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98555085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15-11-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I 산업구조 고찰 및 조직구조 개편방안
1.산업구조
1)역사적 고찰
2)현재의 산업구조
3)산업구조의 미래
2.미래조직 및 사업구조
1)SBU와 지상파 방송사 조직 현황
2)핵심역량 분석
3)미래형 조직구조
4)해외 콘텐츠&미디어 기업의 조직과 사업구조
5)미래 사업영역과 추구 비전
II 분야별 핵심 경영전략
1.슈퍼프로덕션
1)콘텐츠 제작
2)콘텐츠 유통
2.글로벌 MPP
3.콘텐츠 플랫폼과 비즈니스 네트워크
1)지역 지상파 방송국
2)비지상파 플랫폼 영역
III 전문창의경영과 지상파 방송 경영전략
1.전문창의경영
2.해외 사례
1)테드 터너
2)루퍼트 머독
3)제럴드 레빈
4)배리 딜러
5)종합
3.지상파 방송 경영에 적용 방안
1)콘텐츠 기반 창조 생태계
2)진정한 융합을 이끌 M&A
3)새로운 글로벌 드라이브
에필로그
참고문헌
책속에서
역사적 고찰
실제로 1970년대 중반이 되면 케이블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프리미엄 채널들이 등장하고 또 성공을 거두기 시작한다. 1975년 그때까지 별로 이름도 없었던 케이블 채널인 HBO가 알리(Muhammad Ali)와 프레이 저(Joe Frazier) 간의 마닐라에서 벌어진 세계 헤비급 타이틀 매치를 위성을 통해 생중계한 것이 그 서막을 알리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리고 1년 후에는 애틀랜타의 사업가 테드 터너(Ted Turner)가 자신이 소유한 UHF 지역 방송국 WTBS를 역시 위성을 통해 전국의 SO들에게 전송하게 되면서 진정한 의미의 케이블 전용 채널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SBU와 지상파 방송사 조직 현황
이처럼 지상파 방송 사업자의 사업구조는 산업의 수직적 구조에 대응 하는-KBS와 MBC의 경우 거의 100퍼센트 내부적으로 수행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앞서 지적한 여러 가지 한계점과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C-P-N-D라고 하는 스마트 미디어시대 ICT 산업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산업구조로의 전환이라는 부정하기 어려운 산업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면 지상파 방송사의 사업구조도 이에 적응하고 스스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콘텐츠 유통
현재 지상파 방송사의 콘텐츠 유통은 방송사 내부의 본부 조직에서 이루어지거나(MBC), 자회사에서 담당하거나(KBS미디어), 홀딩 컴퍼니 체제 하의 자회사, 즉 홀딩 컴퍼니의 자회사로 존재하는 지상파 방송사와는 동급의 법인(SBS콘텐츠허브)에서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