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태권도](/img_thumb2/979112721322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무예/무술
· ISBN : 979112721322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7-03-16
목차
Ⅰ. 들어가는 글 7
Ⅱ. 태권도의 발생과 시원(1945년 전후) 19
1. 태권도의 발생 19
2. 태권도의 시원 27
3. 전통주의, 신전통주의, 수정주의 사관에 따른 태권도의 형성 33
가. 전통주의 사관에 다른 태권도의 형성 33
나. 신전통주의 사관에 따른 태권도의 형성 34
다. 수정주의 사관에 따른 태권도의 형성 35
4. 신수정주의 사관에 따른 태권도의 형성 36
가. 공수도의 중국 권법의 영향 37
나. 태권도의 중국 권법의 영향 38
다. 1950년대 태권도 교본의 중국 권법의 영향 40
5. 우리나라 국기(國技) 태권도 51
Ⅲ. 태권도의 태동 및 성장기(1946년부터 1970년까지) 61
1. 태권도 도장의 성립과 보급 확대 61
2. 조선연무관 권법부와 중앙기독회 권법부의 파생관 65
가. 지도관 66
나. 한무관 67
다. 창무관 68
라. 강덕원 70
마. 홍무관 71
바. 태권도 품새의 제정과 보급 73
3. 태권도에 대한 관념과 품새의 의미 78
4. 태권도 사범의 해외 파견 88
5. 통합 기구의 조직과 명칭 제정 94
6. 태권도 시범의 태동 100
7. 국제태권도연맹(ITF)의 창설 105
가. 국제태권도연맹(ITF) 태권도의 수련 체계 107
나. 국제태권도연맹(ITF)의 창설과 활동 111
8. 태권도의 경기화 과정 120
9. 한국 여성 태권도의 태동 128
Ⅳ. 태권도의 발전 및 도약기(1971년부터 1990년까지) 133
1. 국기원 건립과 세계태권도연맹 창설 133
2. 태권도 경기의 발전과 성장 150
3. 태권도 시범의 발전 160
4. 여성 태권도의 정립 170
5. 어린이 태권도 시범단의 출범과 도약 175
Ⅴ. 태권도의 정착 및 중흥기(1991년부터 2017년까지) 181
1. 태권도의 정착 181
가. 현재성 190
나. 대중성 191
다. 주체성 192
2. 태권도 경기 형태의 수정 및 보완 195
3. 태권도 시범의 융성 207
4. 여성 태권도의 성장 220
5. 어린이 태권도 시범단의 정착과 공헌 224
Ⅵ. 태권도의 활성화 정책 227
1. 국기(國技) 태권도 퇴출될 뻔한 기억을 잊었는가 229
2. 태권도 활성화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237
3. 체육의 날을 맞이하여 국기(國技) 스포츠 태권도를 사랑하자 246
Ⅶ. 나오는 글 255
(논문) 태권도의 기원 배경과 초기 발달 과정에 대한 소고(小考) 269
〔주석〕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