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98366681
· 쪽수 : 665쪽
· 출판일 : 2024-10-15
책 소개
목차
Ⅰ. 순환경제로의 전환에 따른 자원순환 환경·폐기물산업 31
1. 순환경제로의 전환 및 온실가스 배출 동향 31
1-1.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의 전환과 대응 동향 31
1) 순환경제 정의 및 전환 31
(1) 정의 31
(2)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의 전환 32
(3) 순환경제의 중요성 34
2)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 37
(1) 순환 공급망 모델(Circular Supplies) 37
(2) 회수 및 재활용 모델(Recovery and Recycling) 38
(3) 제품 수명연장 모델(Life Cycle Extension) 39
(4) 공유 플랫폼 모델(Sharing Platform Model) 41
(5)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42
3) 순환경제를 위한 국내 재활용 산업 육성과 시장 활성화 제도 43
(1)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44
(2) 환경성보장제도 45
(3)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46
(4) 폐기물 부담금 제도 46
(5) 폐기물처분부담금제도 47
(6) 재활용시장관리센터와 재활용시장관리위원회 48
(7) 녹색제품 구매촉진 제도 49
4) 순환경제 도입, 기후위기의 현실적 대안 51
(1) 기후변화의 실효적 대응 방안, 순환경제 51
(2) 순환경제 성장 잠재력 53
(3) 기업의 순환경제 도입, 기업 성장동력 확보와 가치상승 효과 54
(4) 순환경제는 미래 전략의 한 축 57
5) 중소기업을 위한 순환경제 활용방안 59
(1) 중소기업 순환경제 활용 비즈니스 모델 제안(개별기업, 협업) 59
(2) 중소기업 순환경제 활용 현황 및 정책제안 63
1-2. 국내외 온실가스 배출 동향과 전망 67
1) 국내외 온실가스 배출 전망 67
(1) 지구 온실가스 배출 전망 67
(2) 국내 온실가스 배출 전망 68
2) 2023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동향 70
(1)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감 추세 70
(2) 2023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요인 72
(3) 세계 주요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추이 73
(4)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의 특징 78
3) 국내 온실가스 배출 현황 80
(1) 2023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 80
(2) 최근 6년간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81
(3) 2023년 잠정배출량의 부문별 주요 증감요인 82
2. 국내외 환경·폐기물산업 동향과 전망 83
2-1. 국내외 환경산업 동향 및 전망 83
1) 국내외 환경산업 시장 동향 및 전망 83
(1) 국내외 환경시장 전망 83
(2) 주요국 환경기술 개발 동향 84
(3) 국내 환경기술 수준 86
(4) 국내 환경분야 재정투자 현황과 추이 86
2) 국내 환경산업 현황 88
(1) 사업체 현황 88
(2) 종사자 현황 89
(3) 매출액 현황 90
(4) 수출액 현황 92
(5) 투자액 현황 93
3) 국내 환경산업체 경쟁력 강화 94
(1) 환경산업 육성 전략기반 마련 94
(2) 창업·벤처 녹색융합클러스터 조성(구, 환경산업연구단지) 94
(3) 녹색융합클러스터 조성 95
2-2. 국내 폐기물산업 동향 97
1) 폐기물 개요 97
(1) 폐기물 정의 97
(2) 폐기물 분류 97
(3) 폐기물 산업의 특징 99
2) 폐기물 처리 과정 및 방법 100
(1) 소각 101
(2) 스팀 102
(3) 매립 103
(4) 소각·스팀·매립 사업 비교 104
3) 국내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105
(1) 폐기물 발생 현황 105
