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441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포털 뉴스서비스 너머를 생각해 본다
01 포털 뉴스서비스의 등장과 제도화
02 포털 뉴스서비스의 쟁점
03 포털 뉴스서비스의 서비스 변천사
04 포털 뉴스서비스의 콘텐츠 변천사
05 포털 뉴스서비스의 자율규제 변천사
06 포털 뉴스서비스의 법제도와 정책 변천사
07 포털 뉴스서비스 이용의 변화
08 포털 뉴스서비스 인식의 변화
09 포털 뉴스서비스를 위한 제안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나라의 포털 뉴스서비스가 주목 받는 이유는 다른 나라에 비해 포털을 통해 다양한 뉴스미디어가 생산한 다양한 분야의 뉴스 콘텐츠를 무료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 뉴스 이용에서 포털 뉴스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_ “01 포털 뉴스서비스의 등장과 제도화” 중에서
양대 포털 중 하나인 다음은 2008년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아웃링크 방식을 뉴스서비스에 활용하되, 제휴 언론사에게 선택권을 주는 ‘인링크?아웃링크 혼합 방식’을 적용했다. 이후 다음은 2010년 7월부터 뉴스 검색 결과의 기본 노출 방식을 ‘클러스터링 결과보기’로 변경했다. 클러스터링 결과보기는 이용자가 검색하는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뉴스들을 주제별로 자동 분류해 노출시켜 준다.
_ “03 포털 뉴스서비스의 서비스 변천사” 중에서
유명 연예인이 악성 댓글로 자살하는 사건이 이어지자 네이버는 2020년 2월 연예뉴스 댓글을 잠정 폐지했다. 이후 2020년 3월에는 댓글 닉네임과 활동 이력 공개, 2020년 8월에는 스포츠 뉴스까지 댓글을 잠정 폐지하게 됐다. 카카오 또한 네이버와 비슷한 절차를 통해 연예 및 스포츠 뉴스에 대한 댓글을 폐지했다.
_ “05 포털 뉴스서비스의 자율규제 변천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