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9972908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3-05-2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론
제1장 대중교육사회, 무엇이 문제인가
장래에 대한 전망
학교가 미래를 결정한다
대중교육 성립의 기반
업적주의의 대중화
‘학력엘리트’와 대중사회
제기해야 할 문제
제2장 사라진 계층문제
빈곤과의 투쟁
빈곤과 교육문제
빈곤문제와 학업성적
빈곤과 계층문제
영미 사회계층과 교육문제
서구 계층문제의 배경
계층문화의 각인
학교 안의 계층문화
빈곤과 함께 사라진 일본 교육의 계층문제
제3장 ‘계층과 교육’ 문제의 저류
의심스러운 중교심 답신의 근거
사립교의 과점 상태는 특권계층 창출에 기여하는가
도쿄대 이외 고등교육기회의 불균등
교육에서 불평등 문제-학업성적 계층차의 전후사
학업성적의 계층차
‘평등한’ 교육 시스템의 탄생
고교 진학기회의 계층차
고교 유형별 진학기회
교육기회의 배분구조
숨겨진 문제로서의 ‘계층과 교육’
제4장 대중교육사회와 학력주의
학력사회론과 차별선별교육론
‘사회적 출생’의 비밀
재탄생이 가능한 사회·재탄생이 불가능한 사회
‘학벌과 실력’론
미국의 ‘학력사회론’
학력사회와 대중교육사회
교육을 기축으로 한 새로운 계층질서의 형성
입시엘리트로서의 학력엘리트
숨겨진 불평등-학력취득 이전과 이후의 차별
제5장 ‘능력주의적 차별교육’의 역설
‘차별선별교육’에서의 ‘차별’
전국교육연구집회와 학생의 차별감
빈곤이라는 리얼리티
능력관의 변화와 능력주의적 차별교육
개성중시와 학력의 개인차
능력=평등론의 배경
능력주의적-차별교육관과 대중교육사회
결론: 대중교육사회의 동요
전후 일본사회의 형성과 교육
불평등의 재생산-효과적인 정당화 메커니즘
대중교육사회의 동요-교육개혁의 방향성과 그 사회적 의미
대중교육사회에서 새로운 계층사회로
편차치교육 이후의 향방
교육 불평등을 둘러싼 삼중고
교육으로 무엇을 할 수 없는가를 고찰한다
저자 후기
역자 후기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