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몰 토크 : 뉴욕에서의 대화

스몰 토크 : 뉴욕에서의 대화

맹지영, 유 J (지은이)
북노마드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스몰 토크 : 뉴욕에서의 대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몰 토크 : 뉴욕에서의 대화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9783588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5-01-14

책 소개

한국 미술 현장에서 부재했던 그 소소한 장면, 작고 가벼운 ‘스몰 토크’들을 하나로 묶은 결과물이다. 미술관에서 시작해 미술관 밖으로 확장되어가는 두 사람의 대화를 따라가다보면, 일상에서 자연스럽고 친근하게 예술에 다가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5 대화를 시작하며
23 첫번째 대화 / 뉴욕, MoMA(뉴욕 현대미술관)에서
43 두번째 대화 / 아나콘다 이야기
51 / 스몰 토크
63 세번째 대화 / 조슈아트리 사막에서
73 네번째 대화 / 뉴요커의 그림 감상법
89 다섯번째 대화 / 간식통 속의 괴물
101 여섯번째 대화 / 이것도 예술이야?: 소리로 호흡하기
117 일곱번째 대화 / 작은 미술관이 주는 행복
138 장면 하나 / 고래와의 만남
146 장면 둘 / 열쇠 속 세상
159 여덟번째 대화 / 서울,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다방에서
170 장면 셋 / 강아지에 대하여
177 아홉번째 대화 / 소비하는 삶
185 열번째 대화 / 강아지 길들이기
198 장면 넷 / 예술가 그리고 어머니
206 장면 다섯 / 소음과 음악의 차이 Ⅰ
212 장면 여섯 / 소음과 음악의 차이 Ⅱ
221 열한번째 대화 / 무거운 문, 가벼운 문
235 b의 독백 / 뉴욕에 대한 단상
241 대화 이후, a의 독백 / 작가의 말

저자소개

맹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 미국에서 미술과 관련한 공부와 실무를 경험하고, 2009년부터 2020년 4월까지 비영리기관인 두산아트센터 두산갤러리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두산갤러리의 전시(서울/뉴욕), 교육 프로그램(두산큐레이터 워크샵, 두산아트스쿨 외)을 기획, 운영했다. 또한 미국을 기반으로 글로벌하게 운영하고 있는 페이스갤러리 서울에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디렉터이자 큐레이터로 한국 작가를 소개하고 전시를 만드는 일을 했으며, 임충섭과 리차드 터틀의 2인전 《How Objects Grasp Their Magic》(2022)과 염지혜, 정희민, 최상아, 홍이현숙이 참여하는 《Your Present》(2022)를 기획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금호미술관 등 국공립 및 민간 기관에 신진 및 중진 전시작가의 작가론과 다양한 미술매체에 리뷰 등을 다수 집필했고, 저서로 『스몰토크: 뉴욕에서의 대화』 (북노마드, 2015)와 『그림의 시간, one at a time』 (소환사, 2023)이 있다. 현재 시각예술분야에서 현장연구와 기획, 그리고 글을 통해 다양한 개입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기획자 공동 운영 플랫폼인 WESS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유 J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중이다. 2001년 미국으로 유학하여 파슨스 디자인 스쿨에서 디자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디자인 회사에서 직장 생활을 했다. 2011년에 한국으로 귀국하여 대기업에서 UI 디자이너로 일하다, 스스로 회사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여러 문화권과 다양한 회사에서 일했던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문화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지금도 누군가와 ‘비생산적’으로 보이는 ‘가벼운’ 잡담이나 대화들을 나누며 그것이 이끄는 대로 놔두곤 한다. 그것들은 때로는 머리를 싸매고 고민하게 만드는 큰 주제로 발전되기도 하고, 일부는 그저 그런 잡담으로 소멸되어버린다. 그런데 언젠가 그 비생산적이고 하찮아 보이는 작은 대화가 먼 훗날 그 시대 예술을 바라보는 소중한 시선이자 목소
리였음을 우리는 지나온 역사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그래서 나는 예술을 둘러싼 다양하고 ‘작은’ 대화들이 앞으로도 끊이지 않고 계속 이어지길 소망한다.
- 대화 이후, a의 독백 / 작가의 말


(b는 천천히 그림을 감상하는 a로부터 떨어져 넓은 전시장에 걸려 있는 그림들을 보는 둥 마는 둥 스윽 훑어본다.)
b 근데 내 취향은 아닌 것 같아. 너무 단순하고 무미건조하다고 할까? 홈디포 페인트 코너에 붙어 있는 색상표를 보는 것처럼 느낌이 없어. 좋은 작업이라면 시각적으로 강한 생명력이나 아름다움이 느껴져야 하는 것 아니야? 캔버스랑 붓만 있으면 나도 이 정도는 그리겠는데.
a 브라이스 마든의 작품은 단순한 형식과 색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품이 나오게 된 배경을 모르면 너처럼 ‘나도 그릴 수 있겠다’는 식의 반응을 보일 수 있어. 그런데 단순해 보여도 그 안에 정말 많은 것들이 함축되어 있지. 물리적인 제작 과정은 물론이고, 영감을 받은 것에서부터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걸린 긴 시간을 생각하면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아. 예술가마다 자라온 환경이 다를 거 아냐. 심리적으로 영향을 끼친 요소도 다를 테고. 그래서 미술 감상이란 일종의 탐정 게임과 같아. 관람객은 오직 단편적인 단서들만 보고 유추하게 마련이거든. 재미있는 건 작가들마다 그 단서를 제시하는 방법이 다 달라.
- 첫번째 대화 / 뉴욕, MoMA(뉴욕 현대미술관)에서


a 예술도 이런 사막과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이렇게 고통스러우면서도 그곳에 생명과 이야기가 있고 불필요한 멋이나 장식 따위는 발붙일 틈을 주지 않으면서도 그 제한된 공간 속에서 가장 아름답고자 하는 것. 그 몸부림의 파장이 눈으로 들어와 가슴을 울리고 머리로 퍼져나가는 느낌. 그저 바라보는 것 외에는 다른 설명이 필요 없는 느낌.
b 뭔지 알 것 같아. 내 생각에도 예술가가 자신을 온전히 내던지지 않으면 이런 느낌을 줄 수 없을 것 같아. 겉멋을 낸다든지 핵심 외에 군더더기들이 달라붙어 있다면 말이야. 잡초가 무성한 느낌이랄까, 그런 상태에서는 네가 말한 응축된 느낌이 들지 않겠지.
- 세번째 대화 / 조슈아트리 사막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0892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