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97195633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5-04-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부 이런 의료로는 낫지 않는다!
이 의료는 정말 필요한가?
왜 불필요한 의료는 사라지지 않는가?
낫지 않는 의료를 퇴치하자!
제2부 ‘불필요한 병원 의료 100가지’ 전격 공개
암
불필요한 병원 의료 1 전립선암_전립선암 검진을 위해 안이하게 ‘PSA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 전립선암_조기 전립선암에 뼈로의 전이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 전립선암_저위험군의 전립선암은 안이하게 치료를 시작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 전립선암_전립선암에 무턱대고 양자선치료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 유방암_조기 유방암에서도 골전이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 유방암_유방암으로 의심되는 단계에서 침생검을 하지 않고 바로 수술을 해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 유방암_유방암 수술을 할 때는 반드시 감시림프절 검사를 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 유방암_만 50세 이상 조기 유방암 환자에 대한 방사선치료는 가능한 짧게 잡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 유방암_전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는 단독약제로 치료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0 유방암_유방암의 온존요법으로 안이하게 ‘IMRT’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1 자궁경부암_HPV검사는 만 30세 이하의 여성에게는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2 자궁경부암_면봉을 이용한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는 안이하게 실시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3 자궁경부암_질경검사는 자궁경부암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안이하게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4 난소암_난소암검사는 건강한 여성에게는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5 폐암_폐암 CT검사는 가이드라인보다 자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6 폐암_조기 폐암에 뇌전이 영상검사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7 대장암_대장암 내시경검사는 10년에 한 번이면 충분하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8 암 치료_‘분자표적항암제’는 신중하게 써라.
불필요한 병원 의료 19 암 치료_치료하기 전에 플랜을 세워라.
불필요한 병원 의료 20 암 치료_‘갑작스런 수술’은 금물이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1 암 치료_항암제와 함께 강한 오심·구토억제제를 안이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2 방사선 치료_암의 골 전이에 대한 방사선치료 횟수는 최소화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3 암 검진_PET나 CT검사 등 암 검진을 자제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4 암 검진_여명 10년 미만인 사람에게 암 검진을 자제한다.
암 이외의 질환
불필요한 병원 의료 25 검사_불필요한 흉부 X선검사는 해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6 검사_경도의 두부외상에 CT검사를 해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7 소아과_감기에 항생제는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28 소아과_열성경련에 영상검사는 NG!
불필요한 병원 의료 29 소아과_복통에 무턱대고 CT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0 소아과_소아 충수염 환자에게는 CT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1 소아과_정류정소인 남아에게 초음파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2 당뇨병_당뇨병 환자의 혈당치 관리는 슬라이딩 스케일법으로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3 당뇨병_고령자의 당화혈색소는 7.5퍼센트 정도가 좋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4 당뇨병_제2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여러 번 자가혈당 측정을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5 정형외과_요통은 증상이 나타난 지 6주 이내에는 영상검사가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6 정형외과_허리가 삐끗했을 때 X선검사부터 해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7 정형외과_요통이라고 누워 있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8 정형외과_류머티스에 안이하게 MRI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39 정형외과_류머티스에 바이오의약품부터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0 정형외과_항핵항체의 상세검사는 안이하게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1 정형외과_골다공증에 DEXA법 검사는 10년에 한 번이면 충분하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2 정형외과_변형성무릎관절증에 글루코사민이나 콘드로이틴은 효과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3 정형외과_변형성무릎관절증이라도 관절강 내 세정은 하면 안 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4 정형외과_변형성무릎관절증용 특수깔창은 플라시보 효과일 뿐이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5 산부인과_경구용피임약 처방 시 질 내진은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6 산부인과_임신만기 전에 분만촉진이나 제왕절개는 금물이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7 산부인과_임신만기라도 분만촉진은 기본적으로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8 산부인과_중절을 결정할 때 NIPT는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49 산부인과_쌍둥이를 임신해도 자궁경관을 봉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0 신비뇨기_만성인공투석을 할 때는 관계자 간의 합의를 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1 신비뇨기_테스토스테론이 정상인 ED환자에게 테스토스테론 보충은 의미가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2 소화기과_위루술은 인지증 환자에게는 의미가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3 소화기과_속쓰림에 안이하게 약을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4 소화기과_바렛식도 검진은 여러 번 반복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5 소화기과_스트레스성 위궤양에 투약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6 호흡기과_천식 진단 시에는 스파이로메트리를 사용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7 호흡기과_중증이 아닌 천식, 기관지염에 가슴 X선검사는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8 호흡기과_기관지염 소아환자에게 기관지확장제는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59 호흡기과_산소보충을 받지 않은 급성호흡기질환 