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9718817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2-08-08
책 소개
목차
글을 펴며
제1장. 동산법문의 연기(緣起)
제2장. 4조 도신대사의 「입도안심요방편법문」
1. 도신대사의 행장(行狀)
2. 「입도안심요방편법문(入道安心要方便法門)」의 선리(禪理)
: 「입도안심요방편법문」 역주 해설
제3장. 5조 홍인대사의 법문
1. 홍인대사의 행장(行狀)
2. 「능가인법지(楞伽人法志)」의 홍인대사 법문
3. 「수심요론(修心要論)」 역주 해설
제4장. 염불선의 본 뜻과 그 전개
1. 서언
2. 초기 선종기 염불선 법문의 선지(禪旨)
3. 간심(看心)과 염불선
4. 선종 후기 변화된 염불선의 전개
5. 결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신의 염불 법문은 단순히 칭명(稱名) 염불을 통해 정심(淨心)에 이르게 하는 법문이 아니다. 佛이 바로 心이고, 그 心이 無相임을 뚜렷이 알아, 그 뜻이 자심에서 항상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항상 佛을 念한다는 것은 자심(自心)이 본래 無相이고, 평등하여 無二함을 뚜렷이 알아서(了知) 이 自心이 바로 佛임을 뚜렷이 아는 행이다. 이 차이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양자가 염불의 행을 설하고는 있지만 동일한 행은 아니다.
당시 동산법문을 ‘無生법문’으로 칭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고, ‘無生의 법문’은 바로 ??능가경??의 핵심 요의이다. 오직 마음일 뿐이고, 能ㆍ所 떠난 一心이기에 무생(생한 바 없음)이다. ??능가경??에 무생이 생을 떠나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생이 그대로 무생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뜻을 알 때 분별 떠나게 되어 진여(眞如)의 뜻이 드러나며, 그러한 뜻을 처음 알았더라도 쉽게 습기(習氣)의 힘으로 흔들리게 되는 까닭에 그 진심(眞心)을 지켜 흔들림 없도록(不移)함이 바로 동산법문의 염불선 법문이다.
반야바라밀이 무엇인가. 일체가 오직 마음일 뿐이고, 그 마음은 능(能 ; 주관)과 소(所 ; 객관, 대상)가 따로 없는 一心이며, 無生이고, 無相이며, 공적(空寂)하여 見함도 없고, 思議함도 없고, 知함도 없어, 그대로 心이 無心이며, 그래서 얻을 수 없는 것임을 뚜렷이 깨달아 아는 것이 곧 반야이고, 이 반야지혜로 일체에 걸림 없게 되는지라 반야바라밀이다. 이 반야지혜가 먼저 통해져 있어야 일행삼매에 이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