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88998366698
· 쪽수 : 707쪽
· 출판일 : 2024-11-19
책 소개
목차
Ⅰ.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1
1.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시장 동향과 전망 31
1-1. 디스플레이산업 최근 동향과 전망 31
1) 디스플레이의 정의와 산업의 범위 31
(1) 디스플레이 정의 31
(2) 디스플레이 범위 및 분류 34
(3) 디스플레이의 산업적 특성 35
2) 국내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기술 경쟁력 37
(1) 국내 디스플레이산업 현황 37
(2) 국내 OLED산업의 기술력 평가 39
(3) 한․중 디스플레이 산업 R&D 현황 53
(4) OLED 디스플레이산업 소부장 밸류체인 58
1-2.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요산업 최근 동향과 전망 61
1)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동향과 전망 61
(1)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동향 61
(2) 디스플레이 패널 용도별 시장 동향 61
(3) 디스플레이 패널 주요 기업 동향 63
(4)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입 동향 65
2) 스마트폰 시장 동향과 전망 67
(1)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동향 67
(2) 국내 스마트폰 수출입 동향 72
3) PC 및 모니터 시장 동향과 전망 74
(1) 컴퓨터(PC) 74
(2) 태블릿 PC 75
(3) 컴퓨터와 주변기기 수출입 동향 76
4) TV 시장 동향과 전망 79
(1) 글로벌 TV시장 동향과 전망 79
(2) 미니 LED TV와 OLED TV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81
1-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84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요 84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정의와 유형 84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조와 핵심 공정 88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소재 96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00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종류별 개요와 동향 100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과 전망 107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113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핵심 요구사항 113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기술 115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봉지막 기술 122
4)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소자 기술 128
(1) 스트레처블 소자 기술의 도래 128
(2) 스트레처블 전극 기술 129
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생산공정, 제조 및 장비 기술 동향 134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생산공정 기술 134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주요 제조 및 장비 기술 동향 137
2. 유망 디스플레이 수요산업 시장, 기술 동향과 전망 160
2-1.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과 시장 동향 160
1)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시장 동향과 전망 160
(1)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정의 및 구성 160
(2)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성장 요소 161
(3)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술 발전 방향 163
(4)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술개발과 연구 동향 167
2)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및 기술 동향 169
(1)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과 전망 169
(2) OLED 기반 차세대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175
3) 차량용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 동향 182
(1)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 개요 182
(2) 디지털 홀로그래피 활용 현황 183
2-2. XR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기술과 시장 동향 185
1) 가상융합 XR(VR, AR/MR) 기술과 시장 전망 185
(1) XR(VR, AR/MR) 기술 개요 185
(2) 세계 XR 관련 시장 전망 192
2) 가상융합 XR(VR/AR/MR) 기술 활용 분야와 적용사례 194
(1) 제조 & 건설 194
(2)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커뮤니케이션 194
(3) 교통, 물류 및 도매 195
(4) 공공부문, 서비스 195
(5) 전문 서비스 & 소매 196
(6) 금융 서비스 196
(7) 직업교육, 안전 서비스 197
3) 가상융합 XR 디바이스 종류와 구성 요소 198
(1) XR 디바이스 형태별 구분과 특징 198
(2) XR 디바이스 기술과 주요 구성요소 199
4) 가상융합 XR(VR/AR/MR)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개발 방향 202
(1) XR(VR/AR/MR)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기술과 요구사항 202
(2) 초실감형 디스플레이 필요성 203
(3) XR 디바이스 기기 출시 동향 203
(4) XR 디바이스 원가 구조와 생태계 204
5) XR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 동향과 전망 206
(1)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요 206
(2) XR에 사용되는 Micro 디스플레이 기술 209
(3) 기타 XR 디바이스용 광학 기술 215
(4)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과 지원 동향 218
Ⅱ.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221
1.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핵심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21
1-1. OLED 디스플레이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21
