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4854
· 쪽수 : 219쪽
· 출판일 : 2018-02-20
책 소개
목차
제1장 도시화와 기후변화 그리고 위험의 담론
1. 도시화와 기후변화 1
2. 도시화와 자연재해 4
3. 위험사회의 도래와 기후변화 담론의 확장 8
4. 불확실성과 위험사회 10
5. 불확실성과 위험유형 13
6. 위험평가와 위험관리 17
제1편 위험사회의 공간적 역동성
제2장 위험과 경제성장의 역동성
1. 개요 25
2. 재해 피해의 동태성 28
3. 도시화와 자연재해 그리고 경제성장의 역동성 31
4. 위험한 성장과 안전한 성장 37
제3장 위험의 사회적 증폭과 공간적 역동성
1. 개요 43
2. 위험의 사회적 확산이론 44
3. 우면산 산사태와 춘천 산사태로 본 위험의 사회적 확산 47
4. 위험의 사회적 확산의 공간적 역동성 50
제4장 위험발생의 공간적 역동성
1. 개요 57
2. 재난발생과 포아송(Poisson) 분포 60
3. 자연재해와 화재 그리고 교통사고 62
4. 지역별 사고발생 안전율과 사망 안전율 66
5.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재난발생특성 73
6. 소결 76
제2편 위험사회의 시간적 역동성
제5장 재난발생의 시간적 역동성
1. 개요 81
2. 자연재해의 시간적 불확실성 81
3. 재난발생 후 시간흐름에 따른 도시기능의 변화 85
4. 재난위험의 시간적 역동성 89
제6장 위험의 역사성
1. 개요 95
2. 경제발전과 위험의 배태 96
3. 재난의 역사적 연구 97
4. 재난자료 확보와 연구방법론 99
5. 대형재난 발생의 추세적 특성 101
6. 대형재난 발생의 시대적 특성 103
7. 대형재난 발생의 역사적 교훈 115
제7장 위험의 주기적 특성: 대형재난의 이슈생존주기
1. 개요 121
2. 재난이슈의 주기적 속성 123
3. 대형재난의 이슈생존주기 126
4. 대형재난의 이슈생존주기 특성 129
5. 시간에 따른 대형재난 이슈 변화 137
6. 안전사회를 위한 언론의 역할 140
제3편 위험사회의 사회적 역동성
제8장 위험사회의 건강위협: 서울의 전염병 발생사
1. 개요 147
2. 위험사회와 전염병 연구 148
3. 서울의 시대별 전염병 발생 특성 150
4. 전염병의 연구사적 고찰과 정책적 시사점 165
제9장 위험의 사회적 확산: 미세먼지정책의 경로의존성
1. 개요 169
2. 미세먼지와 이슈생존주기 171
3. 미세먼지 위험의 사회적 확산 174
4. 미세먼지 정책의 경로의존성 178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84
제10장 위험사회에서 안전사회로의 이행: 행위자 네트워크의 회복
1. 개요 187
2. 방법론으로서의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189
3. 미세먼지 저감정책의 번역과 정화과정 192
4. 미세먼지 변화와 안전사회로의 지향 199
5. 위험사회의 안전관리 패러다임 201
참고문헌 206
찾아보기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