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88997252671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6-12-23
책 소개
목차
1장 매듭을 말하다
한국 매듭의 정의 14
한국 매듭의 특징 16
한국 매듭의 종류 20
한국 매듭의 역사 26
한국 매듭의 전승 44
2장 매듭을 꾸리다
매듭 재료 48
매듭 도구 53
3장 매듭을 만들다
도래매듭 64
연봉매듭 67
가락지매듭 70
생쪽매듭 73
국화매듭 76
날개매듭 80
동심결매듭 83
4장 매듭을 누리다
흔들리다, 의례용 매듭 88
걸다, 실내 장식용 매듭 94
드리우다, 노리개와 쓰개 매듭 100
매달다, 소지품 매듭 108
묶다, 허리끈과 주머니 매듭 114
여미다, 매듭단추 124
꾸미다, 망 장식 128
주인공이 되다, 현대 매듭 134
참고 자료
장인 152
공예·디자인 지도 153
도판 목록 154
참고 문헌 157
도움 주신 분 158
도움 주신 기관 158
색인 159
저자소개
책속에서
매듭···기하학적 선과 면을 구성하는 우아한 섬유 예술로 발전
매듭의 역사는 인류의 시작과 함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서양 어디에나 존재했을 만큼 보편적인 기술입니다. 매듭은 각 나라의 문화 속에서 다양하게 발전하였고, 한국에서는 명주실을 엮어 끈을 만들고 이 끈으로 매듭지어 기하학적인 선과 면을 구성하는 우아한 섬유 예술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리고 복식과 장신구, 생활공간 장식을 위하여 폭넓게 활용되어 왔습니다. 매듭에 관한 연구는 몇몇 장인과 연구자에 한정되어 다양한 방면으로의 연구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한눈에 보는 매듭』은 누구나 쉽게 매듭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 매듭의 역사와 종류, 도구와 제작 과정, 현대적 활용에 이르기까지 매듭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고, 이해를 돕기 위해 시각 자료를 최대한 수록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저자 김시재; 머리말 중에서
매듭이란, 끈을 방향성을 가지고 엮거나 묶어서 문양을 만드는 기법이나 그렇게 만든 형태를 말한다. 매듭은 물건을 매달거나 연결하는 등의 실용적인 목적에 의해 생겨났을 것으로 짐작되며, 그 역사가 인류 역사의 시작과 함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서양 어디에나 존재했을 만큼 보편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는 매듭은 각 나라의 문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한국의 매듭 공예 역시 수천 년의 역사 속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다. 한국 매듭에 사용되는 주재료는 누에가 뽑아 낸 명주실이다. 이 명주실을 정성껏 염색해서 배색하고 여러 겹을 꼬아 끈을 짰는데, 이렇게 만든 끈을 다회多繪라 일컬었다. 그리고 그 끈으로 아름다운 매듭을 맺고 술을 길게 늘어뜨려 장식한 것을 유소流蘇라 한다. 끈, 매듭, 술 세 가지가 합쳐져 전체적인 조화를 완성하는 것이다.
-‘1장 매듭을 말하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