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토종 개론

정토종 개론

정종 법사 (지은이), 정전 스님 (옮긴이)
비움과소통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3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토종 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토종 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97188758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5-07-09

책 소개

칭명염불을 중심으로 한 정토종의 종지와 역사, 수행법을 총망라한 개설서. 이 책은 선도대사의 종의宗義를 기준으로 삼고, 용수와 천친.담란.도작 등 조사들의 교의를 꿰뚫어 특별히 정토종의 교의를 정립하는 근본에 힘썼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정토종의 개설(淨土宗義槪說)
제1절 종宗의 정의와 특성
제2절 선도대사의 개종(善導開宗)
제3절 정토종의 요점을 서술함

제2장 정토종의 교상판석
제1절 교상판석의 의미
제2절 삼사의 교판(三師敎判)
1. 난이이도의 교판(難易二道判)
2. 성정이문의 교판(聖淨二門判)
3. 이장이교의 교판(二藏二敎判)
4. 요홍이문의 판별(要弘二門判)

제3장 정토종의 정의경전(正依經典)
제1절 정의경전의 의미
제2절 정토삼경
1. 『무량수경』두 권
2. 『관무량수경』 한 권
3. 『아미타경』 한 권
제3절 삼경의 관계
제4절 삼경의 순서

제4장 정토종의 상승론석相承論釋
제1절 상승론석의 의미
제2절 상승론장相承論藏
1. 『이행품』 한 권
2. 『왕생론』 한 권
제3절 상승석문 相承釋文
1. 『왕생론주』두 권
2. 『찬아미타불게』 한 권
3. 『안락집』 두 권
4. 『관경소』 네 권
5. 『관념법문』 한 권
6. 『법사찬』 두 권
7. 『왕생예찬』 한 권
8. 『반주찬』 한 권

제5장 안심安心
제1절 안심의 의미
제2절 총안심
1. 보리심菩提心
2. 염흔심厭欣心
제3절 별안심別安心
1. 지성심 至誠心
2. 심심深心
3. 회향발원심廻向發願心

제6장 기행起行
제1절 기행의 의미
제2절 정잡이행正雜二行
제3절 오종정행 五種正行
제4절 조정이업 助正二業
제5절 이행과 이수의 득실(二行二修得失)
1. 다섯 번의 득실(五番得失)
2. 열세 가지 득실(十三得失)
제6절 오념문五念門

제7장 작업의 행의(作業行儀)
제1절 작업의 의미
제2절 사수四修
제3절 세 가지 행의(三種行儀)
1. 평소의 행의(尋常行儀)
2. 별시행의別時行儀
3. 임종행의臨終行儀

제8장 본원의 칭명
제1절 본원의 의미
제2절 인본원 ― 48원
1. 발원의 연유
2. 사십팔원의 분류
3. 48원의 성취
제3절 근본원 - 제18원
제4절 본원의 칭명(本願稱名)
1. 본원칭명의 의미
2. 본원칭명에 관한 상승의 내용
제5절 본원을 선택함(選擇本願)
1. 수승함과 열등함의 의미(勝劣義)
2. 어려움과 쉬움의 의미(難易義)
제6절 생인의 본원(生因本願)
제7절 섭생삼원의 관계
제8절 염불의 이익
1. 광명의 섭취
2. 다섯 가지 증상연
3. 염불의 현세 덕향

제9장 범부가 보토에 들어감
제1절 신토의 보화(身土報化)
제2절 범부가 보토에 들어감(凡夫入報)
제3절 신속히 초월하여 성불함(速超成佛)
제4절 태생과 화생
제5절 배품의 계위(輩品階位)
1. 배품의 유무
2. 배품의 의미
3. 삼배의 기법(三輩機法)
4. 구품의 심행(九品心行)
5. 배품의 개합(輩品開合)
6. 삼복의 제선(三福諸善)
제6절 평생에 업이 완성됨
제7절 현생에서의 불퇴(現生不退)

제10장 정토종의 종지와 특색
제1절 종지와 특색의 의미
제2절 종지 사구게
제3절 특색에 관한 네 구절 표어

【부록 1】 정토종교장淨土宗敎章
【부록 2】 용어 해석

저자소개

정종 법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6년 중국 안휘성 출생. 1994년에 구화산의 인덕仁德 노화상에게 출가하였다. 1996년에 혜정법사를 만나 선도대사의 정토법문을 듣고 크게 감동하여, 이후로 한결같은 마음으로 경론을 인쇄하고 법문을 하는 등 선도대사의 정토법문을 널리 펴고 있다. 2004년부터 지금까지 안휘성 선성에 위치한 홍원사弘願寺를 재건하고 있다. 홍원사는 중국에서 선도대사의 순수정토를 선양하는 대표적인 도량이다.
펼치기
정전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5년 강원도 건봉사로 출가, 송광사 강원을 졸업했다. 정토법문을 공부하고자 대만에 유학하였으며, 순수정토법문을 널리 선양하고 있는 혜정법사로부터 정토종의 종지를 배웠다. 귀국 후 건봉사 만일염불회 지도법사를 역임하고, 순정시대 카페를 운영하는 등 순수정토사상의 가르침을 널리 펴고 있다. 저서에 『순수한 정토법문』, 『고향으로 돌아가자』, 『정토종 개론』, 『아미타경 핵심강기』, 『동물왕생불국기』, 『정선 염불감응록』, 『제18원 강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석가모니불께서 설하신 정토삼경淨土三經은 인도의 용수와 천친 두 보살이 논문을 지어 제창함을 거쳐, 중국 북위北魏시대의 담란대사가 아미타불의 본원력에 의거하여 정토 입교立敎의 본지本旨를 천명함으로써 정토종 이론의 기초를 다짐에 이르렀다. 다시 도작대사가 그 교설을 이어받아 당나라의 선도대사(613~681)에게 전해지자 정토종의 체계적인 이론과 실천행의(實踐行儀)가 완벽하게 갖춰지면서 정토종이 정식으로 창립된 것이다. 선도대사님은 정토종의 집대성자集大成者이자 정토종의 개종조사로 존중 받았으며 정토종의 ‘종조宗祖’로 추앙받았다.


선ㆍ밀ㆍ천태ㆍ화엄도 모두 돈교라고 부르지만 전부 미혹을 끊고 진리를 증득함을 요구하므로 여전히 점교에 속한다. 이른바 ‘법에 있어서 비록 돈頓이라 하나 근기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점漸이 되고 만다(於法雖頓 望機成漸)’는 것이다. 오직 정토법문만이 미혹을 끊지 못한 범부들이 곧장 삼계를 벗어나 퇴전하지 않고 성불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으므로 돈 중의 돈(頓中之頓)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긍정적으로 말하면 성도문 중에도 역시 돈교가 있다고 할 수 있겠으나 부정적으로 논한다면 성도문 전체가 점교가 되므로, 오직 정토법문만이 돈교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마음은 아미타불의 구제에 머물고 한결같이 칭명하며 왕생발원을 하는 것, 다시 말해 ‘아미타불의 구제를 믿고 받아들이고, 오로지 아미타불의 명호를 부르며, 아미타불의 정토왕생을 염원하는 것’이니, 이것이 정토종 행자들의 안심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