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24032596
· 쪽수 : 303쪽
· 출판일 : 2025-09-26
목차
프롤로그 / 5
제1부 뉴라이트의 탄생과 역사적 기원 / 9
1장 일본 극우의 뿌리: A급 전범 세력 / 11
2장 한국 좌파의 전향과 뉴라이트의 형성 / 25
3장 뉴라이트 역사관의 특징 / 40
4장 일본 극우와 한국 뉴라이트의 공식 결합 / 54
5장 이명박·박근혜 정권과 뉴라이트 / 68
제2부 일본 극우의 전략과 한일 외교의 충돌 / 83
6장 일본의 과거사 '합의 외교' / 86
7장 강제징용 배상 문제 / 101
8장 독도 문제의 국제화 전략 / 115
9장 사도 광산 유네스코 등재 논란 / 128
10장 일본의 대외 전략과 한국의 대응 / 141
제3부 일본 사회와 한국 사회의 대조 / 155
11장 일본의 역사적 보수성 / 157
12장 일본의 IT 디지털화 실패 / 171
13장 한국의 빠른 변화와 기술 혁신 / 187
14장 라인·네이버 사건과 일본의 경제안보 / 201
15장 한일 사회 구조의 장기적 차이 / 215
제4부 한국의 과제: 역사 청산과 주체적 외교 / 229
16장 내부 친일 세력의 문제 / 231
17장 한반도 지정학과 전쟁 불가론 / 245
18장 한국 외교의 주체성 회복 / 258
19장 국가 정체성과 역사 교육 / 273
20장 미래 한일 관계의 가능성 / 287
에필로그 / 301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뉴라이트 운동의 역사적 기원은 일본 극우 집단의 전략적 개입에서 찾을 수 있다. 전후 처리 과정에서 A급 전범들이 처벌받지 않고 오히려 냉전 체제 속에서 권력을 재건했던 일본의 경험은 한국 내 보수 진영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식민지 근대화론, 독도 부정론 등 일본 극우의 역사관과 유사한 담론을 생산하며, 교과서와 교육 현장을 장악하려 했던 뉴라이트의 행보는 이를 잘 보여준다. 따라서 한국 사회가 자신의 역사와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뿌리 깊은 친일 세력에 대한 청산이 선행되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