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97916542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15-01-01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방언 어휘론의 연구사
제1장 방언 어휘론의 현황과 과제
1. 들어가는 말
2. 방언 어휘론의 개념
3. 방언 어휘론의 연구사
4. 방언 어휘론 연구의 현황과 과제
5. 나오는 말
제2부 옹기 어휘 연구
제1장 옹기 어휘의 분화 양상
-경북 지역 ‘독류’의 명칭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제보자
3. ‘독류’ 명칭의 분화 기제
4. ‘독류’ 명칭의 역사적 변천
5. ‘자리’ 명칭의 지역별 분화 양상
6. 크기에 따른 ‘독류’ 명칭의 지역별 분화 양상
7. 나오는 말
제2장 경북 지역 ‘독류’ 어휘의 분화 양상
1. 들어가는 말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자리의 개념 및 자리의 유형
4. 분화기제에 따른 ‘독’ 명칭의 분화 양상
5. 나오는 말
제3장 옹기의 형태별 명칭 연구
-경북지역 ‘동이류盆’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기존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3. ‘동이류’ 명칭의 분화 양상
4. ‘동이류’ 명칭의 분화 기제
5. 나오는 말
제4장 옹기 명칭의 인지적 분류 체계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 및 범위-구조의미론의 의미장과 인지적 관점
3. 옹기의 형태별 명칭에 따른 인지적 분류 체계
4. 나오는 말
제3부 친족 어휘 연구
제1장 붕당의 대립에 따른 친족호칭어 분화 양상
-성주 한개마을 성산 이씨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당색에 따른 친족호칭의 분화 양상
3. 한개마을 성산 이씨 택호의 종류와 기능
4. 나오는 말
제2장 문경지역 친족호칭어의 분화 양상
-인천 채씨의 동성마을 현리와 교촌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마을의 역사적·문화적·사회적 배경
3. 분화 조건에 따른 친족호칭어 분화 양상
4. 나오는 말
제4부 가옥 어휘 연구
제1장 방언 어휘의 형태 및 의미 분화와 통합
-‘시렁, 살강, 선반’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기존의 연구 검토
3. ‘시렁’, ‘살강’, ‘선반’의 사전적인 의미
4. 국어사 자료에 나타난 ‘시렁’계, ‘살강’계, ‘선반’계 어휘의 분화 양상
5. 국어사 자료에 나타난 ‘시렁’계, ‘살강’계, ‘선반’계 어휘의 의미 분화
6. 방언 자료에 나타난 ‘시렁, 살강, 선반’계 어휘의 분화 양상
7. 나오는 말
제5부 방언 어휘 지도
제1장 옹기 명칭의 문화지도
1. 들어가는 말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자리’의 유형에 따른 옹기의 문화지도
4. ‘자리’의 분화 기제에 따른 옹기 명칭의 문화지도
5. 나오는 말
제2장 문경지역 친족호칭어의 방언지도
1. 들어가는 말
2. 친족호칭어와 분화 양상과 방언지도
3. 나오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