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

황용석, 이준웅, 김상민, 김익현, 손동영, 백영민, 최세정, 유경한, 김대원, 박령주, 이상엽, 성윤택 (지은이), 한국언론학회 (엮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800원 -0% 0원
1,190원
38,610원 >
39,8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980원
35,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240원 -10% 1310원 22,300원 >

책 이미지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9132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17-12-05

책 소개

컴퓨터 기반이라는 새로운 과학적 접근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한다. 데이터와 컴퓨터 중심 시대에 언론학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학문적 방향성을 담은 책이다.

목차

01 서론: 데이터 시대 컴퓨터 기반 언론학 연구
디지털화, 데이터화, 빅데이터
데이터, 언론학 연구에 어떤 함의를 던지나
이 책의 구성

1부 데이터 시대 이론 지형의 변화 탐색

02 데이터 시대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발전
빅데이터 기반 연구의 동력
빅데이터 기반 연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
빅데이터 기반 연구의 특성: 메타 방법론적 접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발전에 대한 함의

03 변동의 과학: 발생적 커뮤니케이션 과학을 향하여
미래를 조망하는 한 가지 방법
그 많던 양떼는 다 어디로 갔을까
혼돈의 가장자리
카오스의 근원을 찾아서
함수에서 복잡계로
발생적 커뮤니케이션 과학을 향하여

04 데이터와 더불어 데이터로 살아가기: 데이터 사회를 구성하는 믿음과 기술에 대한 비판적 이해
하이퍼리얼 데이터
데이터 사회
데이터화된 세계와 데이터에 대한 믿음
데이터화의 두 방향
데이터 존재로 살아가기

2부 언론학 세부 영역들에서의 접근 방식

05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지평 확대: 컴퓨터와 빅데이터 기반 정치 행동 연구들
빅데이터 시대의 정치 캠페인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상: 새로운 현상 또는 현상을 새롭게 이해하기
이론: 새로운 이론 또는 기존 이론의 정교화
방법론: 혁신과 쟁점들
남은 과제들

06 데이터 기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현재와 연구 과제
들어가며
빅데이터의 개념
빅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활용 연구
나가며

07 데이터 시대 언론 현장의 변화와 언론학 연구의 과제
워터게이트에서 데이터 저널리즘으로
데이터 혁명과 뉴스 생산 · 유통의 변화
데이터의 뉴스화, 뉴스의 데이터화
데이터시대 언론학 현장 연구의 과제

08 알고리듬 기반의 뉴스 콘텐츠 생산과 유통: 그 영향과 연구 과제
들어가며
알고리듬, 학습 그리고 인공지능
추천 서비스
로봇 저널리즘
알고리듬에 따른 뉴스 생산 · 유통 체계의 변화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과제

09 복잡계 이론의 보완적 접근 가능성: 시뮬레이션 모델링과 패턴의 추출
복잡계 이론이라는 새로운 창(窓)
빅데이터의 등장과 복잡계 이론
복잡계 연구 방법과 언론학 연구의 적용
새로운 창을 연다는 것은: 한계와 가능성

3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실제와 응용

10 전통적 내용 분석과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 토픽 모형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과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
토픽 모형
LDA 모형 실습
LDA 모형 적용 선행 연구
토픽 모형의 가능성과 한계

11 파이선을 이용한 온라인 데이터 분석 방법 소개: 텍스트 데이터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온라인 데이터 분석 소개
온라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
결론

12 N스크린 시청 행동과 소프트웨어 기반 행동 측정, 도전과 한계 미디어 이용 행태 변화와 N스크린 시청 행동 조사의 필요성
대안적 시청률 조사
국내 N스크린 시청 행태 측정 현황
디바이스별 시청 기록 측정의 한계 및 개선 방안

