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정치비평/칼럼
· ISBN : 978899787154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면서> 거대한 운명의 갈림길에 서 있다는 위기의식
<프롤로그> 역사를 보라
제1부 굴종 외교의 탄생 배경
1. 586 친북 운동권의 사이비(似而非) 진보주의
2. 전대협 의장 출신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되다
3. 전대협 586 운동권 출신들의 청와대 위장취업?
4. 북한과의 체제전쟁에서 이겼다는 착각
5. 북한 김정은에 대한 심각한 오해와 낭설
제2부 “나는 남쪽 대통령입니다”
6. “나는 남쪽 대통령입니다”
7. 6·25전쟁에는 침략자가 없다?
8. 김여정의 독설이 러브레터인가!
9. 가짜 평화와 반(反)통일의 길을 가는 문 정권
10. 한국의 방송장비가 북한 미사일 부품?
11.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선의로 포장된 지옥으로 가는 길
12. 북한 입맛에 맞는 문재인 ‘외교안보 4인방’
13. 육군 소위로 임명된 군견 헌트
14. ‘안보’는 안 보이고 ‘경계’는 찢어진 우산
제3부 대중(對中) 굴종 외교의 실상
15. 친중(親中) 사대의 늪에 빠진 문 정권
16. 중국에 잠식당하는 대한민국
17. 대중국 ‘3불(不) 약속’은 안보주권 포기각서
18. 투키디데스 함정에 빠진 미-중, 우리의 운명은?
제4부 흔들리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3각 안보협력체제
19. ‘민족종교’에 빠져 한미동맹 흔드는 문재인 정권
20. 북한의 ‘갓끈 전술’에 무너지는 한미일 3각 안보협력체제
21. 잊을 수 없는 그 날, 아! 천안함
22. “폭탄이 떨어져도 평화 외쳐야…” 이인영은 몽상부 장관?
23. 백선엽과 박원순을 차별한 문재인 대통령
제5부 다시 돌아보는 국방위원장 시절
24. 당론이냐 양심이냐, 이것이 문제로다
25. 사드 배치에 대한 국방위원장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26. 북한 무인기에 무방비로 노출된 대한민국의 영토
27. 북한 김정은이 마약을 한다고?
28. 전직 국방장관이 전쟁기념관 관장을 맡는 나라
29. 역대 주한미군 사령관들이 입을 연 이유는?
30. 오사마 빈 라덴을 바다에 수장시킨 미 항공모함 칼빈슨호
31. 북(北) 화성-15형 발사, 유럽 NATO마저 전율 느껴
32. 하와이 ‘USS 아리조나’ 군함의 검은 눈물
33. <천안함 희생 장병들께 바치는 국방위원장 방미 보고의 글>
제6부 MZ세대의 통일의식
34 김정은을 향한 이준석의 시원한 한마디
35. 굳이 통일을? vs. 우리의 소원은 통일!
36. 민족주의 통일관 vs. 자유주의 통일관
37. 우리 정치 훤히 들여다보는 북한, 이번 대선에서는 어떻게 개입할까?
38. 문재인보다 더 위험한 이재명의 안보 포퓰리즘
39. 북한 눈치 보기 끝판왕 ‘북한 가짜뉴스 모니터링 예산’
<에필로그> 통일보다는 북한의 ‘정상 국가화’가 먼저다
문재인 정부 외교·안보 굴욕 사건일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남쪽 대통령’이라니, 이게 도대체 무슨 망언인가! 헌법과 자유민주주의를 기초로 건국된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어디 가고 남쪽을 대표하는 남쪽 대통령이라니! 우리가 흔히 남과 북, 혹은 남한과 북한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는 있다. 대한민국과 북한을 병렬적으로 함께 거론할 때 쓰는 표현이다. 하지만 남한의 대통령이나 남쪽의 대통령이라는 말을 쓰는 경우는 없다. 그 말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대통령이나 북쪽의 대통령이 있어야 한다.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 혹은 한국의 대통령이어야 한다.
김여정은 문 정부를 향해서 “태생적 바보”, “판별 능력마저 상실한 떼떼(말더듬이)”라고 하면서 극도의 조롱을 퍼부었다. 그런데 김여정의 이 발언에 통일부는 “그간 낸 담화를 보면 김여정이 이번에도 훨씬 강경한 표현을 동원했을 수도 있는데 이 정도면 표현 수위를 꽤 조절한 편”이라고 평가했다. 대다수 국민은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도대체 통일부가 가지고 있는 우리말의 표현 수위의 기준은 무엇인가.
지난해에 김여정이 써먹은 ‘삶은 소대가리’나 ‘특등 머저리’ ‘미친개’라는 표현도 수위를 꽤 조절한 용어라 평가하는 것인가.
문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김여정의 “특등 머저리” 등이 포함된 대남 담화문에 대해서 “좀 더 과감하게 대화하자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는 인터뷰까지 했다. 대단한 언어심리학적 분석이다.
정율성은 중국공산당 건국 100대 공신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6·25전쟁 때는 중국 인민지원군의 일원으로 전선에서 위문 활동을 하기도 했다. 북한에서는 조선인민군 협주단을 창단했다. 정율성이라는 이름은 의열단장이었던 김원봉이 ‘음악으로 성공하라’는 뜻에서 율성(律成)이라고 지어줬다고 한다.
이런 연설 내용을 보면 문재인 대통령은 항일투쟁의 업적만 있다면 그 이후 6·25전쟁을 일으켜 온 국토를 피로 물들인 책임이 있어도 영웅 대접을 해줘야 한다는 논리다. 스탈린과 모택동의 승낙과 지원을 받아 일으킨 6·25전쟁을 남과 북의 쌍방과실 정도로 치부하고 있는 듯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