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28863271
· 쪽수 : 258쪽
· 출판일 : 2022-10-20
책 소개
목차
1. 미국, 일본, EU, 한국의 구상내용
2. 미국, 일본, EU의 정책비교에 대한 검증
3. 미국 : 국가초고속정보망의 행동의제
4. 일본 : 21세기의 지적 사회로의 개혁을 향하여
5. EU : EU와 글로벌 정보사회 - 유럽위원회에 대한 권고
저자소개
책속에서
반게만 보고서에서는 새로운 정보통신기반이 유럽인에게 생활의 질적 향상, 사회․경제조직의 효율개선과 단결강화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이런 변화에 대한 EU 실업계의 인식도 미국의 실업계에 비해서 낮다고 비판하며, 이와 같은 가능성을 살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되어 있다.
01_“미국, 일본, EU, 한국의 구상내용” 중에서
미국의 클린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가초고속정보망에는 국제경쟁력 강화, 고용기회의 증대, 교육․의료 서비스의 향상 등을 정보통신기반이 가져올 사회․경제적 효과로서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의 ‘IT2000’ 구상이나 한국의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계획’에서도 정보통신기반이 경제경쟁력의 강화나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서 앞으로 더욱 중요하다는 인식이 나타나고 있다.
04_“일본 : 21세기의 지적 사회로의 개혁을 향하여” 중에서
ISDN은 그 서막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다음의 기술개발 물결은 멀티미디어 세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것이 통합광대역통신망으로서 유연하면서도 모든 미디어를 입체적으로 다룰 기회를 제공한다. IBC 실현에 필요한 기술은 비동기전송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라고 불린다.
05_“EU : EU와 글로벌 정보사회 - 유럽위원회에 대한 권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