1) OLED 개요 221
(1) OLED의 정의 221
(2) OLED의 구분 223
(3) OLED 발광 프로세스 225
(4) OLED 발광원리 227
2) OLED 발광 소재와 시장 동향 231
(1) OLED 발광 소재 231
(2) OLED 소재 시장 전망 241
3) OLED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과 전망 244
(1) OLED 디스플레이 산업 밸류체인과 특징 244
(2) OLED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245
(3) OLED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현황 및 전망 249
1-2. 마이크로(Micro) LED 디스플레이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52
1) 마이크로 LED 개요 252
(1) 마이크로 LED 정의 252
(2) 마이크로 LED 특성 253
(3)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특징 256
2) 마이크로 LED 기술 및 특허 동향 257
(1) 마이크로 LED 제조 기술 257
(2) 마이크로 LED의 기술개발 방향 262
(3) 마이크로 LED 특허 동향 267
3) 마이크로 LED 시장 동향과 전망 268
(1) 마이크로 LED의 활용 268
(2) 마이크로 LED 시장 동향과 전망 277
(3) 확대되는 미니 LED 시장 동향 280
1-3. 기타 유망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84
1)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284
(1) 투명 디스플레이 개요 284
(2) 투명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287
(3)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 동향과 전망 288
2) 홀로그램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92
(1) 홀로그램 기술 개요 292
(2) 홀로그래픽 시장 동향과 전망 300
(3) 홀로그램 개발 동향과 활용사례 302
2.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동향과 개발 전략 309
2-1.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사업(24-07) 309
1) iLED(Inorganic LED display,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산업 309
(1) 사업 추진배경과 사업내용 309
(2) iLED 디스플레이 산업 개요 310
(3) iLED 디스플레이 주요국 정책 동향 314
2) iLE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동향과 전망 316
(1) 주요 용도별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동향 316
(2) 주요국 iLED 디스플레이 투자 동향 324
(3) iLED 특허기술 동향 327
3)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예비 타당성검토 과제별 소요예산(안) 334
2-2. 국내 미래 디스플레이 초격차 R&D 전략 338
1) 추진 배경 338
2) 디스플레이산업 국내‧외 동향 340
(1) 주요국 정책 및 기술 동향 340
(2) 국내 정부 및 산업계의 노력 341
(3) 국내 연구 역량 및 특허·IP 동향 343
3) 과제와 대응 방안 344
(1) 선제적 R&D를 통한 기술확보 및 산업주도 필요 344
(2) 기술 초격차를 기반으로 시장 선도자로서의 입지 확립 필요 345
(3) 민‧관 협력 기반의 지속가능한 기술·산업 생태계 마련 긴요 345
4) 비전·목표 및 추진전략 347
5) 디스플레이 R&D 추진전략 348
(1) 新기술 주도 신시장 개척 348
(2) 우위기술 기반 “초격차” 확대 352
(3) 개방적 혁신 생태계 조성 355
(4) 제도 및 인프라 지원 357
6) 향후 계획 359
(1) (R&D) 신시장 창출을 위한 미래 디스플레이 R&D 지원 359
(2) (기반 조성) 우수 연구인력 양성 및 인프라 구축 359
(3) (민관 협력)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 얼라이언스(K-NDRA) 출범 359
7) 추진 과제별 추진 일정 360
8) 디스플레이 미래 유망기술(안) 361
(1) 맞춤형 디스플레이 361
(2) 초현실 디스플레이 362
Ⅲ.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로드맵, 연구과제 367
1.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기술 로드맵 367
1-1. 디스플레이 미래소재 기술 로드맵 367
1) 디스플레이 미래소재 기술 개발의 필요성 367
(1) 디스플레이 소재의 역할 367
(2) 디스플레이 소재의 중요성 368
2) 디스플레이 시장 환경 변화와 분야별 주요 이슈 369
(1) 글로벌 시장환경의 변화 369
(2)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이슈 369
(3) 디스플레이 소재 이슈 370
(4) 디스플레이 공급망 이슈 370
1-2. 디스플레이 소재분야 기술 로드맵(2022-2035) 371
1) 디스플레이 분야 총괄 기술 로드맵(2022-2035) 371
2) 디스플레이 분야 8대 세부 기술 로드맵 372
(1)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용 RGB 패터너블 자발광 소재 372
(2) AR디스플레이용 저색수차 다중초점가변 메타렌즈 소재 375
(3) 초실감 디스플레이용 초고굴절 광학소재 378
(4) 신축 디스플레이용 스트레처블 Backplane 소재 381
(5) 신축 디스플레이용 Intrinsic 스트레처블 Frontplane 소재 384
(6) 사물일체형 투명 디스플레이용 고투명/고내열 glass-like 유연 기판 소재 387
(7)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용 적외선 감지/표시 융합 소재 390
(8) 친환경 디스플레이용 발광 및 공정 소재 393
2.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별 기술개발 연구과제 396
2-1. 첨단 전략산업 초격차(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396
1) (총괄) 6인치 이상 질화물계 RGB 에피웨이퍼 및 고효율 마이크로LED 칩 제조 기술 개발 396
2) (1세부) 표면결함 밀도 1ea/cm² 이하, 6인치 이상의 질화물계 RGB 에피웨이퍼 기술 개발 398
3) (2세부) 외부양자효율 50% 이상, 크기 800㎛² 이하의 플립구조의 마이크로LED 칩
기술 개발 400
4) (총괄) 100 PPI급 대형 디스플레이용 원 픽셀 마이크로LED 패키지 및 고정밀 접합
장비 기술 개발 402
5) (1세부) 100 PPI급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화소용 230×230㎛² 이하의 RGB 원
픽셀 패키지 기술 개발 404
6) (2세부) RGB 원 픽셀 마이크로LED 패키지를 접합 오차 ±3㎛ 이하로 접합하기 위한
장비 기술 개발 406
7) (총괄) 마이크로LED와 양자점 소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고색재현 QD-LED
디스플레이 소재·소자 및 공정개발 408
8) (1세부) 마이크로LED와 QD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Rec 2020 90%급 고색재현 QD-LED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410
9) (2세부) QD-LED 디스플레이의 균일도 향상을 위한 100 cp 급 비뉴턴 잉크의 50℃ 이상
