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계간 시청각 6호 2023.겨울

계간 시청각 6호 2023.겨울

김재리, 이규식, 김얼터, 이민주, 허미석, 현시원, 한윤아, 김해주, 박해천, 맹지영, 오석근, 이지원, 콘노 유키, 배은아, 시청각 편집부 (지은이)
시청각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계간 시청각 6호 2023.겨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계간 시청각 6호 2023.겨울 
· 분류 : 국내도서 > 잡지 > 대중문화/예술
· ISBN : 9791187937142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6-15

책 소개

동시대 미술을 포함한 시각문화의 의제를 제시하고, 이를 둘러싼 언어를 만들어내고, 그 순간을 기록하는 시각문화 비평지다.『계간 시청각』이 펼쳐 놓은 지면이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비평의 언어를 다루는 사람들과 시각문화를 다루는 사람들이 독립적인 텍스트를 생산하고, 그 텍스트가 지금 시각문화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평의 영역을 조금이라도 단단하게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

[스페셜] 한국 현대미술의 자리 : 서울에서 미술 하기
7 가열과 냉각, 2010년대 서울의 두 측면 - 박해천
19 환승 없이 바로 간다 - 리모트 컨트롤로서의 도시 - 현시원
39 영도,조방,을숙도 - 김해주
19 번역으로서의 아시아, 방법으로서의 서울 - 한윤아
49 대담 맹지영, 오석근, 이지원, 콘노 유키

[크리틱]65 놀이는 끝났어, 지금부터 현실이야 -김얼터
97 컬렉티브와 ‘가정’의 방식(if-mode): 루앙루파와 도큐멘타 15 - 김재리
111 호프리스 로맨틱의 환상 없는 사랑을 위하여 - 이규식
121 퍼포먼스 없는 전시 : 춤과 연극 사이의 드라마 - 이민주
133 동시대성과 미술 역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디자인된 세계관에 대한 고찰 - 허미석

