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8899720640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6-02-29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 4
추천사 · 7
1장. 왜 깊이 읽기인가?
1. 우리의 교실 속 수업은? · 20
2. 깊이 읽기란? · 26
3. 텍스트를 통해 삶을 이해하기 · 28
4. 책을 바라보는 관점 바꾸기: 부담감에서 친근감으로 · 30
5. 질적으로 향상되는 독서: 양에 치중하는 독서에서 벗어나기 · 39
6. 유기적 텍스트 이해를 위한 책 읽기 · 41
2장. 대안으로서 깊이 읽기에 대한 반응
1. 학생들의 반응: “책에 흠뻑 빠져들어서 재미있었어요.” · 48
2. 학부모들의 반응: “아이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게 되었어요.” · 56
3. 교사들의 반응: “책을 제대로 읽고 생각할 수 있다.” · 62
3장. 깊이 읽기, 어떻게 할까?
1. 깊이 읽기 첫걸음: 독서관 확립 · 80
2. 깊이 읽기를 위한 책 선정 · 82
3. 교사 간 유대 형성하기 · 88
4. 깊이 읽기 수업 준비 · 90
5. 피드백을 위한 평가 · 99
4장. 깊이 읽기 예시(1) 《자전거 도둑》
1. 교훈이 담긴 단편소설 · 122
2. 맥락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수업계획 · 125
3.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공감하다 · 132
5장. 깊이 읽기 예시(2) 《10대를 위한 정의란 무엇인가》
1. 다양한 딜레마를 통한 성장 · 194
2. 대화를 통해 ‘나’로 회귀하는 수업계획 · 198
3. 상황 판단과 문제 해결의 방법을 배우다 · 209
6장. 깊이 읽기 예시(3) 《이 세상에 태어나길 참 잘했다》
1. 다문화 시대의 자아 정체성 찾기 · 242
2. 이야기를 예상하고 다양한 장르로 나타내는 수업계획 · 245
3. ‘복동’의 삶을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배우다 · 252
7장. 학년군에 따른 깊이 읽기
1. 1~2학년군: 눈높이에 맞는 깊이 읽기 · 292
2. 3~4학년군: 내용을 심화하는 깊이 읽기 · 309
3. 5~6학년군: 성찰을 통한 내면의 깊이 읽기 · 327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존의 국어 수업은 발췌한 텍스트로 구성된 교과서로 수업을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내용을 내면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깊이 읽기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한 대안적 수업 방법이다. 깊이 읽기는 선정한 책 한 권을 아이들과 꾸준히 함께 읽으면서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학습하는 수업이다. 지문의 양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에 1차시나 2차시에 걸쳐 읽는 것이 아니라 한 달 혹은 한 학기 동안 한두 권의 책을 읽으면서 수업을 한다.
특히 영준은 문장의 줄이 바뀌면 읽어 내려가는 것을 어려워했었다. 예를 들어 《이 세상에 태어나길 참 잘했다》 14쪽에 서술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또박또박 읽지 못했다.
나는 내 이름이 우습지도 부끄럽지도 않았지만
그 울림이 슬픈 적이 종종 있다.
영준은 이것을 처음에는 “나는 내 / 이름이 우습지도 부끄럽지도 않지만 그 울림이 슬픈 적이 종 / 종 있다”라고 읽었는데, 자신의 생각에도 의미가 맞지 않자 버벅거렸다. 그러나 2학기가 되자 “나는/내 이름이/우습지도/부끄럽지도/않았지만//그 울림이/슬픈 적이/종종 있다”라고 또박또박 읽기 시작했다. 버벅거리는 습관이 개선되면서 책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읽게 되었고, 스스로 책을 읽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다.
교과별 통합의 장점은 크게 2가지다. 첫째, 학습의 효과성이다. 학생들이 학습하는 내용의 공통부분이 많아질수록 학습은 깊이 있게 진행된다. 둘째, 수업 시간의 효율성이다. 국어 2차시, 사회 2차시의 수업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한다고 하자. 3차시로 통합하여 수업을 하면 수업 시수에서 1차시의 여유가 생기게 된다.
수업 운영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과와 연계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다양한 교과와 연계가 가능한 텍스트를 선정해야 한다.
미술, 음악, 체육 교과는 표현 활동이 많다는 점에서 쉽게 연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회, 도덕 같은 교과와 연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