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99725548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2-01-20
목차
서문
제1부 사회교육학의 개념적 기초
제1장 사회교육의 개념
1. 사회교육 개념의 성립 배경
2. 사회교육 개념의 국제적 동향
3. 사회교육 개념의 구성요소와 유관 개념
4. 사회교육의 유형
제2장 한국 사회교육 개념의 재고찰
1. 한국 사회교육의 개념사
2. 한국 사회교육 실천의 역사와 개념적 성격
3. 한국에서 사회교육과 평생교육의 관계
4. 한국의 민중교육과 사회교육의 관계
제3장 사회문제와 사회교육
1. 사회문제의 개념과 사회교육과의 관계
2. 사회문제에 대한 접근방식과 사회교육과의 관계
3. 사회문제의 종류와 내용
4.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교육의 접근방식과 실천과제
제2부 사회교육학의 토대와 성격
제4장 사회교육학의 형성과정과 동향
1. 사회교육학 발전의 배경과 선구자
2. 성인교육학 분야에서의 사회교육 지향적 연구
3. 현대적 사회교육학의 전개과정
4. 현대 사회교육학의 동향과 교육학적 지향점
제5장 사회교육학의 이론적 기초
1. 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책무에 관한 이론적 기초
2. 교육을 통한 사회변화의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기초
3. 수기치인의 사회교육적 근거와 의의
4. 사회학습을 통한 집단의 변화에 관한 이론적 기초
제6장 사회교육학의 성격과 구성
1. 사회교육학의 개념과 성격
2. 사회교육학의 정립과 관련된 대립적 접근방식
3. 사회교육학의 탐구 주제와 학문적 구성체계
4. 사회교육학 연구의 발전과제
제3부 사회교육학의 원론적 탐구
제7장 사회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의 통합
1. 사회변화와 교육의 관계
2. 사회교육에서 교육적 가치의 의미와 구현원리
3. 사회교육과 정치의 관계
4. 개인성장과 사회변화의 조화
제8장 사회학습과 교육적 개입의 조화
1. 사회학습의 개념과 의의
2. 사회학습의 사회교육적 의의와 한계
3. 사회교육에서 학습자 주도성의 조건과 교육적 개입의 원리
4. 사회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개입의 원리
제9장 의식화와 조직화의 조화
1. 사회교육에서 의식화와 조직화의 의의와 쟁점
2. 사회교육에서 의식화 - 조직화 관계의 유형과 지향성
3. 의식화와 조직화를 위한 소집단의 활용
4. 의식화와 조직화를 위한 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용
제4부 사회교육학의 실천적 탐구
제10장 사회교육 내용과 방법의 구성
1. 사회교육 교육과정의 구성
2. 사회교육방법의 개념과 성격
3. 공감 형성과 사회교육 실천
4. 비판적 의사소통과 사회교육 실천
제11장 사회교육자의 역할과 요건
1. 사회교육자의 개념과 역할
2. 사회교육자의 기본 요건
3. 한국의 선비사상에 나타난 사회교육자의 역할과 요건
4. 주요 사회교육 전문직종의 현황과 발전과제
제12장 사회교육 유형별 현황과 학문적 과제
1. 기초교육의 현황과 학문적 과제
2. 경제적 자활교육의 현황과 학문적 과제
3. 시민교육의 현황과 학문적 과제
4. 사회개발교육의 현황과 학문적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