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img_thumb2/979112881743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17434
· 쪽수 : 121쪽
· 출판일 : 2021-07-21
책 소개
목차
미디어 텍스트, 생산, 수용과 젠더
01 성과 젠더
02 뉴스에 재현된 젠더
03 드라마에 재현된 젠더
04 드라마 속 신화들
05 광고에 재현된 젠더
06 미디어 조직과 젠더
07 미디어 생산 과정과 젠더 - 뉴스
08 미디어 생산 과정과 젠더 - 드라마
09 미디어 텍스트 수용과 젠더
10 일상생활에서의 미디어 수용과 젠더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별 정형화된 이미지를 잘 드러내는 보도 사례로서 공적 영역의 여성에 대한 뉴스를 들 수 있다. 앞서 보았듯이 뉴스에서 여성은 대부분 익명의 시민이나 사적 영역의 인물로 주변화되기 때문에, 남성의 영역인 공적 영역에 진출한 여성들은 뉴스에서 관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뉴스는 이러한 여성들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소표상하거나 왜곡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_ “02 뉴스에 재현된 젠더” 중에서
즉 캔디렐라 여성, 30대 전문직 미혼 여성 또는 이혼녀, 미혼모와 같은 탈가부장적인 여성 등 여성캐릭터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남성주도적인 사랑과 결혼, 능력 있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남성들의 선택을 받는 낭만적 사랑이데올로기는 시청자에게 대리만족과 신데렐라 판타지를 제공한다.
_“04 드라마 속 신화들” 중에서
외모나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은 더 이상 여성의 전유물이 아니며, 남성의 몸도 평가의 대상이 되면서 남성들의 주요 관심사가 됐다. 광고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의 가장 큰 변화는 외모 강조와 대상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남성 화장품, 남성 의류, 남성 잡지 등의 소비시장이 등장하면서 부각됐는데, 남성 이미지의 변화는 젠더 정체성의 상징적 경계를 흔들기보다는 산업의 요구에 충실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_“05 광고에 재현된 젠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