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88997252336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4-11-20
책 소개
목차
1장 백자를 말하다
백자의 정의 14
백자의 종류 18
백자의 역사 30
2장 백자를 꾸리다
백자의 재료, 태토 48
백자의 유약 50
백자의 안료 52
공방의 시설과 도구 54
가마와 번조 도구 62
3장 백자를 만들다
백자 제작과정 72
원료 준비하기 74
성형하기 77
장식하기 88
구워 완성하기 93
4장 백자를 누리다
위엄의 상징, 용문항아리 100
자연을 담은 달항아리 104
삶의 미학, 백자사발 106
예와 풍류를 담다, 병과 주자 110
탄생부터 죽음까지, 제기류 114
선비의 벗, 문방구 118
우리 시대의 백자 124
참고 자료
장인 150
공예·디자인 지도 151
도판 목록 152
참고 문헌 156
도움 주신 분 157
도움 주신 기관 158
색인 159
책속에서
인간이 불을 자유롭게 사용하게 된 이후 오늘날까지 도자기를 굽는일은 계속되어 왔습니다. 세계 대부분 나라에서 고유의 도자 전통이생겨났지만 특히 자기磁器의 근원지인 동아시아에서 백자의 의미는 남다릅니다.15세기, 세계에서 백자 생산기술을 가진 나라는 중국과 우리나라뿐이었습니다. 가까운 일본조차도 임진왜란(1592~1598)을 계기로 비로소 백자 문화권에 들어서게 됩니다. 당시 백자는 막 대항해시대를연 서양인들에게 동양의 비밀스런 ‘하얀 금’으로 불릴 만큼 귀한 상품이었고 중국과 일본은 수출용 백자를 생산하며 큰 인기를 모았습니다.하지만 조선은 검소·검약의 성리학적 문화를 반영하는 고유한 백자문화를 수백 년간 고수하였고, 그 결과 화려하지 않지만 진중하고 엄격한 격조를 지닌 동아시아 백자 고유의 모습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한눈에 보는 백자』는 이러한 우리 백자의 특징을 ‘한눈에’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했습니다. 백자의 정의, 종류, 역사 그리고 재료와 도구, 제작 과정, 전통과 현대 백자 작품까지 백자에 관한 전반적인내용을 문헌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현장 취재를 통해 한권에 담았습니다. 또한 사진, 그림, 도면 등의 시각 자료를 최대한 수록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공저자 최건 장기훈-머리말 중에서
백자白磁란 순도가 높은 점토로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투명한 유약을입혀 1,250°C 이상의 고온에서 구운[燔造] 자기磁器이다. 태토와 유약의색상이 희고 강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순도 높은 도자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통적 도자 개념에서 가장 발전된 단계라고 할 수 있다.우리나라에서는 백자의 태토로 백토白土라고 불리는 고령토高嶺土kaolin 계통의 점토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청자에 사용되는 점토보다 주성분인 실리카(SiO2)와 알루미나(Al2O3)의 함량이 높고 이물질이 적다.유약은 본래 색이 없고 투명하지만 함유된 성분이나 굽는 온도, 가마분위기 등의 조건에 따라 독특한 색과 질감을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