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범죄, 그 진실과 오해

범죄, 그 진실과 오해

(증보판)

이윤호 (지은이)
박영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범죄, 그 진실과 오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범죄, 그 진실과 오해 (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3030440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7-06-30

책 소개

이번 증보판에서는 변화하는 사회와 그 현상으로서의 범죄현상의 변화를 담아냈다. 끊임없이 세계를 놀라게 하는 테러와 테러리즘을 재조명하고, 요즘들어 세간의 우려를 불러일으킨 엽기적인 범죄자들이 누구인지, 그들의 범죄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고 있다.

목차

▪증보판을 내면서 ii
▪들어가며 iv

제1부 범죄란 무엇인가

▪범죄란 무엇인가 3
범죄에 대한 다양한 접근 __ 3
법률적인 관점의 범죄의 한계 __ 5
범죄에 대한 가치관의 혼란 __ 6
▪학교폭력은 어떤 것인가 7
학교폭력의 등장 __ 7
나날이 심각해지는 학교폭력 __ 9
학교폭력의 원인은 무엇인가 __ 10
학교폭력의 올바른 대처방법 __ 12
▪동기가 없는 범죄도 있는가 13
성행하는 묻지마(무동기) 범죄 __ 13
무동기 범죄=동기 없는 범죄? __ 14
무동기 범죄를 일으키는 사람들의 특징 __ 16
무동기 범죄가 최근에 대두되는 이유 __ 17
무동기 범죄에 대한 대책 __ 17
▪사이버범죄란 어떤 것인가 19
통신의 발달로 등장하는 사이버범죄 __ 19
사이버범죄의 정의 __ 20
사이버범죄의 유형 __ 21
나날이 증가하는 사이버범죄와 그 예방 __ 22
▪대마초 합법화는 가능한가 25
마약범죄의 합법화는 가능한가 __ 25
마약범죄, 전통적인 범죄유형과는 다른 범죄유형 __ 26
마약범죄가 과연 피해자 없는 범죄인가 __ 27
마약범죄의 비범죄화(Decriminalization)와 합법화(Legalization) __ 28
마약을 비범죄화하거나 합법화할 경우 __ 30
마약정책, 공급의 차단인가 수요의 차단인가 __ 32
마약공급 차단의 부작용 __ 32
수요차단 노력의 결과 __ 34
▪화이트칼라범죄는 어떤 범죄인가 36
화이트칼라범죄의 정의와 구별실익 __ 36
상위계층의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이유 __ 37
화이트칼라범죄를 줄일 수 있는 전략은 __ 39
화이트칼라범죄가 주는 피해 __ 40
화이트칼라범죄 폐해의 사례 __ 41
화이트칼라범죄의 분류 __ 42
화이트칼라범죄가 노상범죄보다 심각한가 __ 43
▪테러와 테러리즘은 어떻게 다른가 45
테러리즘이란 __ 45
테러의 과거와 현재―공통점과 차이점 __ 46
우리나라는 테러안전국가? __ 48
테러는 예측가능한가 __ 48
▪테러, 뉴테러리즘 그리고 자생테러 50
테러와 테러리즘은 어떻게 다른가? __ 50
테러리즘의 과거와 현재 __ 51
자생테러(Homegrown Terror), 외로운 늑대들(Lone Wolf) __ 53

제2부 범죄자 이야기

▪범죄자는 태어나는 것인가(Nature) 만들어지는 것인가(Nurture) 59
범죄자 집안의 존재(범죄자가계연구) __ 60
범죄의 유전적 영향(쌍생아연구) __ 61
범죄의 환경적 영향(입양아연구) __ 62
▪범죄형 외모는 따로 존재하는가 66
범죄형 얼굴 __ 66
범죄형 체형 __ 70
▪범죄는 남성의 전유물인가 75
여성들의 범죄에 대한 입장 __ 75
늘어나는 여성범죄자 __ 77
여성 청소년의 범죄와 일탈 __ 78
▪범죄행위는 선택의 결과인가 충동의 산물인가 81
범죄자도 사고하는 존재 __ 81
충동적 범죄에 대한 이야기 __ 84
가장 효과적인 범죄통제는? __ 85
▪우리는 살인범죄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87
살인범죄 __ 88
살인이 갖는 또 다른 신화(Myth) __ 89
▪연쇄살인범은 사이코패스(Psychopath)인가 92
▪사이코패스(Psychopath)와 소시오패스(Sociopath) 97