고온 잉크젯 프린팅 기술 개발 412
10) 파장 균일도 ±2㎚ 이하, 6인치 이상 질화물 에피 고온 증착용 장비 기술 개발 414
11) 대면적 유리 기판에서 저온 박막증착용 무기발광 소재 및 장비 기술개발 416
12) 240Hz 이상 재생률과 단위 패널 기준 85mW 이하 저전력 영상구현이 가능한 구동
소자 및 백플레인 기술개발 418
13) 검사속도 1M/Hr 이상의 마이크로LED 접촉식 전기·광학적 검사 기술개발 420
14) 5ea/min 이상 속도로 리페어가 가능한 레이저 장비 기술개발 422
15) 6인치 이상 질화물계 나노 LED 제조를 위한 초고속 기판 분리 기술개발 424
16) 4K-UH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반 산업용 AR 글라스 광학 모듈 개발 및 실증 426
17) 고해상도, 고속구동 OLED 패널 제작을 위한 Cu 습식식각 에칭 소재와 공정개발 428
18) OLED 디스플레이에 센서 내재화를 위해 열증착이 가능한 유기 광센서용 고흡광
·고내열 유기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430
19) IT 디스플레이용 고효율 장수명 청색 OLED 구현을 위한 탠덤 구조의 소재 및
소자 개발 432
20) 자동차용 폴더블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과불화화합물(PFAS) 규제대응 친환경
및 고신뢰성 모듈 소재 기술 개발 434
2-2. 디스플레이 소재, 부품 기술 개발 436
1) (총괄) 단일 화소 색 가변이 가능한 200ppi 이상 해상도를 갖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필름 핵심 소재 기술 개발 436
2) (1세부) 4색 가변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나노입자와 단일 마이크로캡슐 소재 및 구동
평가 기술 개발 438
3) (2세부) 4색 가변 전자잉크 필름 제조를 위한 공정 및 응용 신제품 개발 440
4) (총괄) 우수한 면품위와 내충격성을 갖는 13인치급 중소형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윈도우 모듈 기술 개발 442
5) (1세부) 오렌지필 및 웨이비니스 개선을 통한 두께 균일도 10% 이하의 우수한 외관
품위를 갖는 접착 레진 소재 및 코팅 공정 기술 개발 444
6) (2세부) 디스플레이 패널 내충격성을 갖는 박막유리 두께 최적화 형상가공 기술 및
다단 화학강화 방법 개선 기술 개발 446
7) (3세부) 폴딩 주름 자국을 65% 이상 개선 가능한 다이렉트 코팅형 고탄성 UTG 보호
소재 및 셀단위 코팅 공정 기술 개발 448
8) (총괄) 자외선/청색 LED로 BT2020 95% 이상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나노형광체
기술 개발 450
9) (1세부) 자외선/청색 LED용 양자효율 80% 이상의 나노형광체 및 광감응 잉크 개발 452
10) (2세부) 나노형광체 발광파장의 선택적 투과가 가능한 반치폭 50nm 이하 컬러필터 개발 454
11) (총괄) 디스플레이 공정가스의 지구온난화지수(GWP) 및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 장비 개발 456
12) (1세부) 질량분해능 500 이상인 디스플레이 현장측정용 혼합 가스 화학종 다중·
정성·정량 질량분석 장비 개발 458
13) (2세부)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측정분해능 1cm-1 이하의 고분해능 적외선 흡수
분광법을 이용한 다종 화학종 실시간 농도 측정장비 개발 460
14) (3세부) 측정불확도 2.5% 이하 (Tier3수준) 식각, 증착, 세정공정용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를 위한 일체형 현장측정(GWP, 농도, 유량) 장비 개발 462
15) (총괄) 디스플레이 증착공정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촉매형 공정가스 배출처리 기술
개발 464
16) (1세부) 고수분·고분진 스크러버 운전환경에서 실시간 측정을 위한 센서모듈과 데이터
연동형 운영 시스템 개발 466
17) (2세부) 고GWP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N2O, NF3 동시처리형 촉매 소재와 담체를
활용한 저감 모듈 개발 468
18) (3세부) 디스플레이 공정 배출가스 2,000LPM급 오염물질 전처리 제거 모듈 및 고성능
NOx 흡수 후처리 모듈 개발 470
19) OLED 인광 감광형 형광 소재 기반의 CIE_y 0.15이하 색순도 특성을 갖는 고효율,
장수명 청색소재 및 소자 개발 472
20) 주간 고시인성, 야간 고대비비를 갖는 자동차용 가공온도 250℃ 이상의 고신뢰성
Q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474
21) OLED 패널용 청감과 촉감 동시 구현 가능한 무연압전 소재 및 액추에이터 모듈
기술 개발 476
2-3. 디스플레이 혁신 공정 기술 개발 478
1) 이분자간 여기자 상호작용 제어 기술을 적용한 EQE 20% 이상의 장수명 청색 감광형
유기발광소재 및 합성 제조공정기술 개발 478
2) 마이크로캐비티 OLED 소자의 초고휘도, 저소비전력 구현을 위한 외광 추출 및 시야각
조절 기술 480
3) 나노미터급 깊이 방향 분해능을 가진 OLED 소재 및 디스플레이 열화 원인 규명용
이미징 질량 분석시스템 개발 482
4) 4,000ppi 이상의 마이크로 OLED 패널 제조를 위한 포토리소그래피 및 증착 공정
최소화 기술 개발 484
5) 30도 이상 시야각이 확보된 자동차 윈도우 디스플레이용 근거리 공간 투사 모듈
기술 개발 486
6) 신시장 창출용 OLED 패널 제조 기술과 이를 위한 제조 공정 라이브러리 IP 구축 개발 488
7) AR 기기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시청영역 투과도 가변이 가능한 초경량 박형 필름
셀 기술 개발 490
8) OLED 소비전력 향상을 위한 화소별 원편광막 패턴 형성 기술 개발 492
9) 확장현실용 광변환효율 30% 이상의 친환경 색변환 양자점 소재 및 패터닝 공정 기술
개발 494
10) RGB O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용 정밀 건식 식각 패터닝이 가능한 유기 발광체
소재 및 공정 개발 496
2-4.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기술 개발 498
1) (총괄) 40W급 고출력 자외선 레이저 다이오드 방식 광원 모듈 개발 498
2) (1세부) 고출력 광원용 600mW급 405nm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기술 개발 500
3) (2세부) 60개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5μs급 펄스 동시 구동을 위한 모듈레이션
기술 개발 502
4) (3세부) 15,000시간 이상의 장수명 특성을 갖는 방열/냉각 시스템 및 40W급 광원
모듈화 기술 개발 504
5) (총괄) 1.5㎛ 패턴 해상도 구현을 위한 조명 및 투사 시스템 기술 개발 506
6) (1세부) 고출력 자외선 광원 빔의 전달효율 90% 이상을 위한 조명 광학계 및 빔
전달 광학모듈 기술 개발 508
7) (2세부) 공간분해능 300 LPM급 고해상도 투사광학계, 실시간 정밀 자동초점 보상
시스템 및 정밀 배율 조정 기술 개발 510
8) (총괄) 8세대 기판 중첩정밀도 0.5㎛ 이하 패턴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실시간 데이터
생성 및 전송 시스템 개발 512
9) (1세부) 고해상도 60 GB/scan 급 대용량 데이터 실시간 패턴생성 및 왜곡 오차 보상
시스템 개발 514
10) (2세부) 60 GB/scan 대용량 데이터를 손실 없는 전송을 위한 디지털 전송시스템 개발 516
