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행정

도시행정

(뉴 노멀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

박윤환, 최충익, 최유진 (지은이)
윤성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700원 -5% 0원
1,300원
23,400원 >
23,4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340원
21,0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시행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시행정 (뉴 노멀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425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2-01-21

책 소개

뉴 노멀 시대의 현대 도시가 직면한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관점으로 도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더욱 복잡해진 도시 문제에 대해 새로운 관점과 해법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 제1편 | 도시행정 일반

제1장 도시의 탄생과 성장

제1절 도시란 무엇인가?

1. 도시 정의의 어려움

2. 유엔의 정의

3. 학자의 정의

제2절 도시의 성장 단계

1. 도시의 출산율과 사망률에 따른 단계

2. 도시의 생명 주기에 따른 단계

제3절 도시의 탄생

1. 상향식 도시와 하향식 도시

2. 우리나라 신도시 개발의 역사

제4절 도시의 성장 촉진 요인

1. 외생적 성장 이론

2. 내생적 성장 이론



제2장 도시와 지역경제

제1절 지역경제의 의의

1. 지역경제의 개념과 특징

2. 지역경제 분석의 방법과 현황

제2절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통적인 정책 방향

1. 개요

2. 산업 클러스터 생태계의 조성

3. 혁신 도시의 지정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4. 도시 간 통합과 광역행정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제3절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뉴 노멀 시대의 정책 방향

1. 개요

2. 지역화폐 활성화 정책

3. 로컬 푸드의 확산 정책

4. 창업 생태계의 조성 정책



제3장 도시와 주거

제1절 주택의 의의

1. 주택의 개념과 유형

2. 주택의 특성

제2절 주택의 현황

1. 공급의 현황

2. 주택 관리 현황

제3절 주거 복지 정책

1. 주거 복지의 의의

2. 취약 계층을 위한 주택 정책

제4절 뉴 노멀 시대의 주택: 사회주택을 중심으로

1. 사회주택의 의의

2. 우리나라의 사회주택



제4장 도시와 구도심 재생

제1절 도시의 쇠퇴

1. 도시의 쇠퇴 원인과 루프

2. 쇠퇴하는 한국의 도시

제2절 도시의 재생

1. 도시재생의 의의

2. 우리나라 도시재생의 현황

제3절 도시재생의 원칙과 주요 방법론

1. 도시재생의 일반 원칙

2. 뉴 노멀 시대 도시재생의 방법과 사례



| 제2편 | 지속가능한 도시행정

제5장 도시와 재난

제1절 도시재난과 안전

제2절 재난의 개념과 유형

제3절 재난안전 관련 법체계

1. 재난 유형

2. 도시재난 관련 법

3. 국가재난 관리체계와 도시재난 관리체계

제4절 도시재난이론

1. 하인리히 법칙과 안전관리

2. 재난배양이론

3. 정상사고이론

4. 고도신뢰이론

제5절 위험사회의 국토관리와 도시 개발

제6절 재난 발생과 지역사회 서비스 수준의 변화

제7절 안전한 도시를 향한 제언: 도시재난관리 체크리스트



제6장 도시와 건강

제1절 서론

1. COVID-19와 달라진 건강 이슈

2. 건강과 보건환경의 개념

제2절 지역사회 건강 영향 요소

1. 물리적 요소

2. 사회경제적 요소

3. 조직화

4. 개인의 행태

제3절 보건환경 정책 사례

1. 전염병과 건강 이슈: 신종플루 공포와 COVID-19 거리두기

2. 초국경적 보건환경 이슈: 황사와 미세먼지

3. 기후 변화와 건강 영향

제4절 보건환경 정책 과정

1. 보건환경 정책의 변화

2. 보건환경 정책 과정



제7장 도시와 빈곤

제1절 빈곤의 개념과 원인

1. 빈곤의 개념

2. 전통적인 일차적 빈곤 원인론

3. 빈곤을 이끄는 매개적 원인론

제2절 빈곤의 유형

1. 절대적 빈곤

2. 상대적 빈곤

3. 주관적 빈곤

제3절 도시 빈곤의 양상과 쟁점

1. 도시의 성장과 빈곤의 역설

2. 근로 빈곤: 빈곤과 일자리

3. 하우스푸어와 렌트푸어, 그리고 주거취약 계층: 빈곤과 주거

제4절 우리나라의 도시 빈곤 현황과 빈곤의 공간적 맥락

1. 우리나라 빈곤율과 도시 빈곤의 양상

2. 빈곤의 공간적 맥락과 거주지 분리



제8장 도시와 불평등

제1절 불평등과 선택적 관심

제2절 도시 위험의 사회적 확산이론

제3절 우면산 산사태와 춘천 산사태 사례

1. 우면산 산사태의 사회적 확산

2. 춘천 산사태의 사회적 확산

3. 분석 방법: 내용분석

제4절 도시 위험의 사회적 확산 과정

1. 정보의 전달 단계

2. 해석·반응 단계

3. 제도 및 공간 요인

제5절 도시 위험의 이해: 선택적 관심을 넘어서



| 제3편 | 도시행정의 미래

제9장 스마트시티

제1절 스마트시티의 의의

1. 스마트시티의 개념

2. 스마트시티의 등장과 유비쿼터스 도시와의 차이점

제2절 스마트시티의 추진 전략

1. 스마트시티의 유형과 구성 요소

2.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활성화 추진 체계

제3절 우리나라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유형

1. 국가시범도시

2. 스마트 챌린지

3. 스마트시티 규제특례 제도

4.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제4절 뉴 노멀 시대의 스마트시티: 리빙랩을 중심으로