(2) 폐기물 처리방법별 발생 현황 112
(3) 폐기물 처리(매립·소각)시설 현황 115
(4) 잔재물 발생 및 처리 현황 117
2-3. 국내 폐기물 관련 사업체 동향 118
1) 폐기물 처리업 118
(1) 폐기물 처리업 개요 118
(2) 폐기물 처리업 특징 119
(3) 폐기물 처리업체 현황 121
2) 폐기물 재활용업 122
(1) 폐기물 재활용업체 현황 122
(2) 재활용 제품의 판매 현황 124
(3) 재활용실적 총괄 현황 126
(4) 폐기물 재활용업체 특성 129
3) 국내 폐기물 처리 기업 동향 130
(1) 주요 기업 동향 130
(2) 주요 대기업 동향 133
(3) 폐기물 처리 스타트업 및 폐기물 처리 전문 기업 135
(4) 폐기물 처리업 인수합병(M&A) 동향 136
2-4. 글로벌 폐기물산업 시장 동향 및 전망 138
1) 폐기물 관리 시장 138
2) 폐기물 재활용 시장 140
3. 국내외 환경·자원순환 정책 및 동향 142
3-1. 해외 주요국 환경·자원순환 정책 및 동향 142
1) 미국 142
(1) 미국 환경 정책 142
(2) 미국 폐기물 관리 및 처리 동향 148
(3) 미국 자원순환 동향 151
2) EU 154
(1) EU 환경 정책 154
(2) EU 순환경제 관련 주요 규제 동향 155
(3) EU 자원순환 동향 157
3) 중국 161
(1) 중국 환경산업 동향 161
(2) 중국 환경 정책 166
(3) 중국 자원순환 동향 169
4) 일본 170
(1) 일본 환경산업 동향 170
(2) 일본 환경 정책 171
(3) 일본 자원순환 동향 174
3-2. 국내 환경·자원순환 정책 동향과 추진전략 177
1) 국내 자원순환 정책 방향 177
2) 한국형(K) 순환경제 이행계획 181
(1) 자원순환 全과정(Life-cycle) 관리 181
(2) 순환경제 이행 확산 191
(3) 주요 품목별, 순환체계 구축 199
(4) 이행점검 및 모니터링 208
3) 순환경제 활성화를 통한 산업 신성장 전략(CE 9 프로젝트) 209
(1) 추진 배경 209
(2) 비전 및 목표 210
(3) 핵심 추진과제 211
(4) 향후 추진계획 224
Ⅱ. 유망 폐기물산업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229
1. 폐플라스틱 관련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229
1-1. 플라스틱 개요 및 플라스틱 분해 기술 동향 229
1) 플라스틱 개요 229
(1) 플라스틱의 정의 및 분류 229
(2) 플라스틱의 종류 230
2) 비생물학적 플라스틱 분해 기술 232
(1) 광분해(Photodegradation) 232
(2) 열산화 분해(thermo-oxidative degradation) 232
(3) 가수분해(hydrolytic degradation) 233
3) 플라스틱 생분해 기술 및 동향 234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234
(2)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235
(3)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236
(4)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237
(5)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237
(6)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238
1-2. 플라스틱 분리선별 및 업사이클링 기술 동향 240
1) 폐플라스틱 분리선별 기술 240
(1) 비중선별 240
(2) 정전선별 241
(3) 색상선별 241
(4) 근적외선·레이저·초분광 기술 241
(5) Artificial Intelligence 이미지 인식 기술 242
2)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기술 동향 및 사례 244
(1) 정의 244
(2)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특징 245
(3)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핵심 요소기술 246
(4)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발전 방향 250
(5) 국내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례 252