제3부 범죄원인 이야기

▪가난이 죄인가 105
가난이 범죄의 원인 __ 105
빈곤과 범죄와의 관계 __ 106
실업과 범죄의 관련성 __ 107
유전무죄, 무전유죄 __ 108
범죄는 경제적 하위계층의 전유물인가 __ 109
생계형범죄에 대한 관점 __ 113
생계형범죄의 의미와 처벌가능성 __ 114
▪범죄는 계층갈등의 산물인가 120
지배계층에 의한 법의 지배 __ 121
전통적 범죄에 대한 갈등론자들의 입장 __ 123
▪범죄도 학습의 결과인가 126
범죄도 유유상종? __ 126
청소년기 아이들의 비행 __ 128
Mass Media와 모방범죄 __ 129
모방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 __ 132
범죄행위도 학습의 결과인가 __ 134
▪범죄다발지역(Hot Spot)은 따로 있는가 139
▪범죄다발시간(Hot Time)은 따로 있는가 144
시간과 범죄와의 관계 __ 144
▪날씨도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가 149
범죄와 날씨에 대한 사람들의 선입관 __ 151

제4부 범죄 피해자 이야기

▪피해자에게도 범죄책임이 있는가 157
▪피해자가 없는 범죄(Victimless Crimes)도 피해자가 있는가 162
피해자 없는 범죄는 존재하는가 __ 162
피해자 없는 범죄의 특성 __ 163
피해자 없는 범죄에 대한 대응 __ 166
▪범죄 피해아동의 법정 증언은 믿어야 하는가 168
▪범죄에 대한 두려움(Fear of Crime)은 사실인가, 허구인가 172
계층에 따라 다른 범죄에 대한 두려움 __ 175
범죄피해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 사이에 생기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 __ 175

제5부 범죄 대응의 철학

▪범죄와의 전쟁은 이길 수 있는가 179
범죄와의 전쟁에서 사용되는 전략과 전술 __ 180
범죄와의 전쟁의 효과는 __ 182
▪범죄통제와 적법절차, 무엇이 더 중요한가 185
▪「유전무죄, 무전유죄」가 사실인가 190
사회경제적 계층과 범죄와의 관계 __ 192

제6부 범죄예방 및 진압

▪환경설계로도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가 197
▪CPTED, 판도라의 상자인가 203
▪CCTV(Closed Circuit TV)가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가 208
▪깨어진 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과 무관용 경찰활동은
효과적인가 215
변화하는 뉴욕의 치안상황 __ 215
깨어진 창 이론과 무관용 경찰활동 __ 216
무관용 경찰활동의 이후 __ 219
▪범죄예보는 가능한가 222
▪경찰의 신속한 신고출동이 능사인가 228
112 신고 체제의 운영 __ 231
▪프로파일링(Profiling)으로 범인을 잡을 수도 있는가 235
프로파일링의 분석대상들 __ 237

제7부 범죄 사후대책, 형벌과 교정

▪사형제도는 꼭 필요한가 243
사형 vs. 종신형 __ 246
사형제도에 대한 입장 __ 247
▪성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는 필요한가 249
성범죄자에 대한 대책들 __ 250
화학적 거세란 __ 252
▪전자발찌의 허와 실 255
보이지 않는 전자발찌, 볼 수 없는 그 가치 __ 257
몸에 채우는 전자발찌, 나쁜 마음도 채울 수 있을까? __ 260
▪성매매는 근절될 수 있는가 261
▪삼진아웃제도는 효과가 있을까 267
▪범죄에 대한 무능력화만이 재범방지의 유용한 대책인가 273
▪교도소는 세탁소인가 염색공장인가 278
범죄자는 교화개선(Rehabilitation) 될 수 있는가 __ 278
교도소의 교화개선 노력은 소용이 없는 것인가 __ 282
교화개선적 교정의 평가와 효과 __ 283
교도소는 과연 필요한가 __ 286
▪민간교도소는 괜찮은가 290
▪범죄자의 신상은 공개되어야 하나 296
범죄자의 신상은 공개되어도 괜찮은가 __ 296

▪찾아보기 302

저자소개

이윤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학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과 석사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School of Criminal Justice 석사, 박사 경력: 현) 고려사이버대학교 경찰학과 석좌교수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경찰행정학부 명예교수 전) 경기대학교 교정학과, 경찰학과 교수, 교학2처장, 대외협력처장, 행정대학원장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경찰행정학부 교수, 사회과학대학장, 경찰사법대 학장, 행정대학원장, 경찰사법대학원장, 입학처장 전) 국가경찰위원회 위원 법무부 법무연수원 교정연수부장(민간전문가 초빙 2급 이사관) 한국공안행정학회 회장 한국경찰학회 회장 대한범죄학회 회장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회장 한국테러정책학회 회장 저서: 범죄학(박영사), 교정학(박영사), 경찰학(박영사), 피해자학(박영사), 현대사회와 범죄(박영사), 범죄, 그 진실과 오해(박영사), 범죄심리학(박영사), 청소년비행론(박영사), 범죄예방론(박영사), 범죄 기네스북(도도), 연쇄살인범, 그들은 누구인가(도도), 우리 속에 숨은 사이코패스(도도), 세기와 세상을 풍미한 사기꾼들(박영스토리), 영화 속 범죄 코드를 찾아라(도도) 세기의 오심(2인 공저, 박영스토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