11) (3세부) 펄스당 10nm급 트리거 발진 분해능을 갖는 100 채널 이상의 다채널 트리거
시스템 기술 개발 518
12) (총괄) 8세대 1.5㎛급 해상도 디지털 노광기 시스템 개발 520
13) (1세부) 8세대 기판용 반복 정밀도 0.2㎛급 고정밀 스테이지 개발 522
14) (2세부) 온도제어 ±0.01℃ 이내 고정밀 환경컨트롤 유닛, 측정시스템 연동 하드웨어
및 패턴 보정 자동화 기술 개발 524
15) (3세부) 1.5㎛급 고해상도 디지털 노광기를 위한 핵심 모듈 정밀 조립·제어기술 및
평가 기술 개발 526
16) (총괄)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8.x세대 대면적 불활성 저저항 전극 식각장비 개발 528
17) (1세부) 8.x세대 디스플레이 건식식각용 비주사형 안테나와 원격 방식의 하이브리드
고밀도 플라즈마원 기술 개발 530
18) (2세부) 8.x세대 디스플레이용 250℃ 가열 가능한 고온 식각용 하부척 기술 개발 532
19) (3세부) 8.x세대 디스플레이용 고온 하부척과 고밀도 플라즈마를 적용한 대면적
불활성 저저항 전극 식각장비 개발 534
20) 실시간 OLED 검사를 위한 1nm 급 분해능을 갖는 초고속 대면적 간섭광학 기반
박막 단차 측정 장비 개발 536
Ⅳ. 국내외 디스플레이산업 관련 업체 사업현황과 전략 541
1.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 541
1-1. 삼성전자(주) 541
1) 회사 일반현황 541
2) 주요 사업 현황 542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44
1-2. LG전자(주) 552
1) 회사 일반현황 552
2) 주요 사업 현황 552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55
1-3. 삼성디스플레이(주) 559
1) 회사 일반현황 559
2) 주요 사업 현황 559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61
1-4. LG디스플레이(주) 564
1) 회사 일반현황 564
2) 주요 사업 현황 564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66
1-5. BOE [중국] 573
1) 회사 일반현황 573
2) 주요 사업 현황 574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75
1-6. TLC CSOT [중국] 582
1) 회사 일반현황 582
2) 주요 사업 현황 583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84
1-7. INNOLUX [대만] 587
1) 회사 일반현황 587
2) 주요 사업 현황 587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89
1-8. AUO [대만] 593
1) 회사 일반현황 593
2) 주요 사업 현황 593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95
1-9. Seeya [중국] 598
1) 회사 일반현황 598
2) 주요 사업 현황 598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99
2. 디스플레이 소재 업체 602
2-1. Merck [독일] 602
1) 회사 일반현황 602
2) 주요 사업 현황 603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04
2-2. UDC(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미국] 607
1) 회사 일반현황 607
2) 주요 사업 현황 607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09
2-3. Idemitsu Kosan [일본] 613
1) 회사 일반현황 613
2) 주요 사업 현황 614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16
2-4. (주)LG화학 619
1) 회사 일반현황 619
2) 주요 사업 현황 619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22
2-5. (주)이녹스첨단소재 625
1) 회사 일반현황 625
2) 주요 사업 현황 625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27
2-6. 덕산네오룩스(주) 629
1) 회사 일반현황 629
2) 주요 사업 현황 629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32
2-7. 솔루스첨단소재(주) 634
1) 회사 일반현황 634
2) 주요 사업 현황 634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36
2-8. (주)피엔에이치테크 639
1) 회사 일반현황 639
2) 주요 사업 현황 639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41
2-9. (주)LX세미콘 643
1) 회사 일반현황 643
2) 주요 사업 현황 643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45
2-10. 솔브레인(주) 647
1) 회사 일반현황 647
2) 주요 사업 현황 647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49
2-11. 미래나노텍(주) 652
1) 회사 일반현황 652
2) 주요 사업 현황 652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56
3.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 658
3-1. (주)에스에프에이 658
1) 회사 일반현황 658
2) 주요 사업 현황 658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60
3-2. (주)탑엔지니어링 662
1) 회사 일반현황 662
2) 주요 사업 현황 662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64
3-3. (주)원익IPS 666
1) 회사 일반현황 666
2) 주요 사업 현황 667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69
3-4. AP시스템(주) 671
1) 회사 일반현황 671
2) 주요 사업 현황 671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74
3-5. 주성엔지니어링(주) 675
1) 회사 일반현황 675
2) 주요 사업 현황 675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77
3-6. (주)케이씨텍 679
1) 회사 일반현황 679
2) 주요 사업 현황 679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81
3-7. (주)이오테크닉스 683
1) 회사 일반현황 683
2) 주요 사업 현황 683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84
3-8. (주)DMS 686
1) 회사 일반현황 686
2) 주요 사업 현황 686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89
3-9. (주)필옵틱스 691
1) 회사 일반현황 691
2) 주요 사업 현황 691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93
3-10. (주)아바코 695
1) 회사 일반현황 695
2) 주요 사업 현황 695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99
3-11. (주)아이씨디 701
1) 회사 일반현황 701
2) 주요 사업 현황 701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703
3-12. (주)디바이스이엔지 705
1) 회사 일반현황 705
