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28813382
· 쪽수 : 578쪽
· 출판일 : 2019-03-1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에 대한 편집자 일러두기
니컬러스 네그로폰테의 추천사
머리말
01 무엇이 증발하는가
디지털퍼스트
증발: 비유 설명
기기의 증발
소매의 증발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다
02 아날로그 산업의 황혼
디지털 미디어의 여명
디지털 전환의 필수 요소
03 증발하는 텔레비전
디지털 거실 전쟁
진화하는 수용자와 모바일 동영상
텔레비전의 미래
04 교환대 시장에서 플랫폼으로, 다시 생태계로
교환대 시장: 디지털 비즈니스의 성공 토대
플랫폼: 조력자 또는 덫
생태계 전쟁
증발 시장에서 가치는 어떻게 통제되는가
05 앱 독재 시대의 골목대장들
06 왜 데이터인가
그래프와 데이터 생성 모델
만질 수 없는 자산 설명하기
구글이 하는 일
07 똑똑한 물건들의 세계
현실과 디지털의 경계가 사라지다
사물인터넷의 기회와 이슈
감시사회와 옵트인 패놉티콘
구식 산업을 전환하는 방법
누가 데이터를 통제하는가
사물인터넷 시장의 두 갈래 길
08 소유와 신뢰의 재구성
소유에서 접속으로
증발 대 기득권
탈중심화를 신뢰하기
09 노동의 증발
로봇, 새로운 노동자
인공지능 시대
누가 인공지능 플랫폼을 소유할 것인가
기업의 탈물질화
10 교육은 증발할 것인가
위기의 고등교육
교육 증발시키기
“증발된 대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증발된 교육의 정당성 입증하기
11 육체의 증발과 인간 진화
죽음 거부하기
기대치 설정하기
사물인터넷을 넘어 우리 인터넷으로
결론
뒤로 옮긴 05 앱 독재 시대의 골목대장들
증발된 세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싸움
앱 독재 시대의 삶
뒤로 옮긴 본문 내용
옮긴이 후기
대담
원어 색인
리뷰
책속에서
음반, 영화, 신문 그리고 책마저, 조만간 결국 사라질 것이다. 이런 사실에 놀라는 사람은 많지 않다. 정작 놀라운 것은 이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사람이 부지기수라는 점이다. 물질이 디지털 미디어에 밀리는 것은 해가 서쪽으로 지는 것을 보는 것만큼이나 분명하다. 그런데도 이런 현실 변화를 보지 못하는 사람들은 뭐가 잘못된 것일까?
증발하기 위해서는 냄비와 난로뿐만 아니라 다른 것이 더 필요하다. 부엌 전체가 필요하다. 증발 현상이 일어나려면 광범한 기술 기반과 사회 전반의 수용이 연결되어야 한다.
여기서 나는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아주 거친 예측, 네 가지 증발 현상을 제시한다.
첫째, 도시 외곽 지역, 교외가 사라질 것이다. 둘째, 병원 가는 일이 증발될 것이다. 셋째, 국가는 증발될 것이다. 넷째, 대기업이 증발될 것이다.
내 말의 요점은 증발이 전략적 돌출이나 전술적 일탈이 아니라는 점이다. 단순히 셀룰로스, 종이에서 실리콘, 곧 정보로의 이행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것은 우리 삶의 방식을 송두리째 바꾼다. 변화는 형평성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 책은 그런 일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입문서다.
_ 네그로폰테의 “추천사” 중에서
실리콘밸리의 인재들은 거의 모든 비즈니스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대체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데이터센터나 통신망 같은 거대한 물리적 실체를 코드로 대체하는 건 엄청난 일이다. 그걸 할 수 있다면 사실상 어떤 것이라도 소프트웨어 코드로 대체할 수 있다.
물론 소프트웨어는 여전히 실물 장비 위에서 구동된다. 그렇다고 해도 결과물은 훨씬 더 에너지 효율이 높고 더 유연하고 더 빠르며, 더 저렴해질 것이다. 맞다. 우리는 지금 더 적은 것으로 더 많이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앞으로 다가올 변화와 현재 진행 중인 발전의 단면을 미리 보여 준다. 마찬가지로 변화와 투쟁이 이미 눈에 띄게 드러난 최전선의 소식도 미리 전한다. 나는 이 책을 가까운 미래에 관심이 있고, 진화 발전하는 지형에서 성공하려는, 또 운명의 지배자가 되려는 사람들을 위해 썼다. 미래를 만드는 작업에 참여하려는 사람들에게 경고를 보내고 정보를 제공하는 게 내 소망이다. 이 책이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급진적일 만큼 새로운 환경에서 이정표가 되고 안내자가 되길 바란다.
_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