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상유식학으로 풀이한 반야심경

법상유식학으로 풀이한 반야심경

송찬우 (엮은이)
비움과소통
1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320원 -10% 2,500원
740원
15,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법상유식학으로 풀이한 반야심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법상유식학으로 풀이한 반야심경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97188567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4-06-05

목차

심경서설心經序說

1부 심경통론心經通論

- 세간 실상으로서의 고과론苦果論
1. 업론業論
1) 업의 유형
(1) 상호관계성으로서의 업
(2) 성질적인 측면의 업
(3) 인과관계로서의 업
(4) 시간적인 측면에서의 업
2) 업은 모든 괴로움의 원인
3) 모든 업의 원인인 미혹[惑]
2. 번뇌煩惱
1) 번뇌의 종류
탐ㆍ진ㆍ치ㆍ만ㆍ의ㆍ악견(貪ㆍ嗔ㆍ癡ㆍ慢ㆍ疑ㆍ惡見)
2) 구생혹俱生惑과 분별혹分別惑
3) 무명無明과 악견惡見의 상호관계성
4) 일체 악업의 근원은 번뇌
5) 모든 번뇌의 근원은 아집我執
3. 아집我執과 법집法執

- 3과법문三科法門
1. 5온법
1) 5온 개관
(1)색온色蘊
(2)수온受蘊
(3)상온想蘊
(4)행온行蘊

선심소善心所
색심법의 분야별 차별[不相應行蘊]
(5) 식온識?
2. 식상識相과 종자種子
3. 심왕心王과 심소心所
4. 3성三性
1) 3성의 종류
(1)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2) 의타기성依他起性
(3) 원성실성圓成實性
2) 원성실성과 의타기성의 상호관계
3) 3성三性과 진속2제眞俗二諦
4) 염정의타染淨依他
5. 3분三分
1) 과능변因能變
2) 인능변果能變
6. 12처十二處
1) 6종무위법六種無爲法
2) 12처의 성립의미
7. 18계十八界
1) 18계의 성립근거
2) 3종의근계三種意根界
3) 8종근八種根
4) 18계와 색심色心관계
5) 계界의 의미
6) 18계는 무아아소無我我所
7) 계界의 차별

- 불교의 근본원리
1. 연생론緣生論
1) 동시의존관계同時依存關係
2) 이시의존관계異時依存關係
2. 12인연十二因緣
1) 12인연의 명칭과 개념
2) 인연생기의 순차적 고찰[生滅流轉觀]
3) 12인연의 소급관찰[眞如還滅觀]
4) 3세양중인과三世兩重因果
5) 12인연의 4지四支
6) 연기즉공무아緣起卽空無我
7) 세계와 인생은 유심연기唯心緣起
3. 인과론因果論- 4제법문四諦法門
4. 해탈론解脫論- 3법인三法印
5. 실천수행론實踐修行論- 8정도八正道

2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1. 경명經名이 지니는 의미
2. 인법진공人法眞空의 이치를 내증內證하고
모든 고액까지 제도하다
1) 아법2집我法二執과 2무아二無我
2)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
3. 보살이 실천 수행하는 모습
4. 보살이 수행 관찰하는 대상
5. 수행관찰을 통해서 얻어진 이익
6. 심오한 반야법문을 배우려면 5온이 모두 공성임을 관찰하라
7. 5온공상은 상주불변하고 보편 원만하게 융합 소통한다
8. 공성의 이치를 증득하고 5온제법 상분별을 멀리 여의다
9.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여 위없는 깨달음을 얻다
1) 4종열반四種涅槃과 법보화3신法報化三身
(1) 본래자성청정열반本來自性淸淨涅槃
(2) 유여의열반有餘依涅般
(3) 무여의열반無餘依涅般
(4)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
2) 수행위차修行位次
(1) 자량위資量位
(2) 가행위加行位
4종유식심사관
4종여실지
(3) 통달위通達位
(4) 수습위修習位
(5) 구경위究竟位
3) 4지심품四智心品
(1) 대원경지상응심품大圓鏡智相應心品
(2) 평등성지상응심품平等性智相應心品
(3) 묘관찰지상응심품妙觀察智相應心品
(4) 성소작지상응심품成所作智相應心品
10. 반야바라밀다의 신통력은 가없다