[도면함]
143 허공의 말 - 배은아

[작업중]
171 접힌 글 - 임영주

저자소개

박해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대학교 디자인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자인 연구자로서 『인터페이스 연대기』 (2009), 『콘크리트 유토피아』(2011), 『아파트 게임』(2013), 『아수라장의 모더니티』(2015)를 저술했고, 『확장도시 인천』(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1 :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1989~1997』(2016), 『디자인 아카이브 총서 2: 세기의 전환기 한국 디자인의 모색 1998~2007』(2020) 등을 기획했다. 2014년에는 공동기획자로 일민미술관의 인문학박물관 아카이브 전시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에 참 여했다.
펼치기
김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무용과 공연예술 분야에서 드라마투르그, 연출가, 이론가, 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다. 동시대 안무의 확장된 관점과 실천에 관심을 두고 관련 프로젝트 기획 및 협업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탠저린 콜렉티브의 구성원이다.
펼치기
현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아트와 전시매체를 가르친다. 근래 관심사는 아시아의 미술 공간과 전시 도면이다. 큐레이터로 활동하며 전시공간 시청각을 운영해 왔다. 2024 창원조각비엔날레 ‘큰 사과가 소리없이’ 예술감독이었다.
펼치기
현시원의 다른 책 >
맹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 미국에서 미술과 관련한 공부와 실무를 경험하고, 2009년부터 2020년 4월까지 비영리기관인 두산아트센터 두산갤러리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두산갤러리의 전시(서울/뉴욕), 교육 프로그램(두산큐레이터 워크샵, 두산아트스쿨 외)을 기획, 운영했다. 또한 미국을 기반으로 글로벌하게 운영하고 있는 페이스갤러리 서울에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디렉터이자 큐레이터로 한국 작가를 소개하고 전시를 만드는 일을 했으며, 임충섭과 리차드 터틀의 2인전 《How Objects Grasp Their Magic》(2022)과 염지혜, 정희민, 최상아, 홍이현숙이 참여하는 《Your Present》(2022)를 기획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금호미술관 등 국공립 및 민간 기관에 신진 및 중진 전시작가의 작가론과 다양한 미술매체에 리뷰 등을 다수 집필했고, 저서로 『스몰토크: 뉴욕에서의 대화』 (북노마드, 2015)와 『그림의 시간, one at a time』 (소환사, 2023)이 있다. 현재 시각예술분야에서 현장연구와 기획, 그리고 글을 통해 다양한 개입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기획자 공동 운영 플랫폼인 WESS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시청각 편집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간 시청각 www.audiovisualpavilion.org/exhibitions www.audiovisualpavilion.org/lab
펼치기
이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폴란드어 번역자, 미술사 박사, 큐레이터. 아랍에미리트 샤르자예술재단 (Sharjah Art Foundation) 학예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이규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미술관 전시교육과 학예연구사로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의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으며, 기획자 공동 운영 플랫폼 WESS의 공동 큐레이터(2021-)로 활동하고 있다. 《플레어》(WESS, 2023), 《피니치오니 : 끝에게》(THEO, 2023), 《잠재감각》(배렴가옥, 2022), 《작은 불화》(탈영역우정국, 2020), 《뉴노멀》(오래된 집, 2020)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퀴어와 소수자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전시를 통한 예술의 실천적인 전략에 대해 탐구해 왔다. 근래에는 변화하는 국내외 미술 환경 속에서 레지던시의 역할과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펼치기
김얼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쓴이 김얼터는 시험에 드는 일을 좋아한다. 전시 《무저갱(Abyss)》(Hall1, 2022)과 《크림(cream)》(아카이브 봄, 2020)을 만들었다. unfounded와 abs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이민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양화와 미술이론을 전공했다. 이곳저곳에 글을 기고하면서 전시를 꾸린다. 이미지가 만드는 사건과 기록성에 주목하며 비평적 글쓰기를 고민한다.
펼치기
허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 큐레이터이자 미술/디자인 연구자이다. 미국문화와 미술사학을 공부했으며, 전 서울시립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프로젝트 큐레이터, 바라캇 컨템포러리 큐레이터, 서울시립미술관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일민미술관 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를 지냈다.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시각 문화와 물질문화, 미디어 문화, 상업 예술 역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한다. 현재는 광범위한 디자인의 개념에 집중하고 있으며, 물류, 보관 및 인간의 상호작용과 호혜성을 통합하고 이것이 우리가 예술을 느끼는 방식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공동 저서 및 역서로는 『교차확인 Cross Check』(시청각, 2021) 『디어 아마존-인류세에 관하여』(현실문화A, 2020), 『엉망』(작업실유령, 일민문화재단 공동 출판, 2018) 외 가 있다.
펼치기
한윤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획자이고 출판사 ‘타이그레스 온 페이퍼’를 설립해 운영하는 책임 편집자이다. 동아시아 영화연구를 공부하고, 동아시아 근대성과 문화이론에 관한 책 몇 권을 번역했다. 국제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고, 미술전시 “The Battle of Visions”(독일, 담슈타트 미술관/아르코, 2005)의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만들며 미술 현장에서도 일을 시작했다. 대중문화나 시각예술, 어린이책 등에 관한 비평도 한다.
펼치기
김해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큐레이터, 2022 부산비엔날레 《물결 위 우리》의 전시감독으로 일했다.
펼치기
오석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각 예술가, 인천을 중심으로 타 도시를 오고 가며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적산가옥의 변화상을 조사,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 전시, 책을 만들고 있다.
펼치기
콘노 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일본에서 미술 전시를 보고 글을 쓰는 사람이다.?《애프터 10.12》(시청각, 2018),?《한국화와 동양화와》(Gallery TOWED, FINCH ARTS, 중간지점 둘, 2022) 등의 전시를 기획했고 그 외 많은 전시에 기획 협력, 공동 기획으로 참여했다. 한국과 일본의 전시 정보 공유 플랫폼 파도그래프의 공동 운영자이며 GRAVITY EFFECT 2019 비평 공모에서 2위를 수상했다.
펼치기
배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 큐레이터로 활동하며 전시의 실재성과 경험의 허구성, 그리고 언어의 아름다움 주변을 탐구한다. 부암동에 거주하고 일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