2) 주요 사업 현황 705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706
표 목차
Ⅰ.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1
<표1-1> 디스플레이의 기술 분야별 정의 32
<표1-2> 한·중 모바일용 OLED 기술격차 40
<표1-3> 아이폰 OLED 패널 변화 41
<표1-4> 아이폰용 OLED 패널 공급사 42
<표1-5> 한·중 TV용 OLED 기술격차 44
<표1-6> 주요 기업의 애플의 IT용 OLED 패널 기술 전망 46
<표1-7> 주요 장비별 사업자 현황 48
<표1-8> 디스플레이 장비 기업 순위(‘21년) 49
<표1-9> OLED 주요 소재 시장점유율(‘23년 상반기) 51
<표1-10> 한·중 주요 패널 기업의 재무 현황 53
<표1-11> 심사관 피인용 상위 20개 기업 54
<표1-12> 미국 심사관이 한국기업·기관의 특허를 근거로 BOE의 특허 거절 현황 55
<표1-13> OLED 구동 핵심기술 관련 출원인 국적별 특허출원 동향 55
<표1-14> OLED 구동 핵심기술 관련 특허출원 상위 3대 기업 56
<표1-15> 삼성디스플레이와 BOE의 특허분쟁 현황 57
<표1-16> 플렉시블 OLED 주요 공정별 소부장 기업 59
<표1-17>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 추이 66
<표1-18>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 상위 10대 국가 66
<표1-19> 삼성전자 주요 폴더블 폰 사양 비교 70
<표1-20> 휴대폰 수출 추이 73
<표1-21> 휴대폰 수출 상위 10대 국가 73
<표1-22>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 추이 77
<표1-23> 컴퓨터와 주변기기 수출 상위 10개국 78
<표1-24>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및 역할 86
<표1-25> PI와 FRP 비교 89
<표1-26> 주요기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91
<표1-27> 유기물 TFT 기반 플렉시블 OLED 연구 사례 93
<표1-28>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 가능한 소재별 특성 97
<표1-29>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별 특성 113
<표1-30> 플렉시블 기판 종류에 따른 특징 115
<표1-31> 플라스틱 기판의 종류 및 특성 135
<표1-32> 평면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봉지공정 비교 135
<표1-33> 삼성과 LG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 비교 136
<표1-34> 제품 관점에서의 레이저 리프트오프 기술 분류 148
<표1-35> 공급망 관점에서의 레이저 리프트오프 기술 분류 149
<표1-36> 제품 관점에서의 기술 분류 157
<표1-37> 공급망 관점에서의 기술 분류 158
<표1-38> 차량용 디스플레이 품목별 10인치 이상 품목 출하량 동향 172
<표1-39>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비교 176
<표1-40>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활용 산업 및 주요 기업 183
<표1-41> 5G의 특성과 VR/AR 187
<표1-42> 메타 커넥트 2023 개요 190
<표1-43> 메타·애플 XR 헤드셋 비교 191
<표1-44> XR의 제조 & 건설 활용 예시 194
<표1-45> XR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활용 예시 194
<표1-46> XR의 교통, 물류 및 도매 활용 예시 195
<표1-47> XR의 공공부문 활용 예시 195
<표1-48> XR의 전문적인 서비스 & 소매 활용 예시 196
<표1-49> XR의 금융서비스 활용 예시 196
<표1-50> XR의 자원분야 활용 예시 197
<표1-51> XR 장치들의 원가 비중 205
<표1-52> OLED Micro 디스플레이와 일반 디스플레이 비교 208
<표1-53> XR에 사용되는 Micro 디스플레이 기술 209
<표1-54> 국내외 주요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술개발 현황 218
Ⅱ.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221
<표2-1> OLED 및 LCD 디스플레이 비교 222
<표2-2> 색 표현방식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의 종류 223
<표2-3>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 및 전망 245
<표2-4> 국가별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246
<표2-5> 국적별 AMOLED 시장 점유율 247
<표2-6> OLED 품목별 시장 현황 및 전망 248
<표2-7> OLED TV 출하량 현황 및 전망 248
<표2-8> 국가별 OLED 생산Capa 현황 249
<표2-9> 주요 기업별 OLED Capacity 비중 전망 251
<표2-10> 주요 디스플레이 기술별 해상도 한계 255
<표2-11> Micro LED 주요 특징 및 기존 디스플레이와의 비교 256
<표2-12> 마이크로 LED의 활용 분야 268
<표2-13> 홀로그램 기술범위 293
<표2-14> 마이크로 LED 기술과 경쟁 디스플레이 기술 간 비교 311
<표2-15>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마이크로 LED칩 수 311
<표2-16> 국내/해외 주요공정, 화소/패널/소부장 관련 iLED 디스플레이 주요기업 313
<표2-17> 해외 XR 글래스 제품 기술 동향 317
<표2-18> 국내 XR 글래스 기술 현황 318
<표2-19> 삼성, LG의 미니/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제품 323
<표2-20> iLED 분야 유효특허 수 327
<표2-21>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기술의 중분류 기술별 기술순환
주기(TCT) 333
<표2-22>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예비타당성검토 과제별 소요예산(안) 334
<표2-23> 사용자 중심의 미래 디스플레이 (예시) > 342
<표2-24> 초실감 디스플레이 전략기술 기획(안) 349
<표2-25> 차세대 프리폼 디스플레이 전략기술 기획(안) 350
<표2-26> 소재로 바꾸는 디스플레이 미래(안) 353
<표2-27>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사업 기획(안) 354
Ⅲ.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로드맵, 연구과제 367
<표3-1> 디스플레이 분야 총괄 기술 로드맵(2022-2035) 371
<표3-2>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73
<표3-3>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74
<표3-4>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76
<표3-5>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77
<표3-6>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79
<표3-7>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80
<표3-8>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82
