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30302232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5-07-31
목차
제1부 이론편
제1장 재해복지의 개념
본장의 개요 5
1. 사회복지개념의 변화와 방재?감재 5
2. 재해의 종류 6
3. 재해가 많은 일본 7
4. 취약성의 개념 9
5. 재해시요원호자의 생활환경 10
6. 위기관리와 위험관리 10
7. 재해복지의 정의 11
8. 현대 일본의 과제 12
제2장 재해시요원호자
본장의 개요 14
1. 재해시요원호자 14
2. 아 동 15
(1) 통계로 본 피해 상황 15
(2) 그 후 교육 활동의 경과 17
(3) 아이들이 얻은 것 17
3. 고 령 자 18
(1) 노인이 놓인 상황 19
(2) 대피소 문제 20
(3) 2차 재해로 인한 사망 20
(4) 긴급 보호의 문제 21
(5) 임시주택?부흥주택 문제 22
4. 장 애 인 22
(1) 장애인이 놓인 상황 22
(2) 피난소에서의 문제 23
(3) 지역사회에서의 생활 재개 문제 24
(4) 정신장애인의 경우 24
5. 외 국 인 25
(1) 외국인이 놓여 있던 상황 25
(2) 정보 제공 25
6. 질병 등의 요양자 28
(1) 지진재해 시 의료 28
(2) 사회적 입원 29
7. 기타 요원호자 29
제3장 재해의 기억―자연재해의 역사와 사회적 구원의 민속지―
본장의 개요 32
1. 메이지 시대 이후부터 다이쇼 시대에 이르는 재해 33
(1) 안세이(安正)동해 지진해일 33
(2) 메이지산리쿠(明治三陸) 지진해일 34
(3) 관동대지진 35
2. 쇼와(昭和)재해와 구원의 역사 36
(1) 무로토 태풍 36
(2) 동남해 지진 37
(3) 후쿠이(福井) 지진 38
(4) 이세만(伊勢?) 태풍 39
(5) 칠레 지진 해일 39
(6) 니가타(新潟) 지진 40
(7) 이즈오시마(伊豆大島)근해 지진 41
(8) 미야기현(宮城?) 앞바다 지진 41
(9) 일본 서해 중부지진 42
3. 헤이세이(平成)재해의 역사와 시책 43
(1) 홋카이도남서해 지진 43
(2) 한신?아와지(阪神?淡路) 대지진 44
(3) 미야케지마분화(三宅島?火) 49
(4) 니가타현 주에쓰(新潟?中越) 지진 50
(5) 니가타현 주에쓰 오키(新潟?中越沖) 지진 51
4. 유족에 대한 사회적 구원―‘죽음’의 현황을 알리는 것 52
제4장 재해지원에 관한 법제도와 행정조직
본장의 개요 60
1. 재해지원의 법제도 60
(1) 비황저축법 60
(2) 이재구조기금법 61
(3) 재해구조법 61
(4) 재해대책기본법 62
(5) 재해조위금의 지급 등에 관한 법률 63
(6) 이재민생활재건지원법 64
2. 재해위기관리 행정조직 66
(1) 재해위기관리 행정조직 체제 66
(2) 행정조직에 의한 재해위기관리 추진의 요점 67
(3) 행정조직에 의한 재해위기관리의 구체적 전개 68
제2부 실천편
제5장 재해지원의 방법
본장의 개요 81
1. 재해지원과 사회복지원조 81
(1) 재해의 피해와 재해복지의 실천 81
(2) 관점과 대상 83
(3) 피해지원의 목표 85
2. 재해지원의 방법 기술 86
(1) 소셜워크의 방법기술과 재해에서의 지원 86
(2) 지원의 범위 87
3. 재해지원의 과정과 지원 관계 88
(1) 재해피해 경험의 과정 88
(2) 재해지원의 과정 90
(3) 재해피해자와 지원자의 관계 91
4. 재해피해자 지원의 접근방법 93
(1) 방법?기술 93
(2) 피해지원의 수단 94
5. 담당자와 주체형성 95
제6장 재해 발생과 구호
