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음악/예술치료
· ISBN : 9788997840397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음악치료(音樂治療)
1. 음악치료
1.1 시작하며
1.2 음악치료의 역사
1.3 음악치료의 영역
1.4 소리와 음악
1.5 음악이 가지는 기능
2. 해외 음악치료
2.1 유럽과 미국의 음악치료
2.2 일본의 음악치료
2.3 한국의 음악치료
2.4 음악치료사
2.5 음악치료 관련 대학에 대한 자료
2.6 외국의 음악치료사 자격증 제도
3. 음악치료의 미래
제2장 음악치료에서의 소리
1. 음의 개념
1.1 음파(音波)
1.2 소리의 크기 레벨
1.3 소음의 레벨과 시끄러움
1.4 청각
1.5 음색
1.6 머리 운동의 영향
1.7 거리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1.8 음성의 명료도
2. 음악심리학
2.1 음악의 지각과 인지
2.2 음악과 감정
2.3 음악에 이용되는 소리의 범위
2.4 소리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2.5 음악의 시작
2.6 BGM(Back Ground Music)의 효과
3. 음악치료에 적용되는 추천 클래식 음악
제1곡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
제2곡 보로딘 『교향곡 제1번, 2번』 『폴로베츠 사람의 춤』
제3곡 요한 스투라우스 『GALA - Walzer & Polkkas』
제4곡 시벨리우스 『핀란디아(Finlandia)』
제5곡 시벨리우스 『관현악곡』, 『타피올라』, 『슬픈 왈츠』, 『카렐리아』
제6곡 슈베르트 『마왕(魔王)』
제7곡 바그너 『발퀴네』
제8곡 베토벤 『교향곡 제5번』
제9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영웅의 생애』
제10곡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11곡 라벨 『밤의 가스파르(Gaspard de la nuit)』
제12곡 슈베르트 『죽음과 소녀』
제13곡 로시니 『서곡집』
제14곡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20번』
제15곡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관현악곡』
제16곡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제17곡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3번』
제18곡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제19곡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제20곡 드보르자크 『교향곡 제9번(신세계로부터)』
제21곡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제4번』
제22곡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제23곡 브람스 『교향곡 제1번』
제24곡 차이코프스키 『백조의 호수』
제25곡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2번』
제26곡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제27곡 모차르트 『교향곡 제40번』
제28곡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8번』
제3장 노인 음악치료
1. 노인의 음악치료에 있어서의 즉흥연주기법
1.1 기성곡 연주와 즉흥연주
1.2 즉흥연주기법 1(건강한 노인) ‘틀에서의 이탈을 위해’
1.3 즉흥연주 기법 2(인지증 노인) ‘틀에 머무는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1.4 노인의 즉흥연주 기법 정리
2. 악기 활동의 실제
2.1 노인의 음악치료에서 사용하는 악기
2.2 악기의 조작 - 운동기능의 시점에서
2.3 악기사용에 관한 유의점
제4장 각 영역별 음악치료 사례
1. 아동 음악치료 사례
1.1 자폐성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1.2 ADHD 경향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1.3 ADD 경향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2. 특수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2.1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2.2 엔젤만 증후군(Angelman Syndrome)을 위한 음악치료
2.3 코넬리아드랑게 증후군(Cornelia De Lange Syndrome)을 위한 음악치료
2.4 프라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을 위한 음악치료
2.5 다운증후군(Down Syndrome)을 위한 음악치료
2.6 뇌 병변장애를 위한 음악치료
3.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3.1 일반청소년 대상
3.2 일반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1
3.3 일반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2
3.4 중학교에서의 음악치료 접근 시도
3.5 중학교 지적 장애반 대상
4. 성인(成人)을 위한 음악치료
4.1 암 환자 대상 음악치료
4.2 암 임상에서 임상심리학적 접근의 전개
4.3 암 임상에서의 예술치료의 적용 검토
4.4 말기 암 환자의 음악치료
4.5 암 환자 음악치료 프로그램
4.6 암환자 음악치료의 목적
4.7 암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제
4.8 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에 의한 스트레스 변화
4.9 다문화 가정 여성을 위한 음악치료
4.10 미혼모 대상 음악치료
5. 노인을 위한 음악치료
5.1 감각 기능
5.2 인지 기능
5.3 운동 기능
5.4 현실 소재 인식
5.5 언어와 심폐 기능
5.6 심리 정서 기능
5.7 노인 음악치료의 사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음악”이란 소리에 의한 예술 또는 즐거움의 하나로 간주된다. 한편 “치료”란 병이나 장애의 치료방법이라는 뜻이다. 이들 두 단어가 결합 된 “음악치료(Music Therapy)”에 대한 정의는 “음악”과 “치료”라는 두 개의 영역이 합쳐진 지식과 실천을 지칭하고 있다.
음악치료 Music Therapy(영), Musik Therapie(독), Musico Therapie(프)의 정의는 “음악이 가지는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작용을 이용해 심신 장애의 회복, 기능의 유지 개선, 생활의 질의 향상, 행동의 변용(變容) 등을 위해 음악을 의도적,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음악치료에 대한 미국음악치료협회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Music Therapy is the clinical and evidence-based use of music interventions to accomplish individualized goals within a therapeutic relationship by a credentialed professional who has completed an approved music therapy program(음악치료는 치료적인 목적, 즉 정신과 신체 건강을 복원 및 유지시키며 향상시키기 위해 음악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치료적인 환경 속에서 치료대상자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음악치료사가 음악을 단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