<표3-9>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83
<표3-10>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85
<표3-11>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86
<표3-12>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88
<표3-13>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89
<표3-14>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91
<표3-15>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92
<표3-16> 요구성능과 기술수준 394
<표3-17> 소재기술 문제점과 난제 기술 395
Ⅳ. 국내외 디스플레이산업 관련 업체 사업현황과 전략 541
<표4-1> 삼성전자㈜ 업체 프로필 541
<표4-2> LG전자㈜ 업체 프로필 552
<표4-3> 삼성디스플레이㈜ 업체 프로필 559
<표4-4> LG디스플레이㈜ 업체 프로필 564
<표4-5> BOE 프로필 573
<표4-6> BOE 제품 매출 현황 575
<표4-7> BOE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575
<표4-8> 중국 BOE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라인 현황(2024년 1월 기준) 577
<표4-9> BOE 8.6세대 AMOLED 생산라인 프로젝트 기본정보 578
<표4-10> CSOT 프로필 582
<표4-11> 중국 CSOT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라인 현황(2024년 1월 기준) 583
<표4-12> TCL 제품 매출 현황 584
<표4-13> TCL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584
<표4-14> INNOLUX 프로필 587
<표4-15> Innolux 제품 매출 현황 588
<표4-16> Innolux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588
<표4-17> 이노룩스의 주요 비즈니스 분야 589
<표4-18> 2023년 이노룩스 분기별 출하량 589
<표4-19> 이노룩스의 디스플레이 분야 주요 기술 현황 592
<표4-20> AUO 프로필 593
<표4-21> AUO 제품 매출 현황 594
<표4-22> AUO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594
<표4-23> AUO 주요 패널 제품별 매출현황 595
<표4-24> AUO, TFT-LCD 생산량 현황 596
<표4-25> AUO, TFT-LCD 판매량 현황 596
<표4-26> 2023년 상반기 글로벌 차량용 디스플레이 패널 TOP 5 기업 596
<표4-27> AUO의 R&D 계획 597
<표4-28> Seeya 프로필 598
<표4-29> Seeya의 OLEDoS 주요 제품 현황 600
<표4-30> Seeya의 주요 고객사와 마이크로 OLED 디스플레이 적용 제품 600
<표4-31> Merck 프로필 602
<표4-32> Merck 제품 매출 현황 604
<표4-33> Merck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604
<표4-34> UDC 프로필 607
<표4-35> UDC 제품 매출 현황 608
<표4-36> UDC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608
<표4-37> Idemitsu Kosan 프로필 613
<표4-38> Idemitsu Kosan 제품 매출 현황 616
<표4-39> Idemitsu Kosan 제품 지역별 매출 현황 616
<표4-40> (주)LG화학 업체 프로필 619
<표4-41> (주)이녹스첨단소재 업체 프로필 625
<표4-42> 덕산네오룩스(주) 업체 프로필 629
<표4-43> 솔루스첨단소재(주) 업체 프로필 634
<표4-44> (주)피엔에이치테크 업체 프로필 639
<표4-45> (주)LX세미콘 업체 프로필 643
<표4-46> 솔브레인(주) 업체 프로필 647
<표4-47> 미래나노텍(주) 업체 프로필 652
<표4-48> (주)에스에프에이 업체 프로필 658
<표4-49> (주)탑엔지니어링 업체 프로필 662
<표4-50> (주)원익IPS 업체 프로필 666
<표4-51> AP시스템(주) 업체 프로필 671
<표4-52> 주성엔지니어링(주) 업체 프로필 675
<표4-53> (주)케이씨텍 업체 프로필 679
<표4-54> (주)이오테크닉스 업체 프로필 683
<표4-55> (주)DMS 업체 프로필 686
<표4-56> (주)필옵틱스 업체 프로필 691
<표4-57> (주)아바코 업체 프로필 695
<표4-58> (주)아이씨디 업체 프로필 701
<표4-59> (주)디바이스이엔지 업체 프로필 705
그림 목차
Ⅰ.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1
<그림1-1>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구분 31
<그림1-2> LCD, OLED 디스플레이 구조 비교 32
<그림1-3> OLED / LCD 제조공정 비교 32
<그림1-4> 디스플레이 제조 프로세스와 밸류체인 33
<그림1-5>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주요 활용분야 34
<그림1-6> 디스플레이 변화 트랜드 35
<그림1-7> 국내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 37
<그림1-8> 국내 디스플레이 사업체 및 종사자 수 38
<그림1-9> 국가별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 추이 39
<그림1-10> 국가별 OLED 시장점유율 추이 39
<그림1-11> LG디스플레이의 WOLED 및 삼성디스플레이의 QD OLED 43
<그림1-12> Stack 구조 비교 46
<그림1-13> 애플의 IT용 OLED 패널 도입 로드맵 47
<그림1-14> 스마트폰 DDI 점유율 52
<그림1-15> OLED의 소재·부품·장비 밸류체인 60
<그림1-16> 글로벌 및 태블릿PC용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전망 62
<그림1-17> OLED 종류별 구조 비교 62
<그림1-18> 중소형 OLED 업체별 점유율 및 삼성디스플레이의 유기재료 세트별 주요 공급처 64
<그림1-19>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 추이 66
<그림1-20> 글로벌 전체 스마트폰 시장 전망 및 업체별 점유율 추이 68
<그림1-21> 지역별 스마트폰 시장 전망 68
<그림1-22> 휴대폰 수출 추이 73
<그림1-23> 글로벌 PC 시장 전망 및 AI PC 비중 75
<그림1-24> 글로벌 태블릿PC 시장 전망 및 OS별 증감률 76
<그림1-25>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 추이 78
<그림1-26> 글로벌 TV(OLED TV와 LCD TV) 시장 출하 전망 79
<그림1-27> 글로벌 TV 출하량과 점유율 현황(2024. 2분기 기준) 80
<그림1-28> 2024년 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TV 출하량 업체별 점유율 81
<그림1-29> 북미지역 초대형 프리미엄 TV 시장 비중 추이 82
<그림1-30> 프리미엄 TV용 디스플레이 출하량 전망 83
<그림1-31>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85
<그림1-32>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제품 86
<그림1-3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조 88
