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98599171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6-04-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나는 이 세상 월급쟁이들이 절대 부동산 부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던 비관적인 사람”
Chapter 01. 집, 그 까짓 거 사야 하나?
01. 주택 가격 폭락, 희귀한 사례에 집착하지 말자
집값이 빠지는 경우는 드물다
걱정 말고 집에 투자하라
- 노령화와 저성장이 반드시 부동산 가격 폭락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한국의 부동산 비싸지 않다?
한국은 부동산이 덜 오른 국가 중 하나?
- 산이 높아야 골도 깊은 법
대출해드립니다?
- 집값에 이사 비용과 인테리어 비용까지 얹어서!
02. 인구 절벽은 곧 부동산 절벽?
부동산 가격이 꼭 인구를 따라가는 건 아니다
월세, 빠르게 치고 들어온다
전세는 앞으로도 ‘귀하신’ 몸이 된다
[내 집 마련 골든타임] 월세가 보편화된 일본의 사례
[내 집 마련 골든타임] 한국에만 있는 전세 제도 “어느 외국인 투자가와의 대화”
Chapter 02. 집, 사야 한다 그것도 싸게!
★강력 추천★
분석의 출발은 이해: 절대 놓쳐서는 안 될 부동산 특징 BEST 5
01. 전세 난민 사회, 내 집 마련 타이밍을 노려라
공급수요법칙만 지킨다면 더 이상의 실수는 없다
향후 2~3년 전세 탈출 전략은 ‘공급’이다
[내 집 마련 골든타임] 공급에 의해 결과가 극명하게 갈리다
- 대구 집값 VS 세종시 집값
[내 집 마련 골든타임] 데이터 활용을 통한 수도권 부동산 가격 예측
02. 내 집 마련 실전 가이드
집 싸게 사는 데이터 직접 찾아보기
집 싸게 사는 데이터 쉽게 찾아보기
LTV, DTI 쉽게 계산하기
[내 집 마련 골든타임] 평형별·지역별로 쪼개 본 부동산 공급 현황
부동산 가격 예측에 필요한 필수 Tip
주택 구입을 미뤄뒀던 월급쟁이들, 미분양 뉴스를 잡아라
[내 집 마련 골든타임] 2017년 이후 부동산 가격 과연 얼마나 빠질까?
Chapter 03. 2020 부동산 가격 장기 전망
01. 영국, 뉴질랜드, 대만에서 찾아본 한국 부동산의 장기 전망
2020년 그 이후의 부동산 이야기
주식보다 부동산이 핫한 나라
- 영국, 뉴질랜드, 대만: 마스터키는 외국 자본의 유입 여부가 쥐고 있다
한국의 부동산, 외국 자본의 유입으로 핫해질 수 있다?
[내 집 마련 골든타임] 중국인 애널리스트가 본 한국 부동산
★강력 추천★
친절한 BIS에서 글로벌 부동산 가격 찾아보기
02. 장기 부동산 전망 비관적이지 않다
충분히 가변적인 장기 전망, 외국 자본 유입에 초점을 맞추자
에필로그
“그래서 집을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집값 폭락보다 월세가 더 무섭다. 왜냐하면 월세로의 전환은 가처분 소득의 감소, 즉 매달 쓸 수 있는 돈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전세는 아깝지만 깔고 앉아 있는 돈이었으나, 월세는 다달이 주거비를 내야 하는 ‘비용’이기 때문인 것이다. 게다가 다른 나라의 사례를 보면 월세는 가뿐히 낼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다음의 데이터는 부동산 착공건수와 가격의 전년대비 증가율을 비교한 것이다.
한국은 2000년대 이후 세 번의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의 경기 둔화가 네 번째 어려움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그 세 번은 2004년 카드 버블 침체, 2009년 글로벌 경기침체, 2013년 유럽 재정위기 당시였고 경기침체의 영향은 곧 부동산으로 이어졌다. 당시의 부동산은 그야말로 냉탕이었다. 전체 경기가 침체까지 겪은 마당에 부동산을 당장 팔아야 하는 시기였을까? 결과는 정반대였다. 뒤돌아 다시 생각해 보니 그 시점들은 두 눈 질끈 감고 부동산을 사야 하는 때였다.
앞으로 우리는 내 집 마련을 위해 예측을 하고 타이밍을 노려야만 한다. 기가 막힌 타이밍, 어떻게 잡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2000년대 이후 한국 부동산에 사이클을 만들었던 것은 수요가 아닌 공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