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28863004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2-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디지털 가상성 예술을 위하여
1부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
01 기술과 문명
호모 파베르
특이점
인간과 기계의 공존
02 예술과 인간
호모 에스테티쿠스
모방과 공감의 유전자
디지털 가상성 미학
2부 이미지와 가상성
01 가상성의 개념
실재성과 잠재성
들뢰즈의 가상성 미학
02 이미지의 가상성
가상 예술의 역사
기술 이미지의 시대
이미지란 무엇인가?
거짓의 힘
03 영화의 가상성
현실과 상상의 결합
기술적 예술
예술적 상상력
정신적 자동기계
04 디지털 가상성
가상성의 새로운 단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컴퓨터 사이버네틱 영화
디지털 생태계의 확산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시대
디지털 시네마 미학
아방가르드 영화 미학
확장 영화
리얼리티의 확장
멀티미디어
가상현실
사이버스페이스
3부 디지털 가상성 미학
01 하이브리드 미학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하이브리드
기술과 미학의 하이브리드
21세기 가상성 예술
02 컴퓨터 합성 미학
기계 복제와 디지털 합성
컴퓨터 합성의 새로운 미학
필름 몽타주에서 디지털 콜라주로
크리스털 이미지와 괴물 영화
03 감각 이미지 미학
이미지의 물질적 매혹
디지털 시네마의 기술적 매혹
디지털 사이버네틱 매혹
기술결정론과 페티시즘
04 정보 네트워크 미학
디지털 이미지의 정보적 특성
이미지 매체의 통합과 분산
컨버전스와 트랜스미디어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4부 대중문화와 디지털 미학
01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대중문화의 개념
시민사회와 문화 헤게모니
이데올로기와 주체의 호명
문화주의와 기나긴 혁명
문화 자본
아비투스
대중의 즐거움과 기호적 저항
02 기술 미디어와 디지털 가상성
미디어와 지구촌
메시지인가? 메타포인가?
디지털 인터넷 미디어 시대로
디지털 가상성의 예찬
디지털 디스토피아의 경고
03 디지털 컨버전스와 네트워크 미학
디지털 컨버전스
네트워크 미학
결론: 디지털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사이에서
참고문헌 및 주석
저자소개
책속에서
150여 년 전 기계 진화론자 버틀러가 예언했듯이, 오늘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총괄하고 있는 구글의 미래 연구 사령탑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은 2045년에 기계가 인간을 추월하는 ‘특이점(singularity)’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특이점이란 수확가속의 법칙에 따라 기술의 진화가 생물학적 진화의 속도를 뛰어넘게 되는 전환점을 의미한다. 이 시점에서 기계의 지능과 의식은 인간의 생물학적 몸과 뇌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진화의 새로운 단계로 나아간다.
“1부 01 기술과 문명” 중에서
현대 예술의 꽃은 디지털 네트워크의 가상공간 속에서 피어난다. 그것은 마치 그리스 시대 연극의 대미를 장식하곤 했던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와 같다. 기계장치를 타고 내려오는 신의 모습처럼,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오늘의 예술을 창조한다. 희망과 의혹이 교차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입구에서 우리는 단지 내일을 향한 창조적 예술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을 뿐이다.
“1부 02 예술과 인간” 중에서
영화 예술은 가상성의 새로운 단계다. 그것은 물질적 현실과 상상적 환영을 결합한다. 기술적 가상성의 측면에서 영화는 회화나 조각 등의 전통 예술과 다르다. 영화 예술의 특수성은 기술적 자동성으로부터 비롯된다. 인간의 손작업에 의존하는 전통 이미지 예술과 달리 영화의 가상성은 카메라, 필름, 스크린의 기계 장치에 기초한다.
“2부 03 영화의 가상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