소아환자에게 맥박산소측정법은 실시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0 호흡기과_만 2세 미만의 경증 하부호흡기감염증에 전신 스테로이드는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1 호흡기과_재택산소요법은 무작정 지속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2 알레르기_알레르기 검사 시 비특이적 IgE나 IgG검사는 피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3 정신과_항정신병약은 안이하게 처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4 정신과_항정신병약은 안이하게 두 종류 이상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5 정신과_정신병이 아닌 소아에게 갑자기 약제를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6 정신과_불면증에 안이한 수면검사는 바람직하지 않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7 정신과_첫 불면증 치료제로 항정신병약을 써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8 뇌신경_중증이 아닌 두통에 영상검사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69 뇌신경_두통에 뇌파는 측정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0 뇌신경_두통에 시판약은 장기복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1 뇌신경_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오피오이드나 바르비투르산염 진통제는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2 뇌신경_한 번의 실신에 뇌 CT 및 MRI검사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3 뇌신경_실신에 목동맥 영상검사는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4 뇌신경_인지증으로 PET검사를 할 때는 전문가의 진단부터 받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5 뇌신경_인지증에는 무계획적으로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를 처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6 뇌신경_인지증 환자에게 정신 증상의 이상이 있더라도 항정신병약 처방은 신중해야 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7 피부과_두드러기 진단 시 안이한 검사는 금물이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8 피부과_손발톱 무좀에 먹는 약은 거의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79 피부과_세균감염이 확인되지 않는 한 아토피성 피부염에는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0 피부과_수술 부위에 항생제를 바르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1 안과_안과질환 증상이 없을 때는 안이하게 영상검사를 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2 안과_안저나 안압 등의 소아 안과검진은 매년 할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3 안과_도수가 낮은 독서용 안경은 소아에게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4 안과_핑크아이에 항생제는 금물이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5 안과_초자체 내 주사 전에 쓰는 항생제는 무용지물이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6 안과_안구건조증에 누점 플러그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7 이비인후과_급성 부비강염이 경증일 때 영상검사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8 이비인후과_급성 부비강염에는 무턱대고 항생제를 쓰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89 이비인후과_중이염이나 외이염에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0 이비인후과_돌발성 난청에 머리, 뇌 CT검사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1 건강보조식품_건강보조식품에는 건강 유지 효과가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2 순환기_심장 영상검사를 할 때는 가능한 방사선 피폭을 억제해야 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3 순환기_쓸모없는 심장 검사에 주의가 필요하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4 순환기_초고령자에게 LDL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은 무용지물이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5 순환기_증상이 없으면 목동맥 협착은 문제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6 순환기_원치 않는 이식형 제세동기 시술은 피한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7 순환기_심박조율기는 무증상 상실성 서맥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8 순환기_심근경색일 때 혈관이 좁아도 막히지 않은 혈관까지 치료하지 않는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99 순환기_약으로 치료 가능한 심방세동에 심근카테터박리는 필요 없다.
불필요한 병원 의료 100 순환기_중심정맥카테터는 필요 없어지면 즉시 사용을 중단한다.
제3부 불필요한 의료를 추방하자
불필요한 의료 추방 운동은 확산될 수 있을까?
전문학회가 설정한 기준치는 NO!
에필로그
이 책에서 언급한 의료 정보 사이트
불필요한 병원 의료 100가지 출처
책속에서
개복과 복강경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는 사실은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위암학회의 가이드라인에서는 복강경수술을 ‘실험적 의료’로 규정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려는 의사들은 복강경이 일반화되기를 바라지만 아직 공감대는 형성돼 있지 않다. 게다가 안전성에도 여전히 문제가 많다. 2014년 4-5월에 몇 차례 발표가 됐는데, 지바현암센터 의사들이 집도한 복강경수술을 받은 환자가 잇따라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같은 의료사고는 종종 보고되고 있다.
정신질환 분야는 전 세계 어디에도 객관적인 수치를 가지고 병을 진단하는 시스템이 없다. 그렇다 보니 정상적인 정서로서의 우울감과 정신질환과의 경계를 명확히 할 수 없다. 질환에 대한 진단은 증상의 유무나 그 조합, 의사의 지식이나 경험에 근거해 내리는 것이기 때문에 주관성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같은 환자를 두고 의사에 따라 판단이 갈릴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런 만큼 관계자들이나 단체가 영향력을 행사할 여지가 큰 것이다. 병 만들기(Disease mongering)란 말이 있다. 약이나 검사와 같은 의료행위를 통해 이익을 얻는 사람들이나 단체가 이익을 극대화할 목적으로 해당 질병의 조건에 맞는 환자를 무분별하게 늘리려고 하는, 즉 ‘병을 만들어내는 움직임’을 가리키는 말이다.
아이가 머리를 부딪쳐 병원에 가서 CT를 찍었더니 아무 문제가 없어 안심했다는 이야기는 의료계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야기다. 그런데 환자 입장에서 보면 CT검사 또한 의사가 하라고 하면 할 수밖에 없는 의료행위 중 하나이다. 간토 지방에 사는 유치원생 기타야마(가명) 군의 보호자에게 이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머리를 크게 부딪쳐 응급실에 갔더니 병원에서 CT검사를 받으라고 했다. 그런데 기타야마 군이 버둥대는 통에 CT검사가 어려워지자 병원에서는 X선 촬영을 하자고 했고, 그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기타야마 군의 보호자는 나중에 생각해보니 ‘애초부터 CT검사는 할 필요가 없었던 거 아닌가?’ 하는 생각에 왠지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었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