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99415739
· 쪽수 : 394쪽
· 출판일 : 2025-07-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서로 돌보기’라는 삶의 양식
1. 의식해야 할 차별문제
2. 인간차별의 사상과 그 기원
3. 반(反)공생의 역사와 그 교훈
4. 돌봄사회의 전제: 행동하기와 변하기
5. 돌봄사회의 인간관과 사회관
제2장 돌봄과 케어: 사회 존속의 조건
1. 돌봄 및 케어의 용례와 구분
2. 케어의 개념 정의
3. 케어는 왜 권리인가?
4. 인간발달을 보장하는 케어: 몇 개의 사례
5. 돌봄 없이 사회 없다: 할머니가설의 시사
제3장 저평가된 돌봄노동, 그리고 반성의 목소리
1. 돌봄노동의 가치를 경시하게 한 세 가지 이분법적 사고
2. 공감의 재발견: 케어의 기초 그리고 사회질서의 근본
3. 여성 케어규범의 제도화
4. 길리건이 제기한 또 하나의 목소리
5. 여러 케어 논객들
6. 케어노동의 특성
제4장 케어경제론과 케어의 제도화
1. 케어를 사회경제 속에서 파악하기
2. 케어의 제도화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3. 케어는 어떻게 제도화되는가?: 영케어러를 소재로
4. 영케어러 지원제도는 왜 영국과 다른 제도가 되었나?
5. 가족과 국가: 적절한 케어분담
제5장 케어전문직의 본질과 역할
1. 전문직의 본질
2. 의사와 변호사는 어떻게 전문직으로 발전했나?
3. 케어전문직의 동기: 희생 없는 헌신
4. 전문직이 일하는 조직의 특성
5. 대변자, 문제발견자로서의 전문직
6. 요양보호사가 전문직으로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제6장 케어전문직의 윤리: 의료전문직의 경우
1. 의료윤리의 발전과 의사 퍼시벌
2. 의료전문직의 윤리적 책임 논의와 사회적 태도
3. 한국의 역사문화적 풍토와 의료윤리
4. 의료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기억과 전문직 단체
5. 허준은 태도다
제7장 케어사회의 인간상과 사회상
1. 상호적 인간을 배양하는 사회환경
2. 위기의 유대인을 구조한 사람들
3. 자살률이 낮은 지역 주민의 생활양식: 느슨한 돌봄
4. 미타라이 주민의 공생적 생활양식
5. 이아고를 몰아내면 케어사회가 실현될 것인가?
제8장 고령자 이해와 인지장애 및 임종케어
1. 노인을 보는 눈
2. 임종과 관련된 문제와 케어
3. 인생의 마지막 성숙을 지원하는 케어
4. 인지장애의 이해와 수녀연구
5. 새로운 관점에 선 치매 케어
결언: 돌봄 능력 그리고 돌봄 받는 능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