1-3.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및 R&D 투자 동향 254
1) 개요 254
(1) 정의 254
(2) Value Chain 254
2)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분류 255
(1) 물리적 재활용 256
(2) 화학적 재활용 257
(3) 열적(에너지) 재활용 258
3)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 동향 259
(1) 정의 259
(2) 화학적 재활용 기술 분류 259
(3) 해외 기술산업 동향 263
(4) 국내 기술산업 동향 269
(5) 국내외 관련 기업 동향 272
4) 국내외 R&D 투자 동향 276
(1) EU 276
(2) 미국 277
(3) 한국 278
1-4. 국내외 플라스틱 시장 동향 및 오염방지 국제 논의 283
1) 국내외 플라스틱 관련 시장 동향 및 전망 283
(1) 플라스틱 시장 현황 283
(2)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현황 및 전망 286
(3) 폐플라스틱 시장 현황 및 전망 289
(4)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전망 291
(5)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동향 및 전망 292
2) 플라스틱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 논의 296
(1) UNEP 국제 플라스틱 협약(Global Plastic Treaty) 296
(2) WTO IDP(플라스틱 오염방지 비공식 대화) 298
(3) G7·G20 플라스틱 오염 방지 이니셔티브 299
1-5. 국내외 탈 플라스틱 대응 동향 301
1) 미국 301
(1) 미국 플라스틱 산업 동향 301
(2) 미국, 플라스틱 정책 및 규제 동향 303
2) EU 306
(1) EU 플라스틱 산업 동향 306
(2) EU, 플라스틱 정책 및 규제 동향 312
3) 중국 316
(1) 중국 플라스틱 산업 동향 316
(2) 중국, 플라스틱 정책 및 규제 동향 322
4) 인도 325
(1) 인도 플라스틱 산업 동향 325
(2) 인도, 플라스틱 정책 및 규제 동향 328
5) 일본 331
(1) 일본 플라스틱 산업 동향 331
(2) 일본, 플라스틱 정책 및 규제 동향 334
6) 한국 337
(1) 한국, 플라스틱 정책 동향 337
2. 폐배터리 관련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341
2-1. 이차전지(리튬이온) 개요와 최근 동향 341
1) 이차전지(리튬이온) 개요 341
(1) 이차전지 정의 341
(2) 이차전지(리튬이온) 구조 342
(3) 이차전지 제조과정 344
2) 이차전지 최근 산업 동향 349
(1) 이차전지, 전동화·무선화·저탄소화의 필수 기술로 급부상 349
(2) 이차전지 시장, 한·중·일 3국 과점체제 350
(3) 리튬이온전지, 고성능·저가격 경쟁 351
(4) 차세대 이차전지(Post-Lib) 기술 중요성 부상 352
2-2. 글로벌 전기차 및 이차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354
1) 전기차 시장 동향과 전망 354
(1)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 및 전망 354
(2)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및 배터리 수요 전망 356
(3) 국내 전기차 시장 규모 및 전망 358
2) 이차전지 시장 동향 및 전망 363
(1)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동향 및 전망 363
(2) 이차전지 4대 핵심 소재 시장 전망 365
(3) 국내 이차전지 시장 동향 367
2-3. 이차전지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70
1) 이차전지 폐배터리(재사용·재활용) 개요 및 필요성 370
(1) 이차전지 폐배터리(재사용·재활용) 개요 370
(2) 이차전지 폐배터리(재사용·재활용) 필요성 372
(3) 전주기(재사용·재활용) 생태계 현황 373
2) 이차전지 폐배터리 처리 기술 376
(1) 이차전지 폐배터리 재사용(Re-Use) 376
(2) 이차전지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377