<그림1-34> 플라스틱 기판 구조 90
<그림1-3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90
<그림1-36> 플렉시블 OLED 제조공정 개략도 92
<그림1-37> 프린팅법으로 제작한 OTFT 기판 94
<그림1-38> 종류별 OLED 패널의 모듈 구조 비교 98
<그림1-39> 박막봉지층의 구조와 제조공정 99
<그림1-4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107
<그림1-41> 글로벌 OLED 패널 시장 규모와 성장률 전망(2021-2026) 110
<그림1-4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형태별 시장 전망 111
<그림1-4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적용분야 112
<그림1-44> 수분 및 산소 투과로 인한 흑점 113
<그림1-45> OLED 상용화를 위한 봉지막의 수분 방지 특성 요구치 114
<그림1-46> 기판 종류에 따른 TFT 특성 116
<그림1-47> 플렉시블 기판의 롤 공정의 개념도 117
<그림1-48> Mylar 필름의 온도에 따른 응력과 변형률 곡선 117
<그림1-49> TFT의 구조 118
<그림1-50> UV/Ozone을 활용한 Wavy structure 119
<그림1-51> PU에 PPy를 중합한 전도성 탄성체 121
<그림1-52>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 및 나노라미네이트 구조의 봉지막 122
<그림1-53> LBL 공정과 소수성 나노 패턴을 형성한 봉지막 표면 125
<그림1-54> 투습률 평가 방법 126
<그림1-55>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128
<그림1-56> 플렉시블 배터리 적용 이미지 128
<그림1-57> 그래핀 전극을 활용한 OLED 디스플레이 130
<그림1-58> 탄소나노튜브 TFT 어레이 132
<그림1-59> 그래핀, ITO 및 복합물질 물성테스트 결과 133
<그림1-6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생산공정 134
<그림1-61> TFE 형성 공정 136
<그림1-62> 롤투롤 시스템의 예시 137
<그림1-63> Laser lift-off 공정 147
<그림1-64> 주요 업체 공정 현황 150
<그림1-65> 고출력 자외선 레이저에 의한 OLED 소자 손상 151
<그림1-66>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구성 요소 161
<그림1-67>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전망 169
<그림1-68> 국가별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금액기준 점유율 동향 170
<그림1-69> 국가별 OLED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동향 170
<그림1-70> 글로벌 차량용 디스플레이 출하량 및 시장 규모 전망 171
<그림1-71> 글로벌 프리미엄 차량용 디스플레이 출하량 및 시장 규모 전망 173
<그림1-72> 렌즈 어레이 및 점광원 어레이 기반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구현 177
<그림1-73> waveguide 및 freeform 기반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구현 177
<그림1-74> 다중 영상면을 이용한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구성(1) 178
<그림1-75> 다중 영상면을 이용한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구성(2) 179
<그림1-76> 콘티넨탈 라이트필드 계기판 및 CID 예상 이미지 180
<그림1-77> 아날로그 홀로그램 원리 182
<그림1-78> 디지털 홀로그램 원리 183
<그림1-79> 가상물체를 보여주는 차량용 HUD 및 실시간 SLAM 기술 184
<그림1-80> VR/AR의 개념 185
<그림1-81> 혼합현실(MR)과 VR/AR과의 차이 186
<그림1-82> VR, AR, MR과 XR(확장현실) 187
<그림1-83> 가트너의 디스플레이(Display and Vision)기술 하이프사이클 188
<그림1-84> VR/AR/MR의 성숙단계 189
<그림1-85> 애플의 MR 헤드셋 ‘비전프로’ 191
<그림1-86> 가상현실(VA), 소비자용 모바일 증강현실(AR) 시장 전망 192
<그림1-87> 기술별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 시장 출하량 전망 193
<그림1-88> XR 요소기술과 산업 생태계 구조 201
<그림1-89> 완전 몰입형, 광학 시스루, 비디오 시스루 디스플레이 202
<그림1-90> XR 기기 출시 계획 204
<그림1-91> 메타버스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Headset 구조 206
<그림1-92> Micro 디스플레이의 구현 원리 207
<그림1-93> LCoS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구조 210
<그림1-94> LCoS(반사형) 및 OLEDoS 구조 211
<그림1-95> OLEDoS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주요 기술 및 보조화소 형성 방법 212
<그림1-96> Micro LED 디스플레이 제조법 및 LEDoS 구조 214
<그림1-97> VR·AR 시야각 추정 215
<그림1-98> 버드배스 및 EPE 구조 216
<그림1-99> 기존 버드배스 구조와 PINTILT 구조 217
<그림1-100> EPE 및 PinTILT 구조의 광효율 217
Ⅱ.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221
<그림2-1> OLED 디스플레이 구조 221
<그림2-2> 형광, 인광, 지연형광 발광 메커니즘 227
<그림2-3> OLED의 발광 원리 227
<그림2-4> 중소형 OLED의 단면 구조 229
<그림2-5> 중소형 OLED와 대형 OLED 구조 비교 230
<그림2-6> 녹색 발광 단분자 재료 231
<그림2-7> 녹색, 적색, 청색 형광 발광재료 233
<그림2-8> 황색 및 주황색 발광 재료 234
<그림2-9> 주요 인광 도판트 화학구조 및 최대 발광 파장 236
<그림2-10> 청색 인광 호스트 재료 240
<그림2-11> 글로벌 OLED 소재 시장 전망 241
<그림2-12> 연도별 전체 발광재료 수요량 242
<그림2-13> 연도별 전체 발광재료 시장 전망 243
<그림2-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산업 밸류체인 244
<그림2-15> OLED·LCD 55” TV 패널 단가 249
<그림2-16> 한·중 OLED 생산Capa 격차 249
<그림2-17>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요도 252
<그림2-18> LED와 마이크로 LED 효율 비교 254
<그림2-19> LED와 마이크로 LED의 구조 254
<그림2-20> LCD, OLED, Micro LED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비교 255
<그림2-21> 마이크로 LED 공정의 변화 257
<그림2-22> 사파이어 기반 마이크로 LED와 Transfer printing 마이크로 LED 258
<그림2-23> Si 기반 마이크로 LED와 single LED 259
<그림2-24> Luxvue사의 정전기 방식 이송헤드 261
<그림2-25> X-Celeprint사의 탄성고무 스탬프 전사방법 261
<그림2-26> 한국광기술원 마이크로 LED 광원 및 전사 결과 262
<그림2-27> 글로벌 마이크로 LED 기술개발 방향 263
<그림2-28> 화소밀도에 따른 디스플레이 응용제품 263