1. 리빙랩의 의의

2. 리빙랩 사례



제10장 과학기술과 도시환경

제1절 산업혁명과 도시환경 변화

제2절 위험사회의 과학기술과 환경의 관계

제3절 산업혁명과 도시환경에 대한 담론: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제4절 과학기술과 환경의 관계

1. 갈등을 넘어 상생으로

2. 더불어 살아야 번영하는 공동체

제5절 기후 변화와 COVID-19 그리고 노이라트의 배

제6절 위험사회 도시환경의 변화: COVID-19의 위협과 과학기술의 도전

1. 기부 변화와 COVID-19 그리고 도시공간 변화

2. 기후 변화 위협과 도시환경의 변화

제7절 도시의 환경 적응: COVID-19 대응과 신도시 개발

제8절 위험사회의 감염병 대응과 신도시 개발



제11장 도시와 사회적경제

제1절 사회적경제의 의의

1. 사회적경제의 등장 배경

2. 사회적경제의 개념

제2절 사회적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가치

1. 사회적기업가 정신의 의의

2. 사회적경제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

제3절 우리나라의 사회적경제

1. 사회적경제의 유형과 특징

2. 사회적경제의 현황

제4절 주요 사례

1. 사회적기업

2. 협동조합

3. 마을기업

4. 자활기업



| 제4편 | 도시행정의 응용과 실제

제12장 도시와 마케팅

제1절 도시 마케팅의 의의

1. 도시 마케팅의 필요성

2. 도시 마케팅의 개념

제2절 도시의 이미지 재창조

1. 도시 이미지의 의의

2. 도시 이미지의 재창조 방법

제3절 성공적인 도시 마케팅: 이론과 실제

1. 성공적인 도시 마케팅: 이론

2. 성공적인 도시 마케팅: 실제



제13장 도시와 범죄

제1절 범죄의 정의와 특성

제2절 범죄의 측정, 통계 구축, 공간적 분석

1. 공식적 범죄 통계와 그 한계

2. 범죄의 측정 및 공식 통계의 대안, 피해자 조사

3. 범죄의 공간적 패턴

제3절 도시에서 비롯된 주요 범죄이론

1. 범죄 원인론의 등장과 도시적 관점의 대두

2. 도시는 범죄를 유발하는가?: 사회해체론의 시각

3. 도시가 제공하는 범죄 발생의 기회, 그리고 범죄 환경의 통제

제4절 우리나라 범죄와 도시 범죄의 실태, 그리고 자치경찰

1. 전국적 범죄 발생의 현황과 범죄 피해 및 범죄 피해의 두려움

2. 지역 단위 범죄 발생의 현황

3. 도시 치안 서비스의 개선과 확대를 위한 자치경찰제 도입



제14장 도시와 통계

제1절 도시와 통계의 관계

1. 통치와 관리 수단으로서의 통계

2. 도시와 통계의 연계성

3. 우리나라 도시행정에서의 통계 활용 사례

4. 도시 통계 활용에서의 함정

제2절 도시 정책에서의 증거 기반 정책 구현

1. 증거 기반 정책의 일반적 논의

2. 증거 기반 정책 구현의 해외 사례

3. 우리나라의 통계 기반 정책 평가제도

4. 최근 도시 정책에서의 증거 기반 토대 확장

제3절 우리나라 도시행정에 필요한 주요 통계

1. 인구주택총조사

2. 한국 도시 통계

3. 도시계획 현황 통계

4. 그 밖에 도시 통계 자료원

제4절 도시의 통계 역량 구축

1. 도시의 통계 역량 구축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

2. 도시 통계의 기초 현황

3. 도시 통계 인프라

4. 우리나라 도시의 통계 역량 개선 노력



- 부록 -

부록 1. GeoDa를 활용한 도시공간분석

부록 2. 경제기반 모형 및 변이할당 모형 실습

저자소개

최충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대학교 Hazard & Vulnerability Research Institute 연구원과 Southern California Association of Governments 자문위원을 역임하고, 2008년부터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시화와 자연재해』(2008), 『기후변화 다이내믹스』(2013), 『환경정책론: 위험사회의 환경과 재난』(2018) 등의 저서와,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Development-Restricted Areas on Land Price Using Spatial Analysis"(2021), “The Smart City Evolution in South Korea: Findings from Big Data Analytics”(2020) 등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choich@kangwon.ac.kr).
펼치기
최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클리블랜드 주립대학교에서 도시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강남대학교 공공인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도시정책, 지방자치, 사회적경제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조건에 관한 실증 분석”(2020), “사회적경제 레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2019), “AHP를 활용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비교의 관점에서”(2018) 등이 있고, 『지방자치의 이해』(2015), 『R을 활용한 계량분석 강의노트』(2017), 『도시, 다시 기회를 말하다 : 쇠퇴하는 도시의 일곱 가지 난제 풀이』 등의 저서가 있다(echoi0816@icloud.com).
펼치기
박윤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에서 정치경제 및 정책학(Political Economy and Public Policy) 박사학위를 받았다. 텍사스주의 댈러스 시청(City of Dallas)에서 인구통계분석관(Demographic Research Analyst)과 텍사스 교육연구소(Texas Education Research Center)의 Texas Schools Project에서 연구원(Research Scientist)을 역임했고, 2009년부터 경기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나라 빈곤층 거주지 집중과 분리의 공간적 패턴: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Distribution of Immigrants and Crime in South Korea”(2018), “Determinants of Economic Segreg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overty”(2019) 등의 다수 논문을 발표했고, 『도시행정: 뉴 노멀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2022)의 저서가 있다. 수상으로는 2020년 9월 1일 통계의 날에 신뢰성 있는 통계 생산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제224886호)을 받았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도시정책으로 특히 빈곤, 주거, 이민, 범죄, 사회계층, 거주지 분리 등이다(ypark@kgu.ac.kr).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