3)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 현황 및 전망 381
(1) 글로벌 배터리 재활용 시장 동향 381
(2) 배터리 재활용 설비 및 재활용 원료 동향 383
(3) 재활용 원료확보를 위한 기업 협력 동향 384
4) 글로벌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산업 및 기업 동향 386
(1) 폐배터리 재사용(Reuse) 산업 동향 386
(2)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산업 동향 387
(3) 해외 기업 동향 389
(4) 국내 기업 동향 392
5) 폐배터리 관련 R&D 투자 및 연구개발 동향 395
(1) 국내 R&D 투자 동향 395
(2) 폐배터리 재활용 고도화를 위한 주요 연구개발 동향 399
2-4. 주요국 폐배터리 회수이용 방식 및 시장·정책 동향 402
1) 주요국 폐배터리 회수이용 방식 402
(1) 미국 402
(2) EU 403
(3) 중국 403
(4) 일본 404
(5) 한국 405
2) 주요국 폐배터리 관련 시장 동향 및 정책 407
(1) 미국 407
(2) 유럽 414
(3) 중국 422
(4) 일본 430
(5) 한국 441
3. 폐태양광패널 관련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446
3-1. 태양광 발전산업 개념 및 최근 이슈 446
1) 태양광 발전산업 개념 및 활용 446
(1) 태양광 발전의 개념 446
(2) 태양광 Value Chain 447
(3) 태양전지의 작동원리와 종류 448
(4) 태양광 발전의 활용 449
2) 태양광 발전산업 최근 이슈 451
(1) 탄소중립과 태양광 451
(2) 에너지 안보 이슈와 태양광의 역할 453
(3) 치열한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개발 경쟁 454
3-2. 국내외 태양광 발전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456
1) 글로벌 태양광 발전산업 동향 및 전망 456
(1)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 동향 456
(2)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 전망 458
(3) 글로벌 태양광산업 투자 동향 462
2) 태양광 밸류체인별 가격 및 공급망 동향 465
(1) 폴리실리콘 465
(2) 웨이퍼 467
(3) 태양전지 및 모듈 468
3) 해외 주요기업 태양광 수직계열화 및 사업 동향 471
(1) 주요기업 수직계열화 현황 471
(2) 주요기업 실적 동향 472
(3) 주요기업 사업 동향 473
4) 국내 태양광 발전산업 동향 및 전망 475
(1) 국내 태양광 설치 현황과 전망 475
(2) 국내 태양광 밸류체인별 수출·입 동향 476
(3) 국내 주요기업 사업 동향 478
3-3.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480
1) 태양광 패널(모듈) 재활용 개요 480
(1) 정의 480
(2) 필요성 481
2) 태양광 패널(모듈) 재활용 관련 산업 환경 483
(1) 태양광 시장의 지속가능성 이슈 대두 483
(2) 태양광 산업의 재활용·재사용에 관한 관심 증가 484
(3) 태양전지의 박형화와 저가화 추세 485
3) 국내외 태양광 보급, 폐패널 발생 및 재활용 시장 전망 488
(1) 국내외 태양광 보급 전망 488
(2)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및 관련 폐자원 발생 전망 489
(3)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시장 전망 492
(4) 국내 태양광 폐패널 분야 R&D 투자 현황 493
4) 태양광 패널(모듈) 재활용 기술개발 동향 495
(1) 기술의 정의 495
(2) 노후·불량 모듈 검사 및 분류 기술 500
(3) 분리 회수 기술 501
(4) 출력 복원 기술 501
(5) 운영관리시스템 기술 502
5) 국내외 폐패널 재활용 기업 동향 505
(1) 해외 기업 505
(2) 국내 기업 507
3-4. 주요국 폐패널 재활용 시장 및 정책 동향 517
1) 미국 517
(1) 폐패널 재활용 시장 동향 517
(2) 정책 동향 518
2) 유럽 519
(1) 폐패널 재활용 시장 동향 519
(2) 정책 동향 520