<그림2-29> 스탬프 및 롤투롤 전사 264
<그림2-30> 선택적 전사와 고밀도 직접전사 264
<그림2-31> 마이크로 LED 전사 과정 265
<그림2-32> RGB 화소 형성 방법 265
<그림2-33> Active Matrix 구동을 위한 화소 구조 265
<그림2-34> 화소 변환을 위한 소재 266
<그림2-35> 마이크로 LED 특허 등록인 국적별 동향 267
<그림2-36> CEA-Leti사의 마이크로 LED array 기술 269
<그림2-37> 스트레처블 마이크로 LED 패치 270
<그림2-38> 마이크로 LED가 집적화된 Needle과 쥐의 반응 실험 271
<그림2-39> 1,024 pixels 마이크로 LED 헤드램프 광원엔진 273
<그림2-40> LED-ID 응용 서비스 274
<그림2-41> OCC 자동차 응용 기술 275
<그림2-42> Li-Fi 응용 Mobile 연계 서비스 275
<그림2-43> 마이크로 LED와 LED의 동작속도 차이 275
<그림2-44> 큐트서킷의 드레스와 재킷 276
<그림2-45> 2022∼2027년의 마이크로 LED 칩의 시장규모 277
<그림2-46>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출하 전망 278
<그림2-47> 마이크로 LED 시장 내 TV 및 웨어러블 매출 규모 전망 279
<그림2-48> 중국 TCL의 미니 LED TV 구조 280
<그림2-49> 2022∼2028년 응용처별 미니 LED 패널 출하량 전망 281
<그림2-50> 응용처별 미니 LED 침투율 전망 282
<그림2-51> TV용 디스플레이 Mini LED, OLED 위협 283
<그림2-52> 투명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288
<그림2-53> LG디스플레이 투명 OLED로 만든 진열장 289
<그림2-54> 동우화인켐 투명 디스플레이, ‘G-TLD' 적용 사례 290
<그림2-55> APS 필름형 투명 LED 디스플레이 290
<그림2-56> EV첨단소재, 필름형 LED 투명 디스플레이 291
<그림2-57>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기존 3차원 디스플레이 비교 293
<그림2-58> 아날로그 방식 홀로그램의 원리 295
<그림2-59> 인테그랄 방식의 구성 297
<그림2-60> DMM VR THEATER 구조도 297
<그림2-61> 피라미드 홀로그램의 적용 사례 298
<그림2-62> 아이폰14를 활용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299
<그림2-63> 글로벌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300
<그림2-64> 글로벌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 301
<그림2-65> 홀로그램 서비스 분야와 사례 302
<그림2-66> 기존 3D 형광 현미경과 홀로그램의 비교 303
<그림2-67> Zebra Imaging의 ZScape 304
<그림2-68> Holoxica의 의료용 홀로그램 3D 이미지 305
<그림2-69> 보안을 위해 지폐와 라벨에 적용된 홀로그램 307
<그림2-70> 홀로그램을 이용한 예술 전시 307
<그림2-71> iLED 디스플레이 산업의 범위 313
<그림2-72> Mojo vision의 콘택트 렌즈형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318
<그림2-73> 다양한 스마트 링 제품들 320
<그림2-74> 주요시장 연도별 특허출원 및 등록현황 328
<그림2-75> 연도별 주요 출원국 내·외국인 특허출원 현황 330
<그림2-76> 특허기술 성장단계별 의미 330
<그림2-77> 주요 시장국별 기술시장 성장단계 332
<그림2-78> TV 및 휴대폰 변천사와 디스플레이 기술혁신 341
<그림2-79> 영화 속 미래 신개념 디스플레이 기술 및 개념확장 342
<그림2-80> 비전과 목표 347
<그림2-81> 차세대 프리폼 디스플레이(예시) 350
<그림2-82>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 얼라이언스(K-NDRA) 구성·운영(안) 355
<그림2-83> 나노인프라 통합 지원체계 358
<그림2-84> 휴대가 쉬운 큰 화면 361
<그림2-85> 모든 공간과 사물에 존재 361
<그림2-86> 내 몸 같은 디스플레이 362
<그림2-87> 초현실 공간구현 디스플레이 362
<그림2-88> 공감각 디스플레이 363
<그림2-89> 커뮤니케이션 융합 363
Ⅲ.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로드맵, 연구과제 367
<그림3-1> 디스플레이 소재 역할과 개발 요소 367
<그림3-2> 예상성과물 373
<그림3-3>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73
<그림3-4> 활용분야(예시) 374
<그림3-5> 예상 성과물 376
<그림3-6>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76
<그림3-7> 활용분야(예시) 377
<그림3-8> 예상 성과물 379
<그림3-9>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79
<그림3-10> 활용분야(예시) 380
<그림3-11> 예상 성과물 382
<그림3-12>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82
<그림3-13> 활용분야(예시) 383
<그림3-14> 예상 성과물 385
<그림3-15>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85
<그림3-16> 활용분야(예시) 386
<그림3-17> 예상 성과물 388
<그림3-18>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88
<그림3-19> 활용분야(예시) 389
<그림3-20> 예상 성과물 391
<그림3-21>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91
<그림3-22> 활용분야(예시) 392
<그림3-23> 예상 성과물 394
<그림3-24> 기술 난제와 기술 로드맵 394
<그림3-25> 활용분야(예시) 395
Ⅳ. 국내외 디스플레이산업 관련 업체 사업현황과 전략 541
<그림4-1> 삼성 컬러 이페이퍼(Color E-Paper) 545
<그림4-2>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종류 550
<그림4-3> 무선 투명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 558
<그림4-4> TV용 LCD 가격 변화 568
<그림4-5> 제18회 베이징 국제모토쇼, BOE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576
<그림4-6> 2022년∼2023년 주요 업체의 폴더블 패널 출하량 추이 579
<그림4-7> IFI CLAIMS Patent Services 발표, 2023년 미국 특허 승인 건수 580
<그림4-8> BOE, NFC In-cell 디스플레이 솔루션 개요 581
<그림4-9> TCL CSOT, Hybrid OLED 노트북 585
<그림4-10> 이노룩스 매출액 증감 추이(2018년∼2023년) 590
<그림4-11> 이노룩스 기술 레이아웃 591
<그림4-12> 일본 이데미츠그룹 글로벌 네트워크 615
<그림4-13> 2023∼2025년, OLED 증착 재료업체 매출 순위 623
<그림4-14> OLED의 기본 구조 및 발광 원리 624
<그림4-15> White PDL과 Black PDL의 비교 630
<그림4-16> OLED 소자구조와 재료 Layer 631
<그림4-17> 덕산네오룩스 연구개발비 비율 추이 632
<그림4-18> 리지드 OLED와 플렉시블 OLED 구성 650
<그림4-19> 원익IPS의 크리스터 시리즈(Cryster series) 600 (PI 경화장비) 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