본장의 개요 97
1. 의식주의 확보 98
(1) 주거의 확보 98
(2) 음식의 확보 102
2. 구호물자의 수용과 관리 106
(1) 구호물자의 수용 106
(2) 구분?배급의 시스템과 효율적 배분 107
3. 기본적인 방재대책 109
제7장 재해와 지역 네트워크
본장의 개요 112
1. 재해 발생을 경험한 지역에서의 대처 112
2. 네트워크 114
(1) 네트워크란 114
(2) 네트워크의 기능 115
(3) 네트워크의 원칙 116
(4) 네트워크의 프로세스 119
3. 정보수집 119
4. 행정이나 민간기관의 대응 121
(1) 행정의 대응 121
(2) 민간조직?단체?기업의 대응 122
5. 민간과 시장의 힘을 활성화한 방재전략의 기본적 제언―네트워크 기능을 목표로 124
제8장 부흥과 재해피해자 지원
본장의 개요 128
1. 재해피해자로서 부흥이란? 128
(1) 부흥의 의미 128
(2) 부흥과 지역사회 130
2. 생활환경의 부흥과 생활재건 130
(1) 주 거 131
(2) 콘 보 이 131
(3) 경제적 기반 132
3. 재해시요원호자로서의 생활재건과 부흥 134
(1) 의료나 개호?생활지원 134
(2) 심리적 안정과 서포트 135
(3) 경제적 기반 136
4. 재해피해자 주체의 부흥을 위한 과제 137
제9장 가족지원
본장의 개요 142
1. 재해시의 가족이라고 하는 단위 143
2. 재해의 가족에의 영향 146
(1) ‘가족’의 문제로서 부상하는 것 146
(2) 어린이에 대한 영향과 가족 147
(3) 어린이나 개인에 나타난 가족의 문제 148
(4) ‘장년기’의 가족원과 가족에의 영향 149
(5) 장기적인 영향 150
3. 재해에서의 가족과 가족스트레스 151
(1) 재해에 의한 상실과 스트레스 151
(2) 가족시스템에서의 위기 152
(3) 가족스트레스 이론 154
4. 가족의 재기 156
(1) 가족의 재기와 그 모든 요인 156
(2) 가족 본인부터의 재기력 156
(3) 전문적인 가족서포터의 필요성 159
5. 가족지원에 바라는 것 160
(1) 예방적 가족지원 160
(2) 재해직후의 가족지원?가족관계의 서포터의 필요성 160
(3) 재해 후의 장기적 관점에서의 서포터 161
(4) 장기적인 지원 161
제10장 재해지원 자원봉사 ―피난소?임시주택?부흥주택의 경험을 통해서―
본장의 개요 165
1. 니시진(西神) 제7임시주택에서의 자원봉사 활동을 실천할 때까지의 경과 166
2. 임시주택에서의 활동의 필요성과 의의 168
(1) 니즈의 추출 168
(2) 커뮤니티 만들기 171
(3) 복지상담 173
(4) 보건사와의 연대 175
(5) 자원봉사와 지역과의 제휴 175
3. 활동 중에 보인 것 177
(1) 복지의 마을만들기 177
(2) 자원봉사자도 가능한 복지서비스 178
(3) 이후의 과제 179
4. 고령자와 이후(今後) 180
제11장 특별한 니즈가 있는 사람들의 지원
본장의 개요 183
1. 특별한 니즈가 있는 사람이란? 183
2. 재해시에 있어서의 ‘특별한 니즈가 있는’ 케이스 185
3. 특별한 니즈를 가진 구체적인 케이스 188
(1) 재택의료케어가 필요한 사람 188
(2) 재일외국인 189
(3) 유 학 생 189
(4) 교육관계자 190
(5) 재해피해자구원에 종사하는 사람 190
(6) 지역산업종사자 191
(7) 귀택곤란자 191
4. 특별한 니즈가 있는 사람에의 원조사례 192
(1) 고령자, 장애인, 의료케어가 필요한 가족에의 지원 192
(2) 고령자, 정신질환, 재일한국인의 지원 193