3) 중국 522
(1) 폐패널 재활용 시장 동향 522
(2) 정책 동향 522
4) 일본 524
(1) 폐패널 재활용 시장 동향 524
(2) 정책 동향 526
5) 한국 528
(1)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 528
(2) 자원기술 R&D 투자 혁신전략(안)(2020.04) 529
(3) 국내 EPR 제도 시행(태양광 폐패널 품목 포함) 529
(4) 태양광 폐패널 관리 강화 방안 531
Ⅲ. 자원순환, 폐기물 관련 기술 연구과제 현황 537
1. 자원순환·자원개발 및 폐이차전지 재활용·재사용 기술 분야 537
1-1. 자원순환, 자원개발 기술 개발 537
1) 저품위 염호 맞춤형 친환경 리튬추출 실증화 기술 개발 537
2) ESG 부합형 양극재 원료용 고순도 탄산리튬 제조 실증화 기술 개발 539
3) (총괄) 백금족(Pt, Pd, Ir) 금속 순환소재 활용 에너지 산업용 부품 제조기술 개발 541
4) (1세부) 팔라듐/백금 순환자원 활용 3N급 화합물 및 산소환원활성 0.14 A/mg급
연료전지용 촉매 제조 기술 개발 543
5) (2세부) 이리듐 순환자원 활용 3N급 화합물 및 전력 저감 5% 이상 치수안정성
전극 개발 545
6) (총괄) 사용후 스크랩 재활용 기반 신지금급 알루미늄 합금 소재화 기술 개발 547
7) (1세부) 저품위 사용후 알루미늄 스크랩 활용 신지금급 원소재 제조 및 주조기술 개발 549
8) (2세부) 사용후 스크랩 90% 사용 모빌리티, 그린빌딩 및 전기전자용 알루미늄
압출재 부품화 기술개발 551
9) (3세부) 알루미늄 LCA 기반 탄소배출 저감 효과분석 및 평가 기술 개발 553
10) (총괄) 폐 금형·공구강 재소재화 및 정밀금형 제조기술 개발 555
11) (1세부) 폐 금형·공구 활용 탄소함량 0.03% 이하 고합금강 강괴 개발 557
12) (2세부) 초정밀 패턴 금형 적층제조용 30-38 ㎛급 구형 분말 제조기술 개발 558
13) (3세부) 재소재화 주강 활용 50 HRC 이상급 고경도 정밀금형 제조기술 개발 559
14) (4세부) 정밀도 0.03mm급 고성능 타이어용 정밀 패턴 금형 제조기술 개발 560
15) (총괄) 재활용 팔라듐 합금 활용량 극대화 90㎛ 피치급 반도체 검사장비용
포고핀 개발 561
16) (1세부) 포고핀 플런저용 550Hv급 팔라듐 합금 와이어 소재 개발 563
17) (2세부) 직경 70㎛ 포고핀용 플런저·전주바디 제조 및 검증 기술 개발 565
18) (3세부) 플런저 제조공정 스크랩 직접 활용 3N급 팔라듐 합금 잉곳 개발 567
19) (총괄) ELV 규제 대응 폐 에어백 재활용 소재 및 이를 활용한 Car-to-Car 부품
제조 기술개발 569
20) (1세부) 폐 에어백 원단 실리콘 제거 90% 이상의 분리·회수 및 PA66, PET 재활용
원료·소재화 기술개발 571
21) (2세부) 자동차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폐 에어백 재활용 PA66 엔진커버 및 PET
에어백 부품개발 573
22) (총괄) 폐차 재활용율 향상을 위한 자원순환형 PET 단일소재 자동차 내장재 개발 575
23) (1세부) 리사이클 소재 비율 70% 이상, 자동차 내장재 재활용 비율 10% 이상 PET
단일소재 데쉬아이소패드 개발 577
24) (2세부) 리사이클 소재 비율 70% 이상, 자동차 내장재 재활용 비율 10% 이상 PET
단일소재 플로어 카펫 개발 579
25) (총괄) 신 ELV 규제 및 순환경제 대응 자동차용 고부가 재활용 소재 개발 및
재활용 소재 30% 이상 함유한 경량 부품 핵심기술 개발 581
26) (1세부) 폐차 유래 엔지니어링플라스틱(EP) 복합소재 리사이클을 통한 재활용 소재
함량 30% 이상 함유한 자동차 구동계용 부품 개발 583
27) (2세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재활용을 통한 기능성 경량 내외장 부품 개발 585
28) (3세부) 폐플라스틱 재활용 함량 인증용 소재 및 표준화 기술 개발 587
1-2. 폐이차전지 재활용, 재사용 기술 개발 589
1) (총괄)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블랙매스의 고효율 회수 및 공정부산물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재활용 전처리공정/장비 구축 589
2) (1세부)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고순도·고효율 블랙매스 회수를 위한 전처리공정 기술개발 591
