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62595
· 쪽수 : 778쪽
· 출판일 : 2021-10-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웹툰 생태계의 특징과 현황 / 박인하
1 역사와 개념
01 한국 웹툰의 개성 / 박인하
2 스토리
02 장르 판타지 / 이융희
03 웹소설의 회귀 모티프와 독서 욕망 / 안상원
04 K 웹툰 스토리의 특성: 소외된 자들의 회복감 / 김경애
05 에세이툰 / 류철균 · 이지영
06 [신과함께]에 폭발한 신파 / 박재연
07 웹툰이 혐오의 시대를 건너는 방법 / 전지니
08 세계관 / 권재웅
09 웹소설의 형식적 갱신과 책빙의물 / 유인혁
10 불유쾌한 로맨스와 여대생 / 김은정 · 권경미
11 고소설, 여성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 / 김강은
3 트랜스 미디어
12 OSMU / 김강원
13 크로스미디어 기획, 웹툰과 영화 / 전지니
14 매체 전환과 스토리텔링 / 주민재
15 캐릭터 / 김수리
16 영화 트렌드와 대중예술성 / 이태훈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산적 측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웹툰은 디지털 저작툴과 디지털 기기의 도입으로 창작과 소비의 경계가 적어지며 웹툰 특유의 상호작용성으로 나타났다. 소비적 측면에서 한국 웹툰의 변별성은 스마트 환경에 맞는 속도와 공감연출, 가독성 높은 디자인으로 구체화되었다. 웹툰 독자들은 일상적으로 웹툰을 소비하고, 좋아하는 작품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덧글이나 커뮤니티 활동,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01 한국 웹툰의 개성_박인하 서울웹툰아카데미 이사장
웹툰의 장르성은 본질적으로 디지털 패러다임에 기인하고 있다. 매체의 발달은 기술의 변동뿐 아니라, 이야기 예술의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 수용자의 역할이 제한적인 기존의 일방향적 미디어와는 달리,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은 능동적인 사용자를 주체로 부각시켰다. 이로 인해 개인화된 정체성을 인지하고 표출하려는 경향이 문화 전반에 나타나고, 자기 중심적 담론 또한 활발하게 형성되었다.
05 에세이툰_류철균 전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이지영 웹툰 스토리텔링 연구자, 게임 기획자
[그녀의 심청]은 우리가 익숙하게 알던 고전 서사를 변용하여 흥미를 이끌어내면서도, 작품에 대한 적극적 독해로 독자를 인도한다.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잃는 과정에 주목하고, 서로의 계층차를 극복하고 여성이라면 겪을 수밖에 없는 규범과 본분의 문제를 직시하게끔 한다. 등장인물들은 이해와 연대를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규범에 저항한다. 마침내 인당수의 용왕과 대면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함으로써, 보편/거대 서사에 대항하는 여성서사의 시작을 알린다.
11 고소설, 여성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_김강은 광운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