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28834851
· 쪽수 : 194쪽
· 출판일 : 2019-04-30
책 소개
목차
남조(南朝) 양억
남조(南朝) 전유연
남조(南朝) 유균
남조(南朝) 이종악
궁궐 뜰의 나무(禁中庭樹) 양억
궁궐 뜰의 나무(禁中庭樹) 전유연
휴가로 한가히 지내다 소경학사 전유연이 생각나서(休沐端居有懷希聖少卿學士) 양억
휴가로 한가히 지내다 소경학사 전유연이 생각나서(休沐端居有懷希聖少卿學士) 전유연
휴가로 한가히 지내다 소경학사 전유연이 생각나서(休沐端居有懷希聖少卿學士) 진월
휴가로 한가히 지내다 소경학사 전유연이 생각나서(休沐端居有懷希聖少卿學士) 이유
다시 수창에 차운해 짓고 화답함(再次首唱題和) 전유연
다시 수창에 차운해 짓고 화답함(再次首唱題和) 양억
무궁화(槿花) 유균
무궁화(槿花) 양억
무궁화(槿花) 유척
무궁화(槿花) 전유연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첫째 수(一) 양억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둘째 수(二) 양억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이종악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정위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조간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첫째 수(一) 유균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둘째 수(二) 유균
마음을 대신해(代意二首) 유척
한 무제(漢武) 양억
한 무제(漢武) 유균
한 무제(漢武) 전유연
한 무제(漢武) 조간
한 무제(漢武) 임수
한 무제(漢武) 유척
한 무제(漢武) 이종악
한림원의 첫 매미(館中新蟬) 유균
한림원의 첫 매미(館中新蟬) 양억
한림원의 첫 매미(館中新蟬) 전유연
한림원의 첫 매미(館中新蟬) 장영
한림원의 첫 매미(館中新蟬) 이종악
한림원의 첫 매미(館中新蟬) 유척
밤 연회(夜讌) 전유제
밤 연회(夜讌) 양억
밤 연회(夜讌) 유균
밤 연회(夜讌) 전유연
학(鶴) 유균
학(鶴) 양억
학(鶴) 장영
학(鶴) 임수
학(鶴) 전유연
공자(公子) 양억
공자(公子) 유균
공자(公子) 전유연
옛 장군(舊將) 양억
해설
서곤체(西崑體)의 시사적(詩史的) 위상(位相)에 대한 재고찰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책속에서
남조(南朝)
양억(楊億)
다섯 번의 북소리가 궁문에 울리고 물시계 소리 희미해져 갈 때
새벽을 알리는 댓개비 소리 끊어지자 화려한 수레 날듯이 궁문을 나서네.
별 가득한 새벽 제방을 닭 울음소리 들으며 지나더니
봄비 내리는 사냥터에서 꿩 잡아 돌아온다.
금 연꽃 위의 비단 버선 걸음에 일렁이는 물결,
<옥수후정화>를 부르니 눈물이 옷깃을 적시네.
용이 서렸던 제왕의 기운도 300년으로 끝나 버렸으나
그래도 열린 사립문 앞의 맑은 강물은 얻었네.
五鼓端門漏滴稀
夜籤聲斷翠華飛
繁星曉埭聞雞度
細雨春場射雉歸
步試金蓮波濺襪
歌翻玉樹涕沾衣
龍盤王氣終三百
猶得澄瀾對敞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