3) (2세부) 블랙매스 고효율 회수 장비 개발 593
4) (3세부) 전처리 공정부산물로부터 유가금속(Cu, Al 등) 회수 공정 및 장비 구축 595
5) (총괄) 사용 후 배터리 재자원화율 향상을 위한 활용 기술 고도화 597
6) (1세부) 사용 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소재 친환경 제련공정 및 고순도 소재
제조 기술개발 599
7) (2세부) 사용 후 배터리의 음극소재 선별 및 고순도화를 통한 재자원화 기술 개발 601
8) (3세부)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공정의 전해액 분리·회수 및 원료화 기술 개발 603
9) (총괄) 폐실리콘 기반 고에너지밀도 복합 전극 제조 기술 개발 605
10) (1세부) 폐실리콘을 이용한 원료 저가화 기술 개발 607
11) (2세부) 재활용 실리콘 원료를 적용한 복합 소재화 기술 609
12) (3세부) Si 10wt% 이상의 고용량 실리콘-탄소 기반 기술 개발 611
13) 폐전지 직접 재생기술 기반 전기차용 단결정 양극 소재 613
2. 바이오화학·바이오매스 및 폐열이용 기술 분야 616
2-1. 바이오화학, 바이오매스 기술 개발 616
1) (총괄) 공급망 안정을 위한 바이오 다이올 핵심 소재 및 응용제품 기술 개발 616
2) (1세부) 초고속 미생물 개량기반 100% 바이오 다이올 핵심 원료 기술 개발 618
3) (2세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바이오 다이올 기반 고탄성 고분자소재 기술 개발 620
4) (3세부) 100% 바이오 다이올 기반 고탄성 스판텍스 섬유소재 및 제품화기술 개발 622
5) (총괄) 식물유 기반 바이오매스 고함량 생분해성 바이오정밀화학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624
6) (1세부) 식물유 기반 탄소수 12 이상 바이오정밀화학소재용 핵심 원료 및 바이오
고분자 소재 개발 626
7) (2세부) 바이오매스 함량 70% 이상 계면활성제 및 기능성 고분자 소재 기술 개발 628
8) (3세부) 100%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기반 생활밀착형 제품 및 파단강도 10kN/m 이상
고 레질리언스 주력산업용 제품 개발 630
9) 난분해 탄화수소 고부가화를 위한 고효율 효소-광촉매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632
10) 조건 생분해성 에스테르계 플라스틱의 고효율분해를 위한 차세대 생물자원 확보 및
탄소순환 원천기술 개발 635
11) (총괄) 탄소저감 바이오매스 기반 폴리아미드 510, 56 섬유소재 및 제품 개발 638
12) (1세부) 식물 유래 바이오매스 기반 폴리아미드 56, 510 중합 및 섬유소재 기술 개발 640
13) (2세부) 바이오매스 함량 80% 이상 의류용 폴리아미드 510 및 바이오매스 함량
40% 이상 폴리아미드 56 섬유제품 개발 642
14) (총괄) 바이오매스 유래 디시클로펜타디엔(DCPD) 생산 및 제품 적용 기술 개발 644
15) (1세부) 바이오매스 유효성분으로부터 전환율 35% 이상의 고효율 CPD 생산 기술
개발 646
16) (2세부) 바이오CPD를 활용한 DCPD 생산과 2종 이상의 DCPD 활용 산업용 소재
생산 기술 개발 648
17) (총괄) 탄소중립을 위한 고함량 바이오매스 자동차 외장 코팅 소재 개발 650
18) (1세부) 자동차 외장도료용 바이오 단량체 및 친환경 경화제 제조 기술 개발 652
19) (2세부)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자동차 외장도료 개발 654
2-2. 폐열이용 기술 개발 656
1) (총괄) 폐열/잉여 열원을 활용한 발전용 10MW급 중소형 증기터빈 기술 개발 656
2) (1세부) 10MW급 중소형 발전용 증기터빈 기술 개발 658
3) (2세부) 증기터빈 전력 변환용 감속기 기술 개발 660
4) (3세부) 증기터빈 발전 통합 운용 시스템 기술 개발 및 실증 662
5) 폐열회수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흡착/수분제어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개발 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