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트코인 100만달러시대 글로벌 경제질서와 금융 패러다임의 대전환

비트코인 100만달러시대 글로벌 경제질서와 금융 패러다임의 대전환

진하수 (지은이)
부크크(bookk)
23,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800원 -0% 0원
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비트코인 100만달러시대 글로벌 경제질서와 금융 패러다임의 대전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트코인 100만달러시대 글로벌 경제질서와 금융 패러다임의 대전환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12000460
· 쪽수 : 253쪽
· 출판일 : 2025-06-02

목차

I. 서문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비트코인 디지털 금 2
3) 금융·제도·국제거래 시스템 전반의 근본적 변화 3
2. 연구의 목적 5
1) 글로벌 통화질서의 전이 동학 분석 5
2) 법정통화의 통화기능 일부 대체 6
3) 통화신뢰 약화를 통한 정책효과 전이 경로의 왜곡 6
4) 외환보유 수단의 다변화 → 준비통화 구조의 이완 7
5) 결제·송금 시스템 이탈을 통한 국경 간 통화권력 약화 7
6) 통화권 기반에서 디지털 신뢰권 기반으로의 이행 8

II.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시스템의 재구조화 9
1. 금융 중개 및 리스크 관리 체계의 재정렬 분석 9
1) 커스터디의 제도화와 수탁 주체의 재편 10
2) 담보화와 디지털 자산 기반 유동화 구조 10
3) 파생상품화와 시스템 리스크 전이 경로 11
4) G-SIFIs의 포트폴리오 내 암호자산 통합 현황 12
5) 금융시스템 내 동조화 리스크의 심화 14
6) 거시건전성 규제 및 글로벌 감독체계 필요 16
2. 가치저장·교환·증식 기능의 분화에 따른 자산 선호구조 변화 17
3. 규제 거버넌스와 정책 패러다임의 재구성 가능성 제안 18
4. 한국 경제에 특화된 구조적 충격과 대응 전략 제시 21
1) 가격-유동성 악순환 구조 23
2) 슬리피지 증가 25
3) 기능 기반 자산분할 26
4) 정책공백과 관할권 충돌 28

III. 시나리오 기반 예측 31
1. 시나리오 기반 예측의 개념 31
1) 시나리오 기반 접근의 배경과 개념 31
2) 시나리오 기반 접근의 내재적 한계 33
2. 시나리오 접근의 의의 33
1) 다층적 상호작용의 탐색 34
2) 불확실성의 정량화 대신 구조적 전개 가능성에 주목 34
3) 정책 민감도 분석 35
4) 시나리오 접근의 한계 35
3. 본 연구에서의 활용 방식과 개념정리 37
1) 비선형적인 급변 39
2) 경로의존성 39
3)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40
4) 탈중앙화 거래소(DEX), 41
5) 탈중앙 자율조직(DAO) 42

IV. 디지털 자산 시대의 사회경제적 구조 전환 44
1. 사회경제적 분화와 재편성 구조 44
1) 자산 구성 변화에 따른 세대 간 재분배 구조 분석 45
(1) 2030세대 46
(2) 5060세대 이상 47
(3) 주거안정성·노후소득안정과 연결 48
2) 디지털 자산 기반 자산계층 분화 메커니즘 분석 48
(1) 시간 기반의 부 분화 49
(2) 비트코인 내부에서도 계층 구조 50
(3) 자산 간 관통형 확장전략 51
3) 비제도권 참여자의 금융 포용성과 사회안전망의 재정의 52
(1) 기능적 금융포용 사례 53
(2) 자기 주권적 금융 구조 54
(3)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 포용 한계 56
(4)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안전정책 원칙 57
2. 새로운 사회경제적 지형도 58
1) 자산 축적 경로의 이중화: 전통자산 vs 디지털 자산 58
(1) 신자산계층과 정보취약계층 간 격차의 심화 58
(2) 세대 간 자산 경로와 기대수익률의 분기 58
(3) 자산-기술-정보의 삼중 결합이 계층 지위를 결정 59
(4) 제도권 밖 경제참여자의 금융적 경계성과 공공정책의 재정렬 60
2) 구조적 변화와 통화 이론 60
(1) 통화이론과 구조적 대응 61
3. 주요 경제권의 통화 전략 및 구조 대응 비교 분석 62
1) 마국 62
2) 중국 63
3) EU 63
4) 규제 사다리 관점 64
4. 인플레이션 기제 내에서 비트코인의 위험 및 효용 구조 평가 65
1) 비트코인의 인플레 반응 구조 65
2) 자산선택이론 관점 67
3) 하이퍼인플레이션 국가 사례과 비트코인 동향 68
4) 선진국의 온건한 물가 불안과 비트코인 동향 69
5. 비트코인의 통화적 수요와 투기적 수요에 정량적 접근 70
1) 수량이론 MV = PY에 따른 정량적 접근 70
2) 비트코인의 통화적 기능에 대한 평가 71
3) 인플레이션 헷지 자산 72
4) 보편적 헷지 자산과 역할 73
5) 비트코인 100만 달러는 헷지 효과의 ‘조건부 실현 78
6. 디지털 자산 확산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재배치 분석 81
1) 디지털 자산의 배분 구조 재편 81
2) 자산 선호 이동성 모델 82
3) 100만 달러: 구조적 자산 지형 재편의 시그널 83
4) 부동산-디지털 자산 간 투자 대체재 혹은 보완재 84
5) 부동산 거래 구조와 소유 방식에 구조적 영향 85
7. 디지털 자산의 확산: 자본 축적 경로와 투자 구조 변화 86
1) 위험 전이 경로 차원 87
2) 정량적 자산 흐름 모델과 제도적 맥락 분석 88
3) 디지털-실물 자산 간 복합 상호작용 체계의 부동산 정책 및 시장 예측 91
8. 한국 경제의 구조적 경로와 정책 대응 역량 평가 93
1) 통화정책의 유효성 저하 94
2) 자산시장 내 투자자 이동 95
3) 제도 및 규제 환경의 공백과 기회 96
4) 산업 전략과 기술 정책 간 연계 미비 97
5) 산업구조 재편과 기술기반 금융시장 경쟁력:통합 전략적 접근 99

V. 디지털 통화질서 전환의 핵심 개념 101
1. 디지털 자산의 화폐적 기능과 통화정책의 재구성 101
1) 자국 통화 대신 비트코인을 실질적 가치 기준 단위로 사용 102
2) 인플레이션 저항 자산 103
3) 법정통화 수요의 비탄력화, 통화정책의 유효성이 약화. 105
4) 전통적 통화정책의 승수

저자소개

진하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디지털경제연구원 대표원장, 다빈치논문컨설팅 대표박사, 디지털경제학 박사, 데이터통계처리(stata, spss, sci, kci), python과 R을 활용하는 빅데이터 처리 분석,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인공지능 분석 처리와 전문평가위원,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분석처리와 전문심사위원, 기후변화 및 ESG 전문위원, 여러대학의 박사/석사 과정의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