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16093
· 쪽수 : 142쪽
· 출판일 : 2019-11-30
책 소개
목차
01 수사학 개요
02 수사학과 저널리즘
03 수사학의 ‘착상’과 뉴스
04 수사학의 ‘배열’과 뉴스
05 수사학의 ‘표현’과 뉴스
06 수사학의 ‘기억’ 및 ‘발표’와 뉴스
07 수사학 5대 규범의 언론학적 해석 · 적용
08 수사학을 이용한 기사 작성 모델
09 수사학적 기사 작성 모델의 구성요소와 사례
10 정보시대 수사학과 저널리즘
책속에서
‘수사학’은 ‘사회적·공공적 소통 행위를 위한 학문’이라고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수사학이 공중과 소통하는 행위·체계에 대한 학문이지 언어만을 다루는 학문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는 ‘설득하고 영향을 끼치는’, ‘효과적·미적으로 표현하는’ 커뮤니케이터(communicator, 화자, 話者) 중심의 오랜 수사학 전통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01-“수사학 개요” 중에서
수사학의 5대 규범은 뉴스의 포착과 발굴, 뉴스 가치의 판단과 평가, 뉴스의 표현과 구성, 뉴스의 편집과 전달, 뉴스의 검증 등 뉴스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전 과정과 관련된다. 수용자 지향적이라거나 구체적인 현실과 상황에 바탕하고 있다거나 또는 사회의 건강한 작동과 발전 그리고 주권자 시민의 식견과 능력 함양 등을 목적으로 한다거나 하는 수사학의 성격과 기능은 뉴스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02-“수사학과 저널리즘” 중에서
리드는 기사의 핵심·초점·주제를 담은 문장이다. 기사의 맨 앞에 위치하므로 수사학 ‘배열’의 ‘머리말’에 해당, 그 ‘머리말 작성 기술(技術)’을 활용하게 된다. 수사학의 ‘배열이론’에서는 ‘머리말’에 대해 “이야기의 시작으로서, 청중의 호감을 사고 관심을 끌며 이해를 도와, 그들이 끝까지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하는 마음이 일도록 하는 곳”이라고 설명한다.
04-“수사학의 ‘배열’과 뉴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