 노후 준비
4. 목회자 소득
제6장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시무 교회 관련 통계
1. 목회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시무 교회 관련 통계
Part Ⅲ. 크리스천 여론선도층 심층면접조사
제1부. 조사 개요
제2부. 조사 결과 분석
제1장 한국 교회의 현주소
1. 한국 교회 연상 이미지
2. 한국 교회 현재 추세
3. 한국 교회 역할 점검
4. 한국 교회 현상 진단
제2장 한국 교회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1. 교회 내부
2. 교회 외부
3. 목회자
4. 성도
5. 기타
제3장 한국 교회의 미래 예측 및 향후 발전 방향
1. 한국 교회 미래 키워드
2. 한국 교회 10년 후 전망
3. 한국 교회 재도약을 위한 과제
4. 한국 교회의 바람직한 미래상
Part Ⅳ. 주요 교단 통계 조사
조사 개요
기독교 교단 기초 통계
1. 교단별 교회수
2. 교단별 교인수
3. 교단별 목회자수
Part Ⅴ. 부록
보고서 의의 및 평가
1. 보고서 요약 및 목회 시사점
2. 학계 및 일반 사회의 관점에서 본 의의 및 평가
3. 언론의 관점에서 본 의의 및 평가
4. 한국 교회의 관점에서 본 의의 및 평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종교를 믿을 의사는 있으나 기독교로 개종할 의향이 없는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 ‘상업적이라서’19.5%, ‘믿음이 안 가서/신뢰도가 떨어져서’12.2%, ‘자기중심적이라서’11.3%,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모습이 싫어서’8.1% 등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및 신뢰도 하락이 큰 요인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 비출석 기독교인(N=105)들에게 교회에 나가지 않는 이유를 물은 결과, ‘목회자들에 대해 좋지 않은 이미지가 있어서’19.6%, ‘교인들이 배타적이고 이기적이어서’17.7%, ‘헌금을 강조해서’17.6% 등, 한국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주요한 이유인 것으로 드러났다. 1998년과 2004년 조사 당시 ‘시간이 없어서’이유로 교회를 다니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0% 이상으로 매우 높았던 것에 비교할 때, 이번 조사에서는 ‘시간이 없어서’답변이 15.8%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목회자의 부정적 이미지 요인이 크게 높아진 점이 주목할 만하다.”
“최근 1년 내 전도 경험이 있는 기독교인(N=258)을 대상으로 최근 전도한 대상이 누구인지 물어본 결과, ‘이웃/친척’이 47.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친구/선배’42.6%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직장 동료’및 ‘가족’간의 전도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04년 조사와 비교할 때, ‘이웃/친척’의 비율은 9.3%P 상승한 반면, 나머지는 비슷하거나 소폭 상승한 것이 특징이다. 앞으로 이웃 전도 전략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