저자소개

황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1999)를 취득한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면서 데이터저널리즘, 온라인저널리즘 정책 연구 등을 수행했다. 건국대학교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AI 및 데이터 기반 정책연구와 이용자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데이터저널리즘 코리아 컨퍼런스와 어워드, 뉴스테크 이니셔티브 등의 행사를 조직 및 운영하고 있다. 현재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위원, 디지털플랫폼민간자율기구 위원, 디지털플랫폼정책포럼 위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민간협의회 위원, 법무부 인권정책자문 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언론중재 위원,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위원회 위원, 미디어 다양성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대통령 표창(2019), 기획재정부장관 표창(2024), 교육부장관 표창(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2023),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표창(2015), 건국대학교에서 학술상(2014), 연구공로상(2015) 그리고 강의 우수상(2008), 리서치프론티어 상(2014, 2015, 2016, 2017, 2018) 등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디지털 플랫폼 정책 및 자율규제, 디지털미디어 이용자 행동연구,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설계와 구축, 추천 알고리즘 공정성 및 효과측정, AI 리터러시와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Telematics and Informatics)” 등 80 여 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데이터시대 언론학연구>(커뮤니케이션북스, 공저) 등 50 여 권 이상을 발간했다.
펼치기
이준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대인소통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의 애넨버그 학교에서 정치소통을 연구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말과 권력》(한길사, 2011)이 있고, 한국 언론에 대한 논문으로《비판적 담론 공중의 등장과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소통은 진리를 위한 것인가》,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윤리》,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술, 미디어, 예술의 접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비)인간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는 문화연구자다.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문화연구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로 일하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위원, 한국문화연구학회와 캣츠랩의 운영위원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큐레이팅 팬데믹》(공저), 《서드 라이프》(공저), <사회적 참사와 사물의 정치>, <디지털 리터러시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새로운 과제>, <신체, 어펙트, 뉴미디어>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민의 다른 책 >
김익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이다.≪전자신문≫, 디지틀조선일보, 아이뉴스 24 등에서 기자생활을 했다. 2008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는 『페이스북과 저널리즘』(2021),『웹 2.0과 저널리즘 혁명』(2007), 『인터넷 신문과 온라인 스토리텔링』(2003) 등이 있다. 『언론사숏폼 콘텐츠 전략 사례와 이용 연구』(2023),『언론사의 독자/이용자 소통 전략 및 연구』(2022),『데이터시대의 언론학 연구』(2017) 등의 연구서를 공동 저술했다.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2020), 『증발』(2019), 『비욘드뉴스, 지혜의 저널리즘』(2015), 『데이터 저널리즘: 스토리텔링의 과학』(2015), 『글쓰기 공간』(2010), 『하이퍼텍스트 3.0』(2009) 등을 번역했다. 『글쓰기공간』으로 2010년 한국방송학회 번역상을, 『하이퍼텍스트 3.0』으로 2016년 한국언론학회 번역상을수상했다.
펼치기
손동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교수다. 텍사스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미디어심리, 소셜네크워크와 집합행동, 시뮬레이션 연구 방법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Collective dynamics of the spiral of silence”, “Anatomy of interaction experience”, “A structural solution to communication dilemmas in a virtual community” 등이 있다.
펼치기
백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현 언론홍보영상학부)에서 학사학위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아넨버그 스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교수를 지내고 현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Journal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New Media & Societ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Health Communication, PLOS ONE, American Politics Research, Politic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등 언론학을 포함 다양한 학문분과 학술지에 현재까지 105편의 학술논문(2024년 10월 기준)을 출간하였다. 저술한 책으로 《R 기반 네트워크 분석: ERGM과 SIENA》, 《R 기반 데이터 과학: 타이디버스 접근》, 《R 기반 성향점수분석: 루빈 인과모형 기반 인과추론》, 《R을 이용한 결측데이터 분석: 최대우도 및 다중투입기법을 중심으로》, 《R 기반 복합설문 데이터 분석》,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R 기반 제한적 종속변수대상 회귀모형》, 《R를 이용한 사회과학데이터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론적 사유: 입말로 풀어쓴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등이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국민의 선택: 대통령 선거캠페인 기간에 유권자는 지지후보를 어떻게 결정하는가?》, 《포퓰리즘》, 《퍼스널 인플루언스》, 《소셜미디어와 공익: 가짜뉴스 시대의 미디어 정책》 등이 있다.
펼치기
최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광고학 석사, 매스미디어(광고)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소비자심리, 뉴미디어, 디지털 마케팅, 애드테크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미디어경영론』(공저), 『인터넷 생태계에 대한 9가지 질문』(공저),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공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유경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연세대에서 사회학과 영상커뮤니케이션을 공부했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데이터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 <But not all social media are the same: Analyzing organizations’ social media usage patterns>, <미디어 블록체인의 비전과 가치: 미디어 블록체인의 ICO 백서(white paper) 분석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유경한의 다른 책 >
김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6년 3월부터 카카오 정책지원팀에서 일하고 있다. 2005년 9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매일경제신문≫ 편집국 기자로 재직했다.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학위를,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풀타임 학생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밟았다. 2016년 2월 박사학위(언론학)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 “Two essays on robot journalism in the South Korean newspaper industry”다. 이는 로봇저널리즘을 주제로 한 국내 첫 박사학위 논문이다. 2014년 이후 2016년 12월까지 총 21편의 논문(19편 주저자 혹은 교신저자, 2편 공저자)을 국내외 학술등재지에 게재했다. O2O(Online to Offline) 등 미디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새로운 기술과 산업의 융합, 인공지능의 사회적 확산, 새로운 시대 속의 저널리즘, 뉴미디어 시대의 위기관리 전략 등을 주제로 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박령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서강대학교에서 디지털 콘텐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복잡계, 미디어 경제, 인터넷 매개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콘텐츠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집합행동의 발생과 확산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놀이이론 기반의 인터넷 루머의 집합적 확산자에 관한 연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조교수다.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미디어와 정보(Media & Information)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온라인 데이터 분석이다. 저서로는 Handbook on the Economics of the Media(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Interpersonal influence on online game choices”, “Homophily and social influence among online casual game players” 등이 있다.
펼치기
성윤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용자 연구, 시청률 및 통합시청조사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연구원(2010~2013), 홍익대, 평택대, 한국방송통신대 등(2007~2016) 시간강사를 역임했다. 현재 인터넷신문자율공시기구 검증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020 방송영상 산업백서』(2021),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2017)에 공저자로 참여했고,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진화 방향”(2010), “What to Read in the Morning?: A Niche Analysis of Free Daily Papers(FDPs) and Paid Papers in Korea”(2007) 등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회과학 연구자들 입장에서 보면, 전통적인 연구 방법, 이론 구축 및 공식적인 과학적 추론 활동에 빅데이터 분석이 대체성을 갖는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빅데이터 분석은 산업계를 중심으로 확산되어 오다 최근에 연구 분야에 점진적으로 접목되고 있다. 산업 분야에서는 예측의 정확도가 중요하지만, 학문 영역에서는 예측과 함께 왜 그 같은 결과가 나타났는가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컴퓨터 기반 모델링이 아무리 우수한 예측력을 보이더라도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없다면 과학적 완성물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 기법과 전통 과학은 상호보완성을 띨 수밖에 없어 여러 학문 분야가 협업해야 하는 환경에 들어섰다
-‘01 서론: 데이터 시대 컴퓨터 기반 언론학 연구?’ 중에서