(3) 중국인유학생에 대한 지원 195
(4) 생활습관병 환자의 지원 196
(5) 구원활동하는 보건사에의 지원 197
(6) 재해구원활동에 종사하는 소방사의 지원 199
5. 지역에서 공생하는 사람들의 ‘특별한 니즈’에 깨닫는 것 200
제12장 복지시설에서의 방재지원―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본장의 개요 202
1. 어린이집에 있어서의 위기 관리 204
(1) 소프트웨어 204
(2) 하드웨어 206
(3) 환 경 206
(4) 사 람 207
2. 재해 발생 시의 대응 208
(1) 어린이집이 개원 시간에 재난피해를 입었을 경우 210
(2) 어린이집이 폐원 시간에 재난피해를 입었을 경우 212
3. 재해로부터의 복구 212
4. 대피소가 되었을 때 213
5. 마음의 케어 215
6. 지역 사람들을 지키는 장소 217
(1) 원아나 지역의 육아 가정을 지키는 것이란? 217
(2) 재해시에 사회복지시설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이란? 218
제3부 제언편
제13장 재해방지, 재해로 인한 피해경감을 위한 구조조성
본장의 개요 225
1. 재해방지를 위한 구조조성이 필요한 배경 225
(1) 지금까지 시스템에서의 문제점 225
(2) 조직운영의 요소에서 본 문제점 226
(3) 문 제 점 228
2. 재해피해 경험에서의 재검토 233
(1) 이재민이 경험한 소외?고독의 장벽 233
(2) 장벽의 하드?소프트적인 측면 236
3. 요구되는 구조란 239
(1) 구조의 조건 239
(2) 새로운 구조의 과제 242
4. 참여?협동형 재해방지 모델의 과제와 전망 243
제14장 학교에서의 재해방지교육의 현황과 과제
본장의 개요 250
1. 재해와 아동에 대한 교육 250
(1) 아이들과 자연, 자연재해 250
(2) 학교에서의 재해방지교육의 의의 251
2. 재해방지교육의 정의와 목표 252
(1) 문부과학성의 정의 252
(2) 학교에서의 재해방지교육의 규정 253
(3) 학교에서 아이들의 발달단계별 재해방지교육의 목표 254
(4) 각 학년에서 현행 학습지도 요령에서의 재해방지교육 256
3. 학교에서의 재해교육의 구조 260
(1) 목적?계획 260
(2) 계통적 학습 내용 261
(3) 6학년의 재해방지 학습내용 261
(4) 재해방지학습 설문조사의 자유기술로부터 262
4. 이후의 과제와 제언 267
제15장 재해방지 연결망의 구축
본장의 개요 270
1. 재해 ‘장벽’의 하드적인 측면을 넘어서 271
(1) 지역복지에 있어서의 재해방지에 대한 새싹 271
(2) 재해 발생 시 요원호자와 공생, 관용 272
(3) 지역사회를 내려다보는 관점 272
2. 지역재해방지와 지역복지의 과제 273
(1) 지역복지의 새로운 과제 273
(2) 사회적 포섭의 실천에서의 시사 274
(3) 재해방지 지도 활용을 통하여 ‘기댈 곳’ 창출 275
3. 지역사회의 활동을 통해서 277
(1) 재해 기억의 계승 277
(2) 사회복지협의회,민생위원의 활동 278
(3) 소방단체,수해방지단체?상점가와의 연계 280
(4) 마을만들기,동네만들기의 한 가지로서 280
4. ‘사회적 포섭’을 지향하며 281
보 론 재해방지와 지원 연결망 형성을 향해서
(1) 재해방지와 지원 연결망을 위한 과제 285
(2) 재해와 그 지원에 대한 현대적 과제 286
(3) 남겨진 과제 288
맺 음 말 291
색 인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