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리셀롯 그룬바움, 카렌 비베케 모텐슨 (지은이), 허재홍 (옮긴이)
학지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9731891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아동 및 청소년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정신역동 치료의 기초와 원리를 담고 있으며 이론과 실제 두 분야를 모두 담고 있다. 이론 면에서는 정신역동 접근의 역사적 발전과 주요 이론을 검토하고 있고 실제에서는 정신역동 이론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치료 사례를 수록하였다.

목차

• 역자 서문 _ 3
• 추천의 글 _ 7
• 서문 _ 11

제 1부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의 기초

제 1장 발달과 정신병리의 정신역동 이론
안나 프로이트 _ 28
멜라니 클라인 _ 30
안나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 간 토론 _ 34
다른 대상관계 이론가들 _ 35
애착 이론 _ 36
다른 공헌자들 _ 39
대니얼 스턴 _ 40
신경심리학 _ 40
청소년기 이론 _ 41
정신병리의 이해 _ 44

제 2장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란 무엇인가
정의 _ 50
치료적 태도와 개입 _ 52
투사적 동일시와 담아내기 _ 57
상징 형성과 관계적 사고 _ 63
목표 설정 _ 65
다양한 전통 _ 68

제 3장 의뢰와 평가
아동 및 청소년 평가의 특징 _ 74
아동의 병력 _ 78
아동·청소년 개인 심리치료를 할 경우 _ 86

제 2부 치료 환경과 치료 관계

제 4장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에서 치료 환경
치료실 _ 97
놀이 도구 _ 99
동의 _ 101
시간 _ 103
경계 위반 _ 105
광의의 치료 환경 _ 108

제 5장 치료 관계
전이 관계: 주관적인, 양방향 관계 _ 112
아동의 초기 태도 _ 118
전이 관계에서 특정 위기 _ 124
두 사람 사이의 현실 관계 _ 128
치료 동맹: 가능한가? 필수인가? _ 131
치료실 내부에서 관찰하기 _ 134

제 6장 그림과 상징놀이의 이해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에서 그림 _ 141
놀이와 상징적 표현 _ 147
미성숙 그리고 불안정한 사고 _ 150
언어로서 그림과 상징놀이 _ 157

제 7장 부모 상담
부모 상담의 복합성 _ 163
몇 가지 전반적인 논평 _ 165
두 가지 다른 모형 _ 168
부모와 하는 작업을 위한 목표 _ 171
방법 _ 176
다른 기관과 협력 _ 178

제 8장 청소년 심리치료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 과업 _ 182
의뢰 _ 188
청소년 심리치료의 일반적인 특징 _ 190
특징적인 역전이 경험 _ 196
부모 또는 청소년과 가까운 다른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_ 198

제 3부 대상관계 관점에서 본 시간 경험

제 9장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의 시작과 종결
초기 _ 205
치료 시작 전 부모와 아동을 준비시키기 _ 207
아동과의 첫 번째 치료 시간 _ 209
종결: 부재의 경험으로 형성된 과정 _ 213
언제 치료를 종결할지 어떻게 알 수 있나 _ 216
종결의 틀 _ 223
예상치 못한 종결 _ 225
치료 종결에서 확인할 사항 _ 227

제 10장 일시 중단: 중요한 관계 주제를 엿보는 창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관계 주제 _ 230
일시 중단: 중요한 대상관계에 대한 창 _ 233
일시 중단 전과 후: 차이가 있는가 _ 239
일시 중단의 시련을 견디는 것: 변화를 위한 전제 조건 _ 244
결론과 요약 _ 247

제 4부 학대 및 복합 외상을 겪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

제 11장 초기 방임과 학대를 겪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
되돌아보기: 역사적 맥락 _ 252
심리치료 효과와 전제 조건 _ 256
심리치료 과정과 관계 _ 260
공격 행동을 담아내고 이해하기 _ 264
심리치료 전략: 초기 방임과 학대 극복하기 _ 270

제 12장 복합 외상을 겪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
외상화란 무엇인가 _ 276
복합 외상화에 대한 발달적 적응: 정신역동적 관점 _ 281
심리치료적 통찰과 과제 _ 285
심리치료의 초기: 생존과 회피 _ 287
반복 강박과 상징 형성의 억제 _ 291
파편화된 복합 외상 기억을 극복하는 것 _ 294
복합 외상화 치료 전략: 요약 _ 297

제 5부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에 관한 연구

제 13장 정신역동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의 연구 현황
아동·청소년 관련 연구에 나타나는 특별한 어려움 _ 301
실무와 과학 간 관계 _ 303
역사적 발전 _ 307
성과 연구 결과 _ 310
과정 연구 _ 314
결론 _ 317

• 참고문헌 _ 319
• 찾아보기 _ 341

저자소개

카렌 비베케 모텐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인 심리학자이자 집단 분석가이며, 전문 치료자이자 심리치료와 아동 심리학의 지도감독자이다. 비베케는 올보르 대학교의 아동 임상심리학 명예 교수이고, 코펜하겐에서 개인 상담소를 하고 있다. 비베케는 정신분석적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자를 위한 덴마크 훈련 프로그램에서 교육하고 지도감독하는 것을 비롯하여 교육과 지도감독 경험이 풍부하다. 비베케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 분석, 정신병리학, 평가, 연구,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그리고 지도감독을 비롯하여 다양한 임상 및 이론적 주제에 관한 책과 논문을 저술하였다. 비베케의 박사 논문인 「아동의 인물화 형태와 내용(Form and Content in Children’s Human Figure Drawings)」 은 NYU 출판사에서 1991년에 출판되었다. 그룬바움과 함께, 비베케는 EFFP 책 시리즈에서 『놀이와 힘(Play and Power)』을 편집하였다.
펼치기
리셀롯 그룬바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인 심리학자 이자 전문 치료자로서 아동 임상심리 및 심리치료 지도감독자이다. 그룬바움의 박사 학위 논문은 「핵심 대상관계 주제로 향하는 창으로서 단절(Breaks as a Window to Core Object Relationship Themes)」(2014)이었는데, 이는 이스트런던의 대학교와 타 비스탁 및 포트만 NHS 재단 신탁에서 수행되었다. 그룬바움은 타비스탁 심리치료자 협회(TSP)의 회원이다. 그룬바움은 다양한 공공 기관에서 아동, 청소년, 그리고 이들의 가족들과 한 폭넓은 상담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코펜하겐에서 개인 상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보르 대학교의 비전임 부교수이자, 아동 및 청소년 정신분석 치료자를 위한 덴마크의 훈련 프로그램의 교사와 지도감독자를 맡고 있다. 그룬바움는 또한 유럽 정신분석심리치료연맹의 아동 및 청소년부 공동 책임자를 역임하였다. 그룬바움은 초기 방임과 복합 외상의 후유증으로 고통을 받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와 임상 아동 심리학을 주제로 여러 논문을 영어로 게재하였다. 카렌 비베케 모텐슨과 함께, EFFP 책 시리즈에 있는 『놀이와 힘(Play and Power)』(2010)을 공저하였다.
펼치기
허재홍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상담심리사 1급 247호 [공저] 사례로 배우는 심리상담의 실제 [역서] 초보상담자를 위한 정신역동 상담 정서조절을 이용한 아동·청소년 상담 초보 상담자를 위한 사례중심 관계정신분석 상담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