오늘날 전 지구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구축과 확산은 사회적 복잡성의 증대와 더불어 변화의 속도를 상상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수개월 단위로 새로운 기술이 소개되고 그에 맞춰 사람들의 환경과 일상이 빠르게 변모되는 현실은 변수 간의 정적인 구조를 묘사하려는 기존 연구 방식에 일대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빠르게 상황이 변화한다고 해서 지속적인 패턴이 모두 증발해 버리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새롭게 부각되는 주제와 키워드들-조합(assemblage), 배열(configuration), 네트워크, 패턴, 변동-로 시선을 돌릴 필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일회성 효과나 파편적 인과관계가 아닌, 국지적 현실들의 조합, 배열과 그 효과로 어떤 패턴이 나타나는 발생 과정(generative process)이다(Epstein, 2007).
-‘03 변동의 과학: 발생적 커뮤니케이션 과학을 향하여’ 중에서

물론 뉴스타파나 ≪가디언≫ 같은 매체들이 보여 준 탐사 보도는 저널리즘의 소중한 자산이다.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잘못된 권력을 비판하거나, 잘못된 소문을 바로 잡아주는 건 언론이 담당해야 할 기본 역할이다. 하지만 데이터 저널리즘에 거대한 탐사 보도만 있는 건 아니다. 방대하지는 않지만 그냥 지나치기 쉬운 숫자나 그래프를 활용한 보도 역시 데이터 저널리즘의 또 다른 한 축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둥이다. 수많은 정부나 기업들이 매일 데이터를 활용해 자신들의 주장을 펼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데이터 홍수에 빠지지 않고 그 속에서 제대로 된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는 능력도 반드시 요구되는 자질이다. 데이터를 활용한 탐사 보도가 누구나 쉽게 하긴 힘든 예외적인 프로젝트인 점을 감안하면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능력은 오히려 저널리즘 현장에선 더 요구되는 덕목일 수도 있다.
제4차 산업혁명 담론과 함께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른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도 역시 넓게 보면 데이터를 활용한 저널리즘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특히 알고리듬을 활용한 뉴스 생산 방법인 AI 저널리즘, 혹은 로봇 저널리즘은 기존 기자들의 일하는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07 데이터 시대 언론 현장의 변화와 언론학 연구의 과제’ 중에서

전통적 내용 분석 기법의 대안으로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computerized text analysis)이 주목받고 있다. 전통적 내용 분석이 ‘살아 있는 인간 지능’을 이용해 텍스트를 체계적으로 해석한다면,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에서는 알고리듬 형태로 프로그래밍된 ‘죽은 인간 지능’을 이용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즉 인간의 텍스트 해석 방법을 성공적으로 모방한 알고리듬을 개발할 수 있다면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 결과는 타당하다. 자연어 처리 기법(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을 기반으로 하는 통계적 텍스트 처리 기법(statistical text processing)을 이용하면 텍스트에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표현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텍스트에 잠재된 토픽(topic)이나 감성(sentiment)을 통계적으로 추정하는 방법들도 속속 개발되고 있다(Pang & Lee, 2008). 물론 현재의 통계적 텍스트 처리 기법이 모든 면에서 전통적 내용 분석 기법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복잡한 상징성(역설, 반어 등)을 읽어 내야만 하는 잠재적 코딩(latent coding)은 여전히 인간 지능은 컴퓨터 알고리듬, 즉 인공지능보다 훨씬 우수하다. 그러나 지정된 텍스트를 찾거나 특정 텍스트 표지(textual marker)를 통해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명시적 코딩(manifest coding)의 경우 통계적 텍스트 처리 기법은 처리 속도와 분석 비용, 분석 결과의 재현 가능성에서 전통적 내용 분석에 비해 분석의 효과성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성은 훨씬 더 우수하다.
-‘10 전통적 내용 분석과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09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