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알레르기면역
· ISBN : 9788997736485
· 쪽수 : 395쪽
· 출판일 : 2016-03-27
목차
Chapter 1 알레르기 질환의 진찰법과 생각할 것
Chapter 2 식품 알레르기
1 문진의 포인트
2 원인·항원
3 증 상
4 진 단
5 치 료
1. 원인 음식물의 제거
2. 약물 치료
6 식품 알레르기와 교차 반응
7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1. 진 단
2. 치 료
3. 꽃가루 - 식품 알레르기 증후군
4. 라텍스 과일 증후군
8 Scobroid poisoning (고등어과 생선에 의한 히스타민 반응)
아니사키스 알레르기 (고래회충)
9 음식물 의존 운동 유발성 아나필락시
1. 증 상
2. 위험 인자
3. 원인 식품
4. 진 단
5. 치 료
6. 예 방
10 IgE를 포함하지 않는 식품 과민증 (세포성면역개입)
11 식품 알레르기의 자연 경과
Chapter 3 아나필락시와 벌레 쏘임에 의한 알레르기
1 Anaphylaxy와 anaphylactoid 반응
1. 원 인
2. 증 상
3. 이상성 반응
4. 임상검사
5. Risk가 높은 환자에게 투여를 하지 말아야 할 약물
6. 긴급 1차 조치
7. 1차 조치 후 필요에 의해 신속히 해야할 조치
8. 중증 예시, 특수 예시에 대한 조치
2 벌레 쏘임 알레르기
1. 진 단
2. 치 료
3. 예 방
에피펜(EpiPen) 처방의 실제
3 전신성 모세혈관누출증후군
Chapter 4 비 염
1 역 학
2 진 단
1. 임상적 진단
2. 알레르기성 비염을 위한 검사
3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1. 항원회피
2. 약물치료
항히스타민제의 작용원리와 사용법
스테로이드 근육주사
3. 소아의 비염치료
4. 임신 중의 비염치료
4 비염의 합병증과 후유증
5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
Chapter 5 부비강염
1 부비강염의 병태생리
2 급성 부비강염
1. 증상과 진단
2. 신체 소견
3. 원인균과 항생제의 선택
4 만성 부비강염
1. 증상과 진단
2. 유발인자
3. 치 료
Macrolide 장기요법
5 알레르기성 진균성 부비강염
Chapter 6 천 식
1 예 방
2 진 단
1. 증상 및 신체 소견
2. 기도의 과민성
3. 폐부 X선 사진
3 소아의 천명
4 치 료
1. 천식 장기 관리의 중증도 분류와 치료 (JGL 2012)
2. 가이드라인에 기술된 제 1선택약
3. 천식의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 (조절제)
4. 천식의 비약물요법
5. 알레르기 대책
6. 탈감작 면역요법
5 급성 악화 발작
1. 관리와 중증도 분류
2. 급성 악화 발작에 사용되는 약제
6 지속성 기침
7 알레르기성 기관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8 과민성 폐렴
1. 임상증상
2. 진 단
3. 치 료
Chapter 7 약물 알레르기
1 구 조
2 진 단
1. 임상적 데이터
2. 원인 약물의 지목 (범위 축소)
3. 검 사
4. 약물 사용 중지 및 변경
5. 재투여
3 치 료
1. 탈감작 요법
4 분 류
1. Ⅰ형: 아나필락시, 두드러기 등
2. Ⅱ형: 용혈성 빈혈, 혈소판감소증 등
3. Ⅲ형: 혈청병 유사 반응, 신장염 등
4. Ⅳ형: 접촉성 피부염 등
5. 시간 경과에 따른 분류
5 약물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
1. 약물 및 치료에 관련된 인자
2. 환자에 관련된 인자
6 다약제 알레르기 증후군
7 합병 질환
8 병용 약물
9 약물 과민증의 임상 증상
1. 아나필락시와 아나필락토이드 반응
10 약물발진
1. 파종상 홍반 구진형 약물발진
2. 두드러기
3. 혈관부종
4. 고정 약물발진
5. 다형 삼출성 홍반
6. 광선 과민증
7. 자반성 발진
8. 결절성 홍반
9. 접촉성 피부염
10. 태선형 약물발진
11. 수포성 약물발진
11 중증 약물발진
1. Stevens-Johnson 증후군, 중독성 표피 괴사 박리증
2. 약물성 과민증 증후군 (DIHS, DRESS 또는 DHS)
3. 급성 범발성 발진성 농포증
12 혈청병 혹은 혈청병 양상의 반응
1. 증상, 검사소견
2. 원인 약물
3. 치 료
13 약제열
14 약물성 루프스
1. 증 상
2. 항핵항체
3. 치 료
4. 원인 약물
15 약물성 ANCA 관련성 혈관염
1. 증상, 검사, 치료
2. 원인 약물
16 과민성 혈관염
17 약물 과민증에 의한 내장 장애
1. 폐 질환
2. 혈액학적 장애
3. 약물성 면역학적 간 장애
4. 신장장애
18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특이한 약물
1. β -lactam계 항생제
2. 설파제
3. 아미노배당체계 항생제
4. 글리코펩티드계 항생제
5. 뉴퀴놀론계 항생제
6. Tetracycline계 항생제
7. Macrolide계 항생제
8. 클린다마이신
9. 메트로니다졸
10. 항진균제
11. 항결핵제
12. 아스피린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13. 아세트아미노펜
14. 조영제
15. 전신마취제
16. 국소마취제
17. 마 약
18. ACE저해제와 엔지오텐신Ⅱ수용체 길항제
19. 인슐린
20. 백신
21. 생물학적 제제
22. 화학요법약
Chapter 8 아토피 피부염
1 빈 도
2 유전적 요인
3 아토피 요인
4 자연 경과
5 임상 증상과 진단
6 합병증
1. 눈 증상
2. 손가락 피부염
3. 감염증(전염병)
7 원인 및 증상악화 인자
1. 정신적인 인자
2. 알레르겐의 역할
3. 흡입성 알레르겐
4. 미생물
5. 자기 항원
8 치 료
1. 증상악화 인자의 분류와 제거
2. 보습제
3. 스테로이드 외용제
스테로이드 외용제 사용의 기본
4. Tacrolimus 연고
5. 항히스타민제, 항염증 외용제
6. 항히스타민제, 항알레르기제
7. 항생제
8.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9. Probiotics
10. 기타 외용제
9 치료의 유의점
Chapter 9 두드러기, 혈관부종, 접촉성 피부염
1 두드러기
1. 급성 두드러기
2. 만성 두드러기
2 혈관 부종
1. 증상
2. 진단
3. 혈관부종의 종류
4 접촉성 피부염
1. 발병에 영향을 주는 원인
2. 진 단
3. 임상증상
4. 접촉성 피부염의 감별 진단
5. 패치테스트와 원인 물질의 특징
패치테스트의 실제와 주의점
6. 치 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