저자소개

송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나 동국대 불교대학을 졸업하고, 민족문화추진위원회 국역연수원을 수료했다. 고려대 한문학과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강의를 했으며, 동국역경원 역경위원과 중앙승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동현학림에서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조론肇論』, 『금강경파공론金剛經破空論』, 『장자선해莊子禪解』, 『노자老子 그 불교적 이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종경록宗鏡錄』, 『제불보살복장단의식諸佛菩薩腹藏壇儀式』, 『뜻으로 읽는 금강경』, 『지관수행-수습지관좌선법요 강의』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색온과 진공이 둘이 아니다
사리자여, 진공여래장성眞空如來藏性에는 따로의 모습이 실재한다고 집착하지 마라. 그대가 말하는 삼라만상의 색온色蘊은 진공여래장성과 서로 다른 모습이 아니고, 내가 설하는 진공여래장성은 삼라만상의 색온과 서로 다른 따로의 모습이 아니다.
그러나 이 둘이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면, 색온과 진공의 서로 다르지 않다고 한 모습이 오히려 다시 두 가지 모습으로 상대적인 대립을 이루게 되며, 이 두 가지를 하나로 합한다 해도 둘이 아닌 하나라는 모습이 또 다시 존재하게 된다. 실제로 내가 말하는 색온은 바로 진공을 말한 것이지 색온 밖에 따로의 진공은 없는 것이다. 또한 내가 말하는 진공은 바로 색온을 말한 것이지 진공 밖에 따로의 색온은 없는 것이다. 비단 색온만 없을 뿐만 아니라 진공까지도 없는 것이다. 이것이 어느 쪽에도 치우침 없이 원만한 진공실제중도眞空實際中道인 것이다.


중도실상인 부처 아닌 자가 없다
온 대지의 모든 중생들은 진공여래장성이 전체로 발현된 모습이기 때문에 낱낱이 중도실상中道實相인 부처 아닌 자가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확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여 실천 수행하는 진공묘지眞空妙智야말로 크게 신통한 다라니[呪]이며, 크게 밝은 다라니[呪]이며, 위없는 다라니[呪]이며, 견줄 수 없는 다라니[呪]임을 알 수 있다. 이 진공묘지야말로 2종생사의 고해苦海를 벗어나 일체의 고통과 그 모든 원인인 액난을 건너 끝내 해탈하는 허망하지 않은 진실이기 때문이다.


열반에 대한 집착마저 떠난 무주처열반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은 소지장所知障을 끊은 법공평등진여法空眞如平等의 이치를 뜻한다. 소지장은 올바른 지혜, 즉 법공관法空觀을 일으키는 반야지般若智를 장애한다.
소승인은 소지장번뇌 때문에 생사와 열반이 본래 차별이 없는 이치를 모른다. 따라서 싫어해야 할 생사가 실재하고, 기뻐할 열반이 따로 있다고 굳게 집착한다. 이는 생사가 공적함을 알고 열반법은 생사를 떠나 따로 실재하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생사의 아집은 잊었으나, 열반에 대한 법집이 또 다른 집착으로 남아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부처님께서는 소지장마저 끊고 보리菩提의 진실한 지혜를 얻어 생사와 열반에서 염증과 기쁨의 집착을 평등하게 모두 떠난 분이다. 단지 대반야大般若의 지혜만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열반에 기쁨으로 집착하지 않고 3계생사三界生死에 현신하여 대자비大慈悲를 시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승처럼 열반의 기쁨으로 머물지 않고, 유정들을 보리열반의 이익과 안락의 세계로 인도할 수 있다. 지혜와 자비행을 중생계가 다하도록 행하기 때문에 열반과 생사, 그 어느 쪽에도 집착으로 안주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무주처無住處라 한다.
이를 통해 밖으로는 모든 중생들에게 자비와 이익과 안락을 행하면서 동시에 내적인 마음은 항상 지혜로 열반에 집착하지 않고[不住涅槃] 중생제도를 버리지 않는[不捨度生] 중도행中道行을 실천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