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9729654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5-10-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주안이 할아버지의 잘 먹고 잘사는 방법 6
감사의 글: 13
1장 100세 시대, 축복인가 재앙인가
1. 9988234 21
2. 100세 시대, 처방도 달라져야 한다 24
3. 오래 사는 게 죄라고? 27
4. 20년간 만성질환을 앓는 ‘유병장수 시대’가 온다 33
5. 가장 쉬운 건강 비결은 싱겁게 먹기 37
2장 소금을 극복해야 건강한 100세 시대가 온다
1. 소금이 노인을 만든다 43
2. 오늘은 소금을 얼마나 드셨나요? 47
3. 하루 1티스푼의 법칙 61
4. ‘짜다’의 기준은? 63
5. 왜 소금섭취를 줄여야 할까? 69
6. 소금이 만성질환을 만든다 76
7. 우리 유전자는 아직도 구석기 먹거리에 적합하다 82
8. 소금을 줄이면 우리 몸이 변한다 85
9. 소금 패딩을 입은 가공식품 90
10. 소금 맛으로 먹는 외식 95
3장 소금 안 먹고도 살 수 있을까?
1. 나트륨, 넌 어디서 왔니? 101
2. 진화가 말해주는 진실 104
3. 유령소금 108
4. 소금과 인간의 슬픈 인연 111
5. 하얀 황금의 역사 118
6. 역사 속 소금 이야기 122
엎어진 소금 그릇 122
소금기둥이 된 롯의 아내 124
소금 창고의 힘 125
혁명의 도화선이 된 소금 127
소금 행진 128
4장 왜 싱겁게 먹지 못할까?
1. 짠맛을 느끼는 원리 때문이다 133
2. 음식을 맛깔스럽게 만드는 소금의 기능 때문이다 139
3. 소금의 중독성 때문이다 143
4. 숨어 있는 소금 때문이다 152
짠맛을 숨겨주는 국물 음식 155
치느님의 불편한 진실 156
가공하면 뻥튀기되는 나트륨 함량 158
5. 가공식품과 외식의 리모델링이 절실하다 160
6. 소금 과다섭취는 쌍방과실이다 163
5장 소금중독에서 벗어나려면
1. 싱보짜 검사 169
짜게 먹으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 169
싱보짜 검사, ‘나는 평소 음식을 얼마나 짜게 먹고 있나?’ 171
언제 어디서나 검사가 가능한 소금과자 176
2. 내 몸을 살리는 싱겁게 먹기 아홉 가지 실천법 180
실천 1 : 내가 주로 먹는 음식을 파악하자 180
실천 2 : 나만의 건강식단을 만들어보자 182
실천 3 : 장바구니에서 가공식품은 덜어내고 채소와 과일을 더 담자 184
실천 4 : 집밥, 직접 해먹자 185
실천 5 : 외식을 할 때는 메뉴에 신경 쓰자 186
실천 6 : 조금씩 천천히 꾸준히 줄이자 188
실천 7 : ‘매니큐어를 이용한 소금 다이어트’에 도전하자 188
실천 8 : ‘싱보짜 카드’를 항상 갖고 다니자 190
실천 9 : 소금통을 치우자 191
6장 당장 시작해야 할 일들
1. 소금은 불법이에요 195
2. 소금 전쟁 197
핀란드 : 정부, 식품가공산업계, 시민단체가 만들어낸 성공 197
영국 : 자율과 규제가 만들어낸 기적의 소금 줄이기 200
일본 : 지자체가 먼저 시작한 소금 줄이기 운동 204
3. 소금을 줄이는 여덟 가지 전략 207
4. 싱거운 대한민국 만들기 215
소금 제로 식단으로 되찾은 건강 215
김치는 눈으로만 맛을 내야 합니다 217
아내를 위해 개발한 무염빵 219
나트륨 줄이GO, 건강 올리GO 223
포항시의 ‘싱겁게 먹기 운동’ 226
직원들의 건강을 되찾아준 포스코 228
직원들 입맛을 바꾼 현대그린푸드 229
5. 청원운동이 필요하다 231
에필로그 식탁 위의 소금통부터 치워라 234
부록
1. 한국인이 자주 먹는 음식별 나트륨 함유량 239
2. 국민 식습관별 실제 소금 섭취량 검사 결과 분석 244
3. 소금 섭취량을 검사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248
4. 싱겁게 먹기 실천을 위한 여덟 가지 전략의 세부 내용 259
5. 지역별 건강위험 요인 순위 비교 273
참고자료 27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미 세계 각국은 빠르게는 50년 전부터 소금 섭취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졌다. 세계보건기구 역시 인류의 건강을 위해 2025년까지 소금 섭취를 30% 정도 줄여야 한다고 적극 권장하고 있다. 왜 세계는 소금과 관련하여 이런 노력을 기울이는 것일까? 소금 과다섭취는 전 세계인의 사망과 장애를 일으키는 여러 위험 요인 중 열한 번째를 차지한다. 세계에서 가장 소금 섭취량이 많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에는 여섯 번째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
- 소금이 노인을 만든다
소금 섭취를 15% 줄이는 것이 흡연을 20% 감소시키는 것보다 비용은 3분의 1 정도 적게 들지만 효과는 무려 2.5배 넘게 거둘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 국가가 적은 비용으로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 더 나아가 인류를 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바로 소금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라는 얘기다.
- 왜 소금 섭취를 줄여야 할까?
문제는 이런 가공식품들에 나트륨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자연식품의 나트륨 함량은 적지만, 식품가공업체가 가공 과정에서 염화나트륨을 첨가한다. 염화나트륨 이외에 방부제와 착색제 등 여러 나트륨 화합물질도 첨가하므로 가공식품에는 상당량의 나트륨이 들어간다.
- 소금 패딩을 입은 가공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