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9702336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9-25
책 소개
목차
서문
개정판 서문
PART 1 영화 마케팅
영화 마케팅이 왜 중요한가
영화 비즈니스 3대 요소
코로나 팬데믹이 한국 영화산업에 미친 영향
영화 소비자(관객) 조사
마케팅 관점에서 본 영화의 특징
영화 마케팅이란?
포지셔닝
영화의 컨셉
영화의 셀링 포인트
마케팅 리서치
마케팅 전략수립
영화 광고의 특징
마케팅 크리에이티브
매체 광고 전략
디지털 마케팅
홍보
시사회
스타 투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무비 홍보 활동
프로모션
극장 마케팅
PART 2 흥행 대박을 위한 10가지 법칙
제1법칙: 첫 번째가 되어라
제2법칙: 이슈를 만들어라
제3법칙: 스틱, 착 달라붙는 메시지를 만들어라
제4법칙: 잘 지은 이름 열 딸 부럽지 않다
제5법칙: 연결고리를 만들어라
제6법칙: 아줌마 관객을 잡아라
제7법칙: 유치할수록 좋다
제8법칙: 트렌드를 읽어라
제9법칙: 타이밍을 잘 잡아라
제10법칙: 일점 집중하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 편의 영화를 위한 관객의 투자는 2시간 정도의 시간과 티켓 값에 그치지 않는다. 상영 시간까지 기다리는 시간과, 영화를 본 후에 커피를 마시거나, 식사를 하는 등의 활동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관객은 최소 3~4시간 이상의 시간과 2인 기준 3~4만 원 이상의 비용을 투자한다. 이 외에도 다른 오락 매체와의 기회비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한 편의 영화를 본다는 것은 간단한 결정이 아니다. 그러므로 관객을 잡기 위해서는 관객이 어떤 소비 형태를 보이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영화는 보통 아이디어에서 시나리오 개발, 투자사 확보, 촬영 및 후반 작업을 거쳐 극장에 개봉되기까지 평균 2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영화라도 치열한 경쟁 때문에 극장에서의 생명은 일반 상품에 비해 지극히 짧다. 상업적으로 대성공한 영화라 하더라도 2개월 이상 극장에서 상영되기 힘들다. 특히 상영초기 대규모 상영관을 확보하는 와이드 릴리스 방식(wide release)의 배급형태가 증가하면서 상영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또한 많은 새로운 영화들이 매주 개봉되다 보니 조금이라도 관객이 들지 않는 영화는 가차 없이 극장에서 내린다. 예를 들어 목요일에 개봉한 영화가 목요일, 금요일 관객이 저조하면 주말에는 극장에서 사라지게 되거나 소위 ‘퐁당퐁당’ 또는 ‘교차 상영’이라는 방식으로 상영 횟수를 줄인다.
영화 마케팅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관객들이 자신의 영화를 선택하도록 영화를 포장하는 일이다. … 좋은 영화(good product)를 잘 포장(good marketing)해서 좋은 극장에서 상영(good distribution)한다면 흥행은 보장된다. 그러나 모든 영화가 상업적으로 뛰어나지는 않으며, 좋은 극장을 확보할 수도 없다. 천 편 이상의 영화가 매년 개봉하면서 관객의 수요보다 영화의 공급이 많아졌고, 따라서 영화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마케팅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