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초등교육학
· ISBN : 978899973241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5-03-03
목차
머리말
제1부 교육과정 통합
제1장 왜 교육과정 통합인가
1 통합의 의미
2 분과의 한계와 통합의 역할
제2장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일곱 가지 질문과 답
Q1 통합적 접근과 분과적 접근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Q2 통합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통합은 어떻게 다른가?
Q3 왜 주제인가? 주제를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가?
Q4 교육과정을 통합해도 성취기준을 이수할 수 있는가?
Q5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Q6 교사, 학생, 교장, 학부모의 역할이 바뀌는가?
Q7 앞으로 교육과정 통합은 어떻게 될까?
제3장 교육과정 통합 이론들
1 Ingram의 평생교육과 교육과정 통합
2 Drake의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방법
3 Fogarty의 교육과정 통합의 유형
4 Jacobs의 간학문적 통합의 유형
5 Vars의 중핵 교육과정
6 Beane의 민주주의와 교육과정 통합
7 Erickson의 개념 기반 교육과정 통합
제4장 다학문적 접근
1 개요
2 다학문적 통합교육과정 사례(1, 2학년): 우리 마을 시장에 가면
3 다학문적 통합교육과정 사례(3~6학년): 동산에 다 있소!
제5장 간학문적 접근
1 개요
2 간학문적 통합교육과정 개발 사례(1, 2학년): 마을에서 함께 살아가기
3 간학문적 통합교육과정 사례(3~6학년): 학교 주변 안전 문제 해소를 위한 사회참여 프로젝트
제6장 탈학문적 접근
1 개요
2 탈학문적 통합교육과정 사례(1, 2학년): 마을 탐험
3 탈학문적 통합교육과정 사례(3~6학년): 참새의 죽음을 밝혀라!
제2부 초등통합교과
제7장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적 성격
1 전체성
2 창조성
3 개방성
제8장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천
1 미군정 및 교수요목기~제3차 교육과정기: 분과에서 통합으로 나아가기
2 제4차 교육과정기: 초등통합교과 교과서 생성하기(1981~1987)
3 제5~6차 교육과정기: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생성과 조정
4 제7차~2007 개정 교육과정기: 주제로 세 초등통합교과의 연결
5 2009~2015 개정 교육과정기: 주제별 교과서로 세 초등통합교과 다루기
6 2022 개정 교육과정기: 지향점으로 세 초등통합교과 연결하기
제9장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1 개정 배경
2 개정 방향
3 특징
4 개정의 의미
제10장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과용 도서
1 개발 방향: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 가는 수업
2 교과서와 지도서의 특징
3 개발의 실제
제11장 초등통합교과 교과서 활용하기
1 단원 학습 주제 개발하기: 우리 반 주제 만들기
2 단원 학습 구상하기: 단원의 흐름 만들기
3 차시 수업 만들기: 차시 활동 만들기
제12장 초등통합교과 교과서 개발하기
1 교과서 전달자, 사용자, 개발자로서 교사
2 교과서 개발 매뉴얼
3 교과서를 개발한 교사의 이야기 읽기
제13장 나의 통합교육과정 이야기
1 내가 경험한 수업과 통합교육과정 이야기
2 나의 지난 이야기
3 내가 그리는 이야기
부록 1 교육과정 통합 관련 참고 도서 목록
부록 2 ‘동산에 다 있소!’ 다학문적 교육과정 통합 사례
부록 3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성취기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