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img_thumb2/979112889090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0901
· 쪽수 : 140쪽
· 출판일 : 2021-11-26
책 소개
목차
서문
01 중도입국청소년은 누구인가요?
02 한국의 다른 청소년들과 비슷하고도 달라요
문화가 다를 뿐 틀린 건 아니에요
가족이 헤어지는 건 슬픈 일이에요
한국에서 계속 살고 싶어요
03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은 어떨까요?
학교의 특징에 따라 적응도 달라요
학교 적응이 쉽지는 않아요
말이 통하는 친구들과 놀아요
우리를 지지해 주는 선생님이 좋아요
04 중도입국청소년의 장점이 있어요
두 나라 말을 할 수 있어요
부모님 나라에 친척이 살아요
부모님의 도움을 받기보다 스스로 살아갈 힘을 길러요
05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가 궁금해요
대학을 가고 싶지만 현실은…
취업하고 싶은데 방법을 몰라요
한국 국적 취득은 하늘의 별따기예요
06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 어떻게 지원할까요?
입국 초기에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해요
부모 상담과 교육도 필요해요
강점과 특성을 살리는 교육이 필요해요
적극적인 진로교육이 필요해요
07 우리들의 학교, 함께 만들어요!
참고문헌
책속에서
중도입국청소년은 전체 학생 수에 비해 극히 소수이고, 아직까지 그들로 인한 사회적·교육적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적이 없기 때문에 교육 전문가들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중도입국청소년의 지속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이들은 한국의 문화와 사회적 상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채로 사회로 진출하거나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의 부재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고 살아가는 데 사회적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청소년기 진로는 개인이 처한 구조적 맥락과 생활 환경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생애 주기 내에서 여러 차례 변화한다. 따라서 청소년기 진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곧 가족과 학교, 또래 집단 및 사회경제적 구조를 종합적으로 살펴야만 이들의 삶과 진로 이해에 다가갈 수 있다.
“아이들 중에 자기 정체성에 대해서 많이 생각한 친구들도 있어서 생각보다 많이 어른스럽습니다. 그리고 그 아이들이 학교에 오면 소속된 것만으로도 행복한 거죠. 그런데 또래 친구들이, 자기 언어권 친구들이 있으니까. 더 잘 어울리고, 또